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평이 맞는 데크가 있나요?

조회 수 878 추천 수 0 2017.11.09 22:06:11
밑에 엣지튠에 대한 질문이 있기에 문득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좀 타는 분이 말씀허길 알파인하고 스키는 베이스평이 맞는데 대부분의 프리데크는 헤머포함 평 맞는 데크 보기 힘들다고 하면서 베이스가 배불뚜기 인데 베이스 엣지각은 무의미 하다고 사이드각만 잘 손질해서 타라고 했거든요.
베이스엣지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평이 맞아야 할수 있는 작업이라고 그러더라구요.

일본에서 만들어진 데크는 전부다 배가 둥근 배불뚜기라고 하고 서양애들이 만든 데크도 평이 맞는 데크가 많지 않다고 하네요.

베이스 평이 잘 맞는 데크는 직빨이 굉장히 안정적인데 보드가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평맞추기가 힘들다고 하는데 맞는가요?

제가 지금 가지고 있는 데크는 미국산 프리데크인데 100% 평이 안맞을꺼라고 단언하네요.

베이스 평이 맞는 데크가 정말로 없나요?
엮인글 :

에고☆

2017.11.09 22:09:14
*.172.176.157

컨백스는 베이스 엣지각을 도대체 어떻게 잡는지도 궁금하고


한국강설에서 타다보면 엣지분위 베이스가 먼저 닳아버리는데,


어떻게 또 베이스각을 잡을수있을까 궁금합니다.


우리는 어떻게 보면 튠을 하면 할수록 둔각으로 타는건 아닌지 의심해봅니다.

에고☆

2017.11.09 22:14:04
*.172.176.157

근데 생각해보니깐


베이스 평탄이 맞질않으면


사이드각도 틀어지네요 ㅎㅎ


총체적 난국이네요 ㅋㅋ



그리고 제가 직접 각도기사서 엣지각 체크해봤는데


88/-0.5도로 튠한데크가


베이스각은 2도로해도 안닿더군요 ㅡㅡ;; 그때부터 모든것에 의심이 들기시작


속은건지 닳아버린건지 잘못한건지....

ooo_789368

2017.11.09 22:38:37
*.125.219.156

다른데서 본건데 유명 튜닝 하시는분이

자기는 수작업 보다 기계를 더 신뢰한다고 했던말이 생각나네요..

수작업 기구보다 기계가 훨 크니 오차도 줄을테고 그말이 맞다는 생각도 드네요.. 

건보박

2017.11.09 23:16:12
*.169.62.163

추천
1
비추천
0

1.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균일한 convex냐 제대로 못만들어서 어쩔 수 없이 형성된 비균일한 convex냐에 따라 다릅니다. convex라고 하더라도 좌우의 균형이 맞아 고르게 분포한 convex가 있고, 제대로 건조되지 않은 우드 코어를 사용하여 비틀리면서 부분적으로 생기는 convex나... 평탄이 맞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우드 코어를 사용하면, 유통 과정 중에도 데크나 스키 자체가 뒤틀립니다. 심지어 제조 공정 중에도 건조되면서 뒤틀려서... 애초에 맞았던 평탄이... 피니쉬 공정에 들어가기 전까지 마르면서 뒤틀려서... 베이스 그라인딩 과정에서 경사지게 깎이기도 합니다. 이는 탑의 접설면과 테일의 접설면이 수평하게 평행한지를 살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길이 방향으로도 뒤틀려서... 스키의 경우 양쪽 스키의 최대 접설면끼리 잡았을 때, 센터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OGASAKA의 공장은 QC 과정에서 이렇게 (코어의 건조를 하도 오래 시켜서 그럴 일이 거의 없습니다만...) 비틀린 스키나 데크들은 모두 폐기 처분합니다. 약 2년의 비바람을 그대로 맞히는 실외 건조, 코어 재단 후의 1~2년 정도의 실내 건조 과정에서 옹이가 있거나, 갈라진 심재들은 모두 소각 처리하는지라... 결과물이 중간에 더 건조되면서 비틀려 틀어지는 상황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평탄이 맞은 스키나 데크들은 베이스 그라인딩을 하는 과정에서도 많이 갈려나갈 일이 없습니다만, 평탄이 맞지 않은 결과물의 평탄을 잡을 때에는 상당히 많이 갈려 나갑니다. 선수들의 경우, 모든 작업 이전에 평탄부터 맞추고 시작합니다.


타 제조사의 공장에서도 인정하고 있는 부분입니다만, 평탄이나 마무리는 세계 최고입니다. 스키와 데크를 만들기 시작한 약 105년 이전에는 고급 가구를 만들던 공장이라 버릴 수 없는 공정이라 합니다.


2. 평탄이 중요한 또 한가지의 이유는... 사이드 에지 가공의 기준면이 활주면이기 때문입니다. 말씀하신 바와 같이... 평탄이 맞지 않으면, 평탄이 맞지 않은 활주면을 기준으로 각자로 에지를 절삭할 때 제대로 각이 잡히지 않습니다.


3. 에지 측면의 활주면이 에지보다 먼저 마모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활주성이 좋은 베이스 재료들일수록 그런 성향이 더 강하다고 합니다. 왁싱을 자주 해주셔서 치밀한 활주면 조직을 유지해주는 것은 그와 같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고... 그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후에는 베벌링이나 베이스 평탄 작업 등의 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살펴보시고 미리미리 신경을 써주시면 그 진행 속도를 한층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


4. 기계 작업 vs. 수작업은... 튜닝을 하시는 분들 사이에서도 많은 견해차가 있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충분히 다를 수 있다고 이해가 되는 부분입니다. 뿐만 아니라 수작업 역시... 실제로 예민하게 느끼는 선수들도 취향에 따라 상황에 따라 각기 누가 더 잘 하시는지, 어느 분의 작업 결과물이 만족스러운지 다르기도 합니다. 그 정도 수준이 아니라면... 솔직히 전문 튜너 분들의 결과물은 아무래도 거의 대부분의 사용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계는 결과물의 평균치가 고르고 높습니다. (물론 제대로 된 유지보수가 안된 기계들은... 그 결과물이 좋지 않기도 하고, 잘 정비된 좋은 기계라고 하더라도 사용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다르기도 하며... 기계를 보조 수단으로 하여, 제대로 된 마무리를 더하여 결과물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도 있습니다.) 전문적으로 정말 에지를 잘 작업하신다고 정평이 있는 분들 대부분의 공통된 의견은...


"좋은 결과물을 위해 기계의 힘을 빌려야 할 필요가 분명이 존재하며, 제대로 정비된 기계를 제대로 다루어 낸 바탕 위에 수작업을 더할 때 최고의 결과를 찾을 수 있다. 좋은 기계는 큰 의미가 있지만 기계에 전적으로 의존해서는 안된다."


라고 하며, 대부분의 전문 라이더나 스키어 들이 이에 수긍하고 있습니다. ^^

나야나:D

2017.11.09 23:53:29
*.39.140.192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왕초보가족보더

2017.11.10 09:10:19
*.203.62.28

많이 배우고갑니다~~

상도동최씨

2017.11.09 23:26:50
*.15.63.98

추천
1
비추천
0

일단 베이스 평이 맞아야 정확한 작업이 나옵니다. 베이스 평이 안나오면 기계작업은 물론 수작업도 힘듭니다.


컨벡스타입의 데크들이 엣지와 맞닿은 면이 마모되서 소위 단차라는것이 발생할경우 평탄작업이라고는 하지만 베이스면과 엣지면을 맞추는 작업을 진행해 드리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평탄은 아닙니다.

단차가 시작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지만 단차가 시작되고 나서는 급속도로 단차가 심해지기에 평상시 관리를 해주심이 좋습니다.


평을 맞추는것은 스톤그라인딩으로 맞춰야 하고 그 이후 작업은 수작업이 훨씬 정밀하고 센시티브하게 작업이 가능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컨벡스는 기본적으로 플렛이 나올수 없는 제조방식이기 때문에 제조사에서 만든 모양을 유지시키면서 그라인딩 기계의 휠을 조절해서 그라인딩을 하지만 플렛하게 만들수는 없습니다. 

건보박

2017.11.09 23:30:54
*.169.62.163

추천 드리고 갑니다~ ^^

호요보더

2017.11.10 00:42:55
*.189.217.99

평탄좀 맞는다구 직빨 (직활강인가요?)안정적 이라는 말은 신용이 안가네요

스노텍

2017.11.10 12:30:46
*.232.125.59

평탄이 맞는 보드는 존재하는가? 네.

알파인보드는 평탄이 중요합니다만 알파인 스키만큼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넓은 바닥의 얇은 엣지부위로 타기 때문에 평탄이 무의미하다고 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절대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평탄이 중요합니다. 새 보드는 대개 평탄이 잘 맞습니다. 더러는 새것 중에도 잘 안맞는 것도 있습니다.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운송중에 뒤틀린 것인지 가끔은 특정브랜드의 제품들 중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스트럭쳐를 생성하기 위해서 기계 작업을 하다보면 도저히 평탄이 잡히지 않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럴 경우에는 소비자와 상담을 해서 적절한 수준에서 평탄을 잡습니다. 대개는 느슨한 형태의 역 V 형태로 평탄을 잡는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엣지에서 가운데로 반반씩 평탄을 잡는 경우죠.


평탄이 맞느냐 안맞느냐는 얘기는 엣지 튜닝이 완벽하다고 해도 그립이 떨어질 때 확인해보면 평탄의 문제로 판명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느끼지 못하는 수준에서는 무의미한 얘기 일 뿐입니다. 선수들의 경우가 그런 경우가 많으니까요.


프리보드는 알파인에 비하여 평탄이 좀더 중요하지는 않다고 해도 엣지 주변에 턱이 생기는 소위 '단차'라는 것이 생기는 경우에는 턱만 없애준다고 그립이 되살아나지는 않습니다. 엣지에서 어느정도 부분까지는 평탄이 맞아야 그립이 되살아 납니다. 평탄이 맞는다고 안정적이라는 얘기는 턴을 내가 원하는 호를 그리는 것과 예측이 가능한 턴을 만드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9] Rider 2017-03-14 96078
179940 011데크 [4] 바그삼 2017-11-10 955
179939 데크 바인당 부츠 조합 좀 봐주세용 [7] 눈위의 미사일 2017-11-10 458
179938 왁싱용 다리미 대용품으로 [12] 무서운초보ㅎ 2017-11-10 723
179937 고글 렌즈 수명?? [7] 오짱's 2017-11-10 1231
179936 버튼 바인딩 디스크관련 질문입니다~~ [5] 평택초보 2017-11-10 842
179935 엘리시안 페밀리락카 [4] 으리샤샷 2017-11-10 292
179934 베이직 카빙은 어느단계에속하나요? [15] 카빙 2017-11-10 1277
179933 Rice 28 예약 구매 하신분들 받으신분들 계신가요?? [2] ㅇ꾸러기ㅇ 2017-11-10 281
179932 세멘다인 슈퍼x와 슈퍼xg는 다른건가요?? [2] -Double.J- 2017-11-10 491
179931 중고보드 구매예정인데 도움부탁드립니다. [12] 혁혁123 2017-11-09 522
179930 스프링시즌 장갑을 겨울시즌중에 사용해도 쓸만할까요 ? [6] 최상훈님 2017-11-09 399
179929 부츠 사이즈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2] normcore 2017-11-09 366
179928 옥세스 구입시 체크 사항 질문 드림니다. [5] 돌아와휘팍 2017-11-09 766
179927 이번 겨울방학 내내 탈 수 있을 것 같은데요... [10] 빵수리 2017-11-09 651
» 평이 맞는 데크가 있나요? [10] 궁금이 2017-11-09 878
179925 토크렉스 글라스파퍼 [6] 안낚여 2017-11-09 1434
179924 오가fc 바인딩 나사 질문드립니다 [6] ysj5028 2017-11-09 376
179923 세메다인 품번이 어케 되나요? [3] -Double.J- 2017-11-09 469
179922 픽스 아이쏘우 액션캠 써보신분 ㅎㅎ [5] 발목부상어쩌지 2017-11-09 366
179921 지산락카 양도 되나요?? [2] 소심아저씨 2017-11-09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