[묻고답하기 이용안내]

http://www.youtube.com/watch?v=B2916hg4SE0&feature=c4-overview-vl&list=PL4FE5250971DAB49D

http://www.youtube.com/watch?v=Jy5wEU-gLKc&list=PL4FE5250971DAB49D

 

이 동영상 작년에도 한번 올리긴 했었는데, 한번 봐주세요.

 

여기서 가르치는 방식과 다른 동영상 강습에서 가르치는 방식이 다른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이 동영상에서 가르치는 방식은 상체로테이션보다는 직접적으로 발을 페달밟듯이 움직여

보드의 토션을 만들어내고, 그 토션을 이용한 방식으로 턴을 하는 걸 가르칩니다.

그리고 안좋은 예시로 보여주는게 '팔'을 이용하여 턴을 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사실 저도 비기너턴 배울 때, '상체를 로테이션하면 턴이 이루어진다.'라는 말에서 언뜻 이해가 가질 않았습니다.

상체를 로테이션하는데, 왜 보드가 돌지? 정확한 메커니즘이 어떻게 되길래? 라는 의문이 들었지만,

그래도 그렇게 가르치니 이유가 있겠지 싶어 따라했었고, 그러다보니 팔을 과도하게 휙휙 돌려가며 턴을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박정환님 동영상에서 보트를 모는 것을 상상하라는 팁을 보고, 그렇게 따라해보니 팔을 그런 식으로 휙휙 젓지는 않게되었죠.

 

어쨌거나 그런 방식의 강습에 비해, 이 강습에서는 보드의 토션을 이용한 메커니즘을 설명해주고,

그리고 다리 위주로 턴하는 동작을 가르쳐 주게 되어있네요.

 

저는 사실 이 방식이 더 맘에 들었습니다. 오히려 보드의 토션을 주는게 턴의 시작이고, 상체는 균형만 잡아준달까요.

하체는 위 방식대로 상체는 일반적인 강습 방식대로.

 

뭐...... 어차피 전 초보니까 엄청나게 이상한 방식으로 타고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어쨌건 좀 색다른 이 방식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주로 댓글에서 적어주시는 내용으로 봐서 백만송이장미 님이 설명해주시는 걸 읽어보면 위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느껴지는데...

이게 정석인지 아닌지 궁금하네요.

엮인글 :

kwlee

2013.11.26 01:20:13
*.226.198.209

동영상과 같은 맥락의 말씀을 하신 분이 있습니다. 토론방 첫글의 leeho님 댓글 확인해보세요. 링크하신 유투브 동영상에서 말하는 부분과 같은 말씀인 것 같았습니다.

백만송이장미

2013.11.26 01:23:21
*.133.147.236

지난 시즌에 토론방에서 카시 레퍼런스 가이드 내용에 대한 토론이 있었지요

제가 기억하는 바로는 상체로테이션보다는 하체스티어링을 주로 이용한다군요 비기너턴에서도요

또 누구나칼럼에서는 카시레퍼런스 가이드에 있다는 페달링에 관한 칼럼도 있었구요

 

보딩에서 라이딩이든 그라운드트릭이든 파크에서든 하프파이프에서든

상체로테이션, 하체스티어링 등의 피보팅과 페달링은 데크에 비틀림을 만들어서

노즈쪽과 테일쪽의 엣지각을 한쪽은 크게 한쪽은 작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엣지각이 작은 쪽이 슬라이드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비기너턴에서는 로테이션을 통해서 노즈를 보드의 진행방향으로 미끄러트려서 보드의 진행방향과 데크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슬맆이 없는 상태를 만들어 엣지체인지를 하고

그 이상의 슬라이딩턴에서도 엣지체인지 후에 로테이션에 의해 테일쪽 엣징이 작음으로 인해서 테일이 슬맆하게 되지요

 

그래서 슬라이딩턴에서 로테이션과 함께 엣지체인지를 할 때는

노즈에 체중이 충분히 실려야하므로 전경이 유리하고

엣지체인지 후에는 전경과 로테이션이 함께 취해지면 데크가 스핀하게 되므로

테일쪽에서 충분히 그립력을 얻어내기 위해서 후경을 주어야 하는 거구요

 

또 카빙턴에서

슬라이딩턴에서의 타이밍대로 로테이션을 취하게되면 테일일 슬맆할 수 있어서 슬라이딩턴이 되기 십상이구요

 

흔히들 로테이션에 비틀어진 상체를 하체가 따라오므로 데크가 돌아간다고 알고 계신데

잘못 알고 계신 거지요

그렇다면 평평한 아이스링크에서 보드를 착용한채로 로테이션으로 상체를 비틀면 보드가 따라와야하겠지만

보드는 돌아가지 않을겁니다

deep

2013.11.26 06:23:07
*.36.143.83

그렇다면 이론적으로는 위 방식이 좀 더 핵심에 가까운 방식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그렇게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아랫분 말씀처럼 쉬운 접근을 위해서 일까요?
동영상처럼 신발의 내부를 보여주니 확실히 이해가 쉽긴했었습니다만 밖에서야 그게 안되서 그런것일까요.
여튼 내가 이상하게 타고 있나 싶었는데 조금은 안심이 되네요

kwlee

2013.11.26 01:41:18
*.226.198.209

추천
1
비추천
0
전 라이딩은 못하지만,,비시즌에 이론공부를 좀 했던 사람으로 말씀드리자면, 페달링과 상체로테이션 반응의 정도 차이일 뿐이지 그 효과는 한가지, 바로 토션의 발생이라 생각합니다. 발목이하 부위를 이용한 페달링은 보다 빠르고 직접적으로 데크에 토션을 주고, 상체로테이션은 허리,골반,무릅을 지나 발목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데크에 토션을 발생시킵니다. 상급 라이딩을 하기 위해선 페달링을 이용하는 토션이 중요한 역활을 하겠지만, 가뜩이나 발목을 깁스한 것처럼 느끼게 만드는 부츠를 착용한 초보자에게 발목을 이용한 페달링으로 턴을 만들라고 하는 것보다 상체로테이션으로 가르치는 것은 간접적으로 페달링의 개념을 깨우치게 하기위함,그리고 스노보딩을 쉽게 시작하기 위함이고, 토션의 강도가 적고 각부위를 거쳐 내려와 토션을 만드는 상체로테이션만으로 비기너턴의 습득은 충분하다고 인스트럭터들이 생각하고 가르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수정이 안되네요. 보충하려했더니..지우고 다시 씁니다.)

deep

2013.11.26 06:24:40
*.36.143.83

저도 그 생각하긴 했는데 그럴 수 있겠네요.
근데 그러다보니 저 비기너턴 첨에 할 때 로테이션만 강조하다보니 팔만 휘적휘적하게 되었었네요 ㅜㅜ

모닥불~

2013.11.26 01:59:17
*.86.28.52

죄송한데 두번째 영상 과장해서 확실하게 알려주려고 오버했겠지만 무슨 좀비같네여 ㅋㅋㅋ

ooo_789368

2013.11.26 05:25:42
*.62.169.60

킥이나 트릭에서 상체를 이용 해야 돌아갈텐데요

전 라이딩도 같다고 봅니다

deep

2013.11.26 06:29:52
*.36.143.83

킥이나 트릭은 아직 접해보지 못해 모르겠네요 ^^;
그래도 위 동영상은 거의 상체 움직임 없이 타네요. 카시 스타일 카빙에서도 거의 없지 않나요?

funkyhsc

2013.11.26 09:17:28
*.62.188.25

토션은 물로이고 윗분 말씀대로 상황에 어울리는 정도의 로테이션이 있어야 효율적이고 안정적인거 같네요 아 근데 이번글 정말 좋네요 본문부터 댓글까지 고맙습니다

스피드솔로잉

2013.11.26 14:09:00
*.87.60.229

저는 처음부터 jsba로 강습 받았는데...   페달링으로 토션 주는거부터 가르쳐 주시더라고요..  이해도 잘되고..  근데 뭐 좀 타게 되니까 전부 다 흉내 내드라고요 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169465
86274 휘팍 술먹으면서 시끄럽게 해도 되는 숙소 있나요? [12] ASKY 2013-11-26 448
86273 여자가 남자보드복 사면 사이즈를 어떻게 가야 하나요? [11] 보드복 2013-11-26 521
86272 WSF 일정 [2] 더치베어 2013-11-26 489
86271 Burton 바인딩 토 라쳇 & 스트랩 구매 방법좀 알려주세요~ [6] 폴라포. 2013-11-26 802
86270 셋백 질문 드립니다 [4] graffiti 2013-11-26 329
86269 초보자가 보드 타기에 제일 좋은곳은 어느 스키장이 있을까요 [10] 오재형 2013-11-26 400
86268 L1 13/14 보드복 바지 신상 구입하신분... [10] Rang9 2013-11-26 386
86267 학동샵 추천좀 부탁드려욤~ [8] 치킨흉아 2013-11-26 545
86266 하이원 시즌권 다른지역 버스 이용 [4] 솔잎꿀차 2013-11-26 330
86265 11/12 사벤더 보우바 + 12/13 RK30 초보자에게 맞나요? [2] 돼팬이 2013-11-26 521
86264 사벤더 보우바 w캠 초보자에게 맞는 건가요? [4] 돼팬이 2013-11-26 513
86263 바인딩 드라이버 질문요. [5] 하이클래스1호 2013-11-26 520
86262 비발디 낼들어가는데..혼자가는디 국밥같은거 파는곳잇나요? [6] 봉팔2 2013-11-26 426
86261 하이원 근처 숙박할만한곳 아시는분 계신가요? [7] 은신느님 2013-11-26 462
86260 버튼 장갑 S 너무 작은가요? [8] HoyAAAAA 2013-11-26 419
86259 데크 그래픽 추천부탁드립니다. file [8] 무라카마 2013-11-26 536
» 슬라이딩턴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10] deep 2013-11-26 374
86257 리바운딩의뜻? [10] 더네임 2013-11-26 1369
86256 스탠스 질문입니다!! [3] 용용이. 2013-11-26 390
86255 강촌 야간 백야 언제쯤 개장할까용? [2] 아르미타 2013-11-26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