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드디어 앵귤레이션에 대해 이야기 해볼 시간입니다.



지금 까지 칼럼을 쭉 읽어오다 보시면 아마 점점 칼럼이 산으로 가는게 아닌가?? 하고 느낀 분들이 계실겁니다.

특히 저번 칼럼을 보면서 엣지가 마구 변하는걸 보고 이상한 느낌을 많이 받으셨을 겁니다.

'아니 자세 잡는다더니 뭐 이따위야?' 이렇게 말이죠.

제 딴엔 올바른 잡자고 한건데 자세를 똑바로 잡았더니 엣징이 마구 변하는 이상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왜그럴까요?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왜 정확한 자세를 취했더니 엣징이 변하는 안좋은 상황이 발생하는 걸까요? 그리고 이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애초에 제가 업다운, 앵귤을 나눠놓았죠?

솔직하게 말씀드리죠. 사실 이게 함정입니다.




가끔씩 말씀드렸죠. 앵귤과 업다운은 같은 관절을 쓴다고...같은 관절을 같은 방식으로 쓰는거라구요.

이상하네요...근데 왜 이름이 다를까요??

이상할거 하나 없습니다. 지금 생각하시는게 맞습니다.

둘은 결국 같은 겁니다. 하나의 행동이 2가지 이름을 가질순 없는 법이죠.

다시말해서 업다운과 앵귤을 분리한것 부터가 잘못되었다는 얘기가 됩니다.








'아놔 님하 그럼 지금까지 읽은 칼럼은 뭔가요.'

일단 흥분부터 가라 앉히시고 차근차근 생각을 가다듬어 보시길 바랍니다.



애초에 힌트가 하나 있었습니다.


제가 인클리네이션을 뭐라고 했죠? 앵귤레이션을 모두 배제한 엣징이라고 했죠. 그리고 인클을 잘하기 위해선 먼저 앵귤을 잘 알아야 한다고 했죠?

왜 앵귤이 0인데 앵귤을 잘 알아야한다고 그랬을까요? 앵귤레이션이 0이란 말이 대체 무슨 말일까요? 앵귤레이션이 전혀 쓰이지 않았다는 말일까요?

아닙니다!! 앵귤레이션은 언제나,항상 존재합니다. 즉 앵귤레이션이 0이란 말은 앵귤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말보다는 앵귤이 0이 되도록 사용했다는 말이 더 맞는 말이죠!

궤변 같지만 절대 아닙니다.



0이란 존재는 숫자가 있기때문에 가능한 존재 입니다.

열평형 상태는 열이 존재하기에 가능하죠. 열이 없다면 열평형 상태란 존재할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앵귤이 존재하기에 앵귤이 0일수 있는것입니다.

앵귤이 0이라고 앵귤이 사라진게 아닙니다! 앵귤은 절대로 지워버릴수 없는 것이지요.



그럼 지금까지 우리가 알아본 업다운은 무엇일까요?

업다운도 역시 인클리네이션과 같은 맥락입니다.


인클이 앵귤을 0이 되도록 앵귤을 사용한 것이라면,

업다운 또한 앵귤이 0이 되도록 앵귤레이션을 사용한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제 그동안 말해왔던 업다운이 무었인지 말할수 있습니다.

다운이란 앵귤을 사용해서 몸이 낮아지게 만드는것

업이란 앵귤을 사용해서 몸이 높아지게 만드는것.

<그리고 더불어서 그때의 앵귤값이 0일것>


이것이 그동안 우리가 정의해 왔던 업다운 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업다운이란 정의에 왜 앵귤을 0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항목이 들어있는걸까요?

잘 생각해보니 굳이 그럴 이유가 하나도 없다는거죠.

 

업다운의 목표는 <프레셔 컨트롤>입니다. 라이딩중 발생하는 압력을 해소하거나 더 주는 것이지요.

앵귤의 목표는 <엣지각 컨트롤> 입니다. 라이딩중에 필요한 엣지각을 확보하는 것이지요.

 

둘의 목표가 확연히 다른데 왜 어째서 업다운 할때에는 앵귤레이션을 0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제한이 붙어야 할까요?

애시당초 이런 제한, 아니 이런 정의는 어디서 나왔을까요? 그리고 왜 업다운과 앵귤이 "다르다"로 알고 있었을까요?



전에 말씀드렸죠. 업다운과 앵귤을 할때 완전히 '다른' 관절축을 사용하는 라이딩...

즉 앵귤과 업다운이 완전히 달랐던 경우...



바로 '스키' 입니다.




우리는 보드에도 스키에서 따온 용어들을 가져다 썼고, 그 용어의 개념 또한 같이 가져와서 쓰고 있었던 거죠.

스키는 폭이 좁고 더구나 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토엣징 힐엣징 (안쪽 엣징, 바깥쪽 엣징)이라고 해서 각각 엣지각이 달라지는 일은 없습니다.

 

업 다운을 한다고 해서 무게중심이 플레이트의 중심축에서 벗어나는 일 또한 없습니다.

 

게다가 앵귤을 위한 관절 사용과 업다운을 위한 관절 사용이 완전히 분리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스키는 업다운과 앵귤이란 용어가 분리되는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입니다.

 



그런데 보드로 이 용어가 넘어오면서 희안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스키어가 행하는 '업다운'을 고대로 보드에서 행했더니 힐 다운이 다르고 토 다운이 다르며 엣지각이 마구 변하는 망칙한 일들이 벌어진다는 거죠.

즉 이미 보드는 스키어에게나 해당하는 이런  '올바른 업다운'이 불가능하며, 그것이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는 거죠.





제가 전에 이런 그림을 그렸죠.

1.jpg


근데 왜 어렵게 이래야 합니까? 굳이 이럴 필요는 전혀 없는거 아닌가요? 그냥 이렇게 하면 안됩니까?

2.jpg


어느것이 더 올바른 업다운 같아 보이십니까? 네 물론 그림1이 흔히 우리가 말하는 "올바른 업다운"이긴 합니다.

그런데 그런 "올바른 업다운"을 해야할 이유가 있습니까????

올바른 업다운을 했더니 어떻게 됬나요. 엣지각이 마구 변했습니다.

즉 "올바른 업다운", 이란건 쓰잘데기 없는 개념이란거죠!!



근데 왜 올바른 업다운을 강조하고 그렇게 가르치죠?

그건 말씀드린 대로 스키에서 따온 이론을 아무런 성찰없이 그대로 대입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그 용어를 자세히 정의하고 탐구할수록 수많은 모순들이 튀어나오게 되는것이지요.


우리가 업다운, 인클, 앵귤을 어영부영 알고 있을때는 이런 모순이 생기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업다운과 앵귤이 겹친다는 것들을 희미하게나마 몸으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죠.

하지만 제가 진행한 칼럼을 통해 이를 해체해서 살펴보는 순간 모순점들이 터져버린거죠.

차라리 어영부영 알고 있었을때가 되려 더 정확히 알고 있었던 것이 되버리는겁니다.



그런에 왜 저는 이 칼럼을 진행하면서 이런 뻘짓을 했을까요?

마치 잘 조립되어있는 건물을 다 해체하고 다시 짓는것과 마찬가지인데요?


물론 결과물이야 같겠죠.

애초에 업다운과 앵귤에 대해 두리뭉실한 개념을 지니셨던 분들, 아마 이 칼럼을 끝까지 읽으시면 전과 같이 업다운과 앵귤이 '두리뭉실'한 상태로 돌아가실 겁니다.

하지만 그건 여러분 잘못이 아닙니다. 애초에 용어가 잘못된 용어라 어쩔수가 없는것이지요.



다만 그 과정의 결과물은 다릅니다.

즉 허물기 전이나 허물고 다시 만든 건물이나 그 결과물은 같지만, 우리는 그 과정을 통해 건물의 벽돌 하나하나까지 잘 알게 되었으니깐요.

이제 이런 이론들을 모두 간파한 여러분들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자세가 무엇인지 알 준비가 된것이죠.





이제 인식의 전환을 할 시간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것은 '올바른 업다운'이 아닙니다. 올바른 업다운을 했더니 어떻게 되었나요. 엣지각이 천지사방 날뛰었습니다.

보드를 타는데 알흠답고 고운 업다운이 더 중요할까요, 아니면 안정된 엣지각이 더 중요할까요.

당연히 후자입니다.

완벽한 업다운이란 그저 허상입니다.



그림을 보시죠.

3.jpg

이것은 우리가 엣징중에 '올바른' 업 다운을 했을때 변하는 엣지각의 변화입니다.

 

데크가 넓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낮아질수록 엣징이 강화되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것은 1편 참조)



이중에 하나를 뽑아서 데크 기준으로 눕혀 봅시다.

4.jpg


엣지(지지점)와 무게중심을 잇는 저 녹색 선은 무슨 선일까요?

바로 지지축이었죠.

만약 데크가 아주 좁다면 저 지지축은 데크의 중심선과 가까워지겠죠.

하지만 보드는 넓기때문에 다운을 하면 할수록 저 지지축과 데크의 중심축은 점점 더 심하게 달라지게 됩니다.


5.jpg

이렇게 다운을 할수록 지지축이 기울게 됩니다. 즉 엣지각이 달라진다는 얘기이죠.


우리는 소위 '올바른 업다운'을 위해 우리의 몸 무게 중심을 데크의 중심축 위에 항상 올려놓으려고 했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데크 한 가운데요.

하지만 그렇게 하다보니 다운을 심하게 할수록 데크의 축과 몸의 지지축과는 멀어지는 상황이 오게되고, 이를 맞추려다 보니 결국 엣지각 증가를 초래 했습니다.




근데 데크의 중심축이라는 가상의 선이 더 중요할까요. 아니면 우리몸을 실제 지지하는 지지축이 더 중요할까요?

당연히 지지축입니다. 데크의 중심축이란 우리가 만들어낸 허상입니다. 우리 몸의 중심을 데크의 중심에 놓아야 한다는 제한조건은 사실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그렇게 한다고 균형이 잘 잡히는것도 아니고 프레싱이 잘되는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지지축 위에 무게 중심을 두면 엣지각 변화없이 언제나 균형 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됩니다.



그림을 한번 보시지요.

6.jpg

 

무게중심을 데크의 중심에 놓는다는 제한조건에서 벗어나서, 다운을 하면서 실제 지지축에 항상 무게중심이 위치하도록 다운을 수행한 모습입니다.

지지축 위에 무게중심을 놓다보니 무게중심이 데크의 중심선이라는 가상의 선에서 벗어나게 되고, 자연히 다양한 앵귤레이션이 들어가게 되는군요. 그로인해 엣지각이 '변한 것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럼 이것을 다시 똑바로 세워 볼까요.


7.jpg


네 결과는 이렇습니다. 저 선 위에 놓은 무게 중심들은 모두 균형 상태가 맞네요.

더구나 엣지각은 전혀 변하지 않았구요.

 

우리가 생각하기에 '데크 중심위에 무게중심이 있어야 안정적' 일거란 생각과는 완전히 다르게

 

지지축 위에 무게중심이 있어야 진정으로 안정적이라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결국 데크위에 무게중심을 유지하라는 말은 보드에 있어서는 독이든 성배와 마찬가지라는 것이죠.

 

뭔가 멋있고 그럴듯해 보이는 말이지만, 문자 그대로 적용해보면 라이딩에 독과 같이 작용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 어떻습니까.

과연 우리가 행해야 하는 올바른 업다운이란 뭘까요?



1.앵귤은 쓰지 않고 데크 중심축과 지지축에 한꺼번에 무게 중심을 두느라 안달복달 하면서 엣징이 계속 변하는 업다운?

2.지지축에만 무게중심을 두고 앵귤을 적용해서 엣징이 안정적인 업다운?



당연히 꼽자면 후자입니다.



다만 중요한것은 이런 업다운을 하려면 상당히 뛰어난 바디 컨트롤이 수반되어야 한다는거죠.

당연히 앵귤레이션이 수시로 변하니깐요.



그럼 이와같은 '새로운' 형식의 업다운을 할때의 모습을 정리한것으로 이만 줄이려고 합니다.



8.jpg

이 그림은, 업다운을 하면서 엣지각을 유지하는데 중점을 둔 그림입니다.

 

다시 말하면 몸을 펴고 굽히면서 무게중심을 높히고 낮추는 행동을 하지만, 엣지각은 변하지 않도록 하는 정말로 '진정한 업다운'을 하는 모습이죠.

 

하지만 이런 업다운은 단순히 무게중심이 상하로만 움직이는데 그치지 않고, 앞뒤로도 움직이는 '앵귤레이션'을 사용한 꽤나 테크니컬한 움직임이 되는 것이지요. (파란선의 기울기가 변함)

 

다시 말해 데크의 중심선(붉은선)에 몸의 무게중심을 두려는 제한에는 신경쓰지 않는 움직임 입니다.

 



겹쳐있는것들을 풀어서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토엣지 상황의 모습)))

9.jpg

X축은 같은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엣지각이 증가하는 모습, 즉 앵귤이 강화되는 모습

Y축은 같은 엣지각에서 무게중심이 낮아지는 모습, 즉 업다운이 되는 모습을 나타내죠.

 

 

그림을 보시면 느껴지시겠지만, 토엣지 상황에선 다운을 하기 위해선 반드시 부츠가 굽어야 한다는걸 알수 있습니다.

더불어서 부츠를 굽히지 않은, 즉 다운을 하지 않고 엣징을 하려고 하면 우리가 잘 아는 배내밀기 자세가 나온다는것도 볼수가 있죠.

 

이런 배내밀기 자세가 다운의 효과를 전혀 가지지 않는다는 점도 알수 있구요.

그리고 그림을 <- 방향으로 보게되면 몸을 앞으로 기울일수록 엣지가 풀리는 모습이 모입니다. 즉 몸을 숙이는것이 엣지각 증가에는 아무 도움이 안된다는것 또한 찾을수 있습니다.




((((힐엣지 상황의 모습)))

10.jpg

역시 마찬가지로
X축은 같은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엣지각이 증가하는 모습, 즉 앵귤이 강화되는 모습

Y축은 같은 엣지각에서 무게중심이 낮아지는 모습, 즉 업다운이 되는 모습을 나타내죠.

 

전에 말한바와 같이 그림에서 힐엣징에서는 토와는 달리 부츠를 굽히지 않아도 다운이 가능하다는게 보이실겁니다.

그리고 더불어 우리가 잘 하는 '뒤로 눕는'자세는 어디서도 찾아볼수 없다는걸 아실수 있구요.

그리고 마지막 그림에서 보듯이 부츠를 굽히지 않는다면 우리 무릎과 가슴이 닿게 되어 더이상의 다운이 불가능 함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힐턴시 다운을 잘 하는 방법중에 하나가 포워드 린으로 인위적으로 부츠를 굽힌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지요.

물론 그로인한 단점 또한 토와 힐의 그림들 속에서 찾아보실수 있을겁니다.

포워드린이 강하다면 오히려 업 자세가 매우 어렵다는것을 알 수 있죠.

간단한 그림이지만 지금까지의 칼럼 내용이 모두 들어있는 그림이므로 각각의 변화에 주목해서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좀 배신감 드실거 같지만, 로테이션이 빠진 지금까지의 칼럼은 실상 실제 라이딩 포즈랑은 너무나 많이 다르다는거죠.

뭐 지금까지 잘 보신 분들은 왜그런지 잘 아시겠지요. 몸이 옆을 향하느냐와 앞을 향하느냐...그리고 약간 반만 향하느냐에 따라 자세는 정말 많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로테이션은 정말 중요하죠. 아마 저로서는 평생 답을 내지 못할거 같습니다.



시간되면 제가 즐겨 보는 라이딩 동영상들의 자세를 한번 캡쳐해서 모아 올려보도록 하죠. 그러면 조금이나마 자기 자세 확립에 도움이 될거 같네요.


지금 까지 읽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안전보딩 하세요~

<끝>


Kay

2010.02.11 16:36:43
*.51.64.253

올려주시는 칼럼들 잘 보고 있습니다.
문서파일로 만들어서 지인들과 함께 보려는데... 저작권 등에 문제는... 없겠죠?
혹여 타 사이트에 올릴시 출처를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천학비재

2010.02.11 16:44:52
*.247.144.145

토엣지/힐엣지 상황의 그림은 '토와 힐에서 주로 사용하는 관절은 다르다'는 걸 잘 보여주고 있는 듯 합니다.. ^^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Wookie

2010.02.11 17:12:54
*.217.212.195

이번 시즌의 베스트 칼럼입니다

출력해서 영원히 소장하겠습니다

레토

2010.02.11 17:21:24
*.41.26.124

정말 잘 봤습니다.

칼럼을 보면서 제 라이딩 자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벌써부터 다음 칼럼이 기다려집니다.ㅎㅎ

감사합니다. 안전보딩하세요~

구르는꿀떡곰

2010.02.11 17:21:59
*.253.82.243

음 좋은칼럼이네요.. 제가 타는 자세에 대해 그리고 엥글과 업다운에대해 한번 생각해보게 해주네요...

날아라가스~!!

2010.02.11 17:42:48
*.222.4.76

와~~~칼럼 진짜 성의껏 + 내용 성실 + 내용충만 이네요.

파이팅~~!!!

론리보더 ~ ♪

2010.02.11 17:43:50
*.127.218.162

집에가서 자세히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언제 전경과 후경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세요~~ ^^

여유만만

2010.02.11 18:15:44
*.70.243.164

넘 좋은 칼럼 잘 읽었습니다..^^
몰랐던 내용, 알고는 있었지만 이해하지 못했던 내용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혼이담긴구라

2010.02.11 19:36:21
*.86.128.176

선리플~!
짝짝짝~!

leeho730

2010.02.11 20:33:09
*.23.218.211

이런 내용이면...

책으로 내세요~

민스™

2010.02.11 22:00:37
*.23.76.238

마지막 칼럼이라니 아쉽네요 ^^ 너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막연히 알던것을 이렇게 풀어주시니 ㅎㅎㅎ

2. 지지축에만 무게중심을 두고 앵귤을 적용해서 엣징이 안정적인 업다운?
이게 이번 칼럼의 핵심인가요 ^^v

Dragon

2010.02.11 22:42:31
*.205.20.212

책으로 내야한다는데 한표ㅠ

대에박입니다ㅠㅠ

Curvin

2010.02.11 22:44:51
*.143.134.153

Lunatrix님 전에 리플보고도 느꼈었지만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Bigas

2010.02.12 03:04:47
*.131.111.10

감사합니다 정말 잘봤습니다..안전보딩하세요^^

쏘마

2010.02.12 10:33:08
*.140.170.191

Lunatrix님 정말 대단 하시네요. 훌륭한 칼럼 여기까진가요??
많은걸 깨닫게 해준 칼럼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즐겁고 안전한 보딩하시고 담번에 더 좋은 글 살짝 기대해 봅니다.

POPOPO

2010.02.12 14:00:18
*.197.198.25

루나트릭스님이 쓰신 칼럼중 이번칼럼이 단연코 최고라 생각합니다^^ 엣지각 생성에 대한 그림이란..정말ㄷㄷㄷ
글을 읽지않더라도 그림을 100번만 가만히 쳐다보시면 라이딩(특히 카빙)에 모든것이 담겨있을정도군요..
백문이 불여일견이란말..이럴때 딱이군요..그동안 저 그림에 담겨있는것들을 지인들에게 말로 설명해서 이해시키느라 고생좀했는데..ㅎㅎ ㅂ베이스가 어디신지 궁금하네요^^

플라잉

2010.02.12 14:48:52
*.243.2.4

이 칼럼은 중급에서 상급으로 가는 과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실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봉춘

2010.02.12 15:06:17
*.194.130.130

독학보더로써 정말 고마운 글입니다.
소위 정석이라 말하는 자세에 약간 의문이 생기던차에 많은 도움 받고 갑니다.

아닉스

2010.02.12 16:16:12
*.106.59.1

최곱니다. 추천!!

슬로베

2010.02.12 16:20:20
*.101.51.26

칼럼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단테

2010.02.12 16:25:39
*.16.157.204

업다운 자세에 관해서 많은 점을 재고 하게 해 주는 칼럼이란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방대한 자료라 따로 토론방을 통해서 정리해야 하겠습니다.
혹시 토론방에서 글 보시면 모든 회원님들께서 이해하신 부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따랑해

2010.02.12 21:14:49
*.226.215.119

원심력과 같인 연결을 해서 글을 쓰셨더라면 더 좋았을것 같습니다. 그렇게 하면 더욱 더 방대해지긴 하겠네요.. ㅎㅎ
마지막 그림에서 원심력을 제외한 상황에서 자세를 그림으로 그리셨기 때문에 마지막 그림들이 약간씩 위화감이 생기네요.
토턴의 첫번째에 마지막사진의 배내밀기 자에에서도 무릅을 더욱 굽히고 상체를 앞으로 가게 함으로써 자세를 만들수 있습니다. 원심력이 있는 상황이라면 그에 맞게 자세가나오겠지요. 배내밀기 자세만 가능한것이 아닙니다.
다만 초보자들의 경우 하드한 부츠를 신었을때 무게 중심에대한 경험이 없이 다운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몸의 중심이
힐턴쪽으로 빠지게 되어 버리죠. 초보자는 턴의 시작점이 늦기 때문엔 강한 원심력도 없어 원심력을 이용하지도 못할 뿐더러
상체가 그에 맞에 균형을 잡아주지도 못하기 때문이죠. 그러니 쉽게할수 있는 배내밀기를 가르친다고 보면 되죠.
배내밀기론 상체의 균형을 떠나서 자연스럽게 엣지각을 세울수 있으니까요.
칼럼의 첫부분엔 원심력은 속도에 관계된다고 일축하시고 그부분에 대한 언급을 안하셨지만... 우리가 그리는 턴이 항상
정확한 반원을 그리는것이 아닙니다. 실력에 따라서 턴이 다르고 턴이 시작되는 위치 또한 다릅니다. 초보자의 경우엔
슬로프와 데크가 평행한 상태 이후로 엣지가 먹고 원의 1/4정도밖에 그리지 못하겠지요. 또한 그 원도 슬립으로 인해 제대로
된 원심력을 얻지 못하며 원의 모양도 정확한 반경을 그리지 못하죠. 상급으로 올라갈수록 턴의 시작점이 빨라져 좀더 원심
력을 일찍 축적시킬수 있으며 더욱 커지게 되죠 반원의 모양 역시도 좀더 좋아지구요. 또한 그 원심력을 이용해 더욱 누울수
있구요.(여기서 눕는다믄 말은 자세를 변화시킨다는것보단, 그에 맞는 인클 각을 찾는다고 보면 되겠네요 마지막 자세 그림
을 약간씩 회전시킨다고 보면 될듯합니다) 초보자들에게 힐턴시 더 기대듯 누워라고 하는것은 원심력을 이용해서 인클을
증가시키라는 것이지요. 보통 초보자들은 원심력을 이용해 몸의 중심을 변화시켜보질 못해, 인클을 증가시킬수 있음에도
그렇게 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물론 원심력 이상으로 증가시킨다면 분명히 자빠지겟지만요.
업다운과 앵글레이션은 자세에 관련된 부분으로 자세에 따라 엣지각의 증가를 시킬수 있죠. 인클리네이션은 속도와
턴의 시작, 슬립, 프레스와 관련되구요. 이것들이 조화를 이루어서 엣지각을 만들어내죠. 또한 프레스 컨트롤없는 큰 엣지각
은 압력을 고루 분산시키지 못해 턴의 후반부에 설면이 버티지 못하고 터지게 만들구요.
제 댓글은 Lunatrix님에게 딴지를 거는것이 전혀 아닙니다. 대부분의 내용에 동의를 합니다. 단지 이러한 부분을 추가했으면
하는 바램에서 적은것이며 Lunatrix님의 글을 읽는 분들에게 자세와 더불어 원심력과 프레스 컨트롤 역시 엣지를 증가시켜
좀더 완성도 높은 턴을 만들수 있다는걸 알려드리기 위해 적었습니다.
Lunatrix님 정말 수고하셨고 재미있게 칼럼글을 읽었습니다.

턱엣지

2010.02.12 23:02:38
*.157.211.86

전지현보다 알흠다운 에스라인을 그리기 위한 한편의 모노드라마 같습니다..감동입니다..ㅜ_ㅠ


만약 "따랑해"님의 댓글 내용이 본문에 추가되었다면...;;

2010.02.12 23:42:16
*.51.112.62

라이딩 자세에 대한 여러가지 생각을 다시 해보게 하는 좋은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토론방에 좀더 긴 의견을 실었습니다.^^

CASI level -3

2010.02.13 00:11:18
*.236.211.26

감사합니다....

잘보고 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마린

2010.02.13 01:35:11
*.34.234.61

배내밀기...흠흠...이건 직관적으로 생각해도 고속에서 뒤로 벌렁 넘어 갈거 같지 않나요...??

힐턴에서 뒤로 눕기...흠흠...이건 말이 안되죠...고속에서 앵글 없이 인클로만??

강한 앵글이 강한 인클을 만들어 냅니다.

앵글 없이 인클은 저속에서 만 가능 합니다.

알파인에서 보여주는 익스트림 카빙....과연 앵글없이 인클로만 타는걸 까요??

다운이라는 것은 부츠를 찌그리는 것이 아니고 포지션을 만드는 겁니다.

원심력에 대항할 수 있는 자세로...체중을 엣지에 실어 주기 위한 포지션을 만드는 겁니다.

토턴에서 배내밀기...= 원심력에 대항할 수 없습니다...뒤로 넘어 가거나 허리 다칩니다.

힐턴에서 드러눕기...= 체중을 엣지에 실어 줄 수 없습니다. 위에서 말했지만 강한 앵글이 강한 인클을 만들어 냅니다..

그럼 어떻게 하냐고요...그나마...리키님의 라이딩에 어느정도 해답이 보이네요....이번 뮤직비디오 한번 보시면서..답을 찾아 보세요..리키님이 이기용님 입니다. 슈퍼키드 동영상 보시면서....연구연구..


전광혁

2010.02.13 08:52:58
*.148.85.133

한가지 불만은 글쓴 LunaTrix님, 아이디가 어려워 나중에 검색할 때 아이디를 잊어버릴까 걱정되네요.ㅠㅠ
1011시즌에도 글을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스킨키드

2010.02.13 12:50:01
*.45.66.173

좋은 글 수고하셨습니다. 동호인들과 함께 나누기 위해 퍼갑니다. ~~(__)*

오징어

2010.02.14 04:29:05
*.70.143.85

수고하셧습니다. 좋은 칼럼이네요.

좀 뜬금 없지만 몇가지 정보를 추가하자면,

포워드 린은 웬만하면 안하고 하는게 낫습니다. 팝칠때나 힐쪽 그랩 잡을때 엄청난 방해가 됩니다.

특히 파크나, 파이프에서 큽니다. 버튼이나 플럭스 바인딩은 기본으로도 많이 기울어져 있어서 숙일 필요도 없구요.

사실 하이백 없이도 스트랩만으로 라이딩이 가능합니다.(플로우 바인딩)


힐 카빙의 대 부분의 문제점은 뒷 무릅을 사용 못하는데 있습니다.

카빙은 사이드 컷부터 테일 부분까지 에지가 박히는데 가장 강력한 힘을 사용합니다.

토 카빙은 쉽사리 뒷 무릅을 뒷발에 무게가 더 실리게 할 수 있어 후경이 쉬우나

힐은 그게 신체 구조상 힘듭니다.

1. 인위적으로 뒷발에 체중이 모두 실리게 해야 합니다. 즉, 전경에서 완전 후경으로 변하고 앞발에는 원심력이 없습니다.
2. 뒷 무릅을 인위적으로 앞발 바인딩쪽으로 밀어서 후경이 되게 만들어야 합니다.
3. 뒷발 발바닦의 엄지발가락 쪽의 발바닦에 무게가 실립니다. 힐이니 안쪽 뒷굼치가 되겠지요.
4. 허리를 굽히고, 뒷 손을 내밀어 에지를 더욱 깊게 박히게 만들어야 합니다.

결론: 급격한 카빙시에는 몸으로 데크를 휘게 만들어야 한다.

이유: 내려가는 경사에 반발해 데크를 뒷발로 눌러 최대한 휘게 만든다.




대 부분의 힐 카빙이 터지거나 슬립이 나시는 분들은 이걸로 대부분 잡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오징어

2010.02.14 04:32:28
*.70.143.85

중요한것은 앞뒤로 무게중심으로만 하는 카빙을 모두 익히고 해야지, 그것을 모른 상태에서 하면 엉망진창이 됩니다.

흥미로운 것이,

위와 같이 함으로써 초보 시절에 몸이 뒤로 빠져 턴이 안되며 노즈 들려 슬립이 안되고 계속 가는 것이 다시 사용 되는 것입니다.

직진성이 좋아지며 슬립이 안났죠. 초보 시절에 무서워서 몸을 뒤로 뺏을 때!!!!

마린

2010.02.14 14:54:09
*.13.45.231

뒷무릎을 사용한다라...아닙니다...

그렇게 타면 무릎 아푸실텐데...그리고 그 자세는 엣지에 체중을 실어 줄 수 있는 자세가 아닙니다.

그렇게 타면 다리에 체중을 실어 줄 수 있을진 몰라도 뒤꿈치에 체중을 실어 주지 못합니다.

상체의 원심력을 허벅지, 정강이를 통해 뒤꿈치로 모아 엣지에 체중을 실어 줄 수 있어야 합니다...

김두선

2010.02.14 22:37:19
*.33.61.102

양질의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참고가 되네요

세파랑

2010.02.15 22:07:59
*.160.37.222

역시 분석이란 이런 것이다... 라고 알려주시는 것 같네요. 전혀 다른 이해를 할 수 있게 된 계기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왈왈이

2010.02.16 09:29:47
*.168.98.142

정독 3번 하니 이해가 되내요~~ 아직 내공이 부족해서리`~~ 최근 이 문제로 고민 많이 했는데...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somah

2010.02.16 13:40:30
*.104.250.26

^^ 칼럼 정말 잘 읽었습니다. 지난주에 읽고난 후(이해는 다 못했지만...;;) 제 나름대로 이미지 트레이닝도 하고... 아직 초보라서 자세 교정을 계속 하는 중인데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ㅎㅎ 두고두고 읽어보려구요~ㅎㅎㅎ

낙엽머쉰

2010.02.17 02:19:21
*.121.179.144

제 생각엔 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칼럼인데요...

지지축이란 가상의 선을 그려서 설명을 하셨는데,

엣지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프레스를 준다고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프레스는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엣지를 45도를 세웠다면, 보드도 지면에서 45도 각도로 눌러주는 것이죠.

위의 자세들 중에 보드의 중심에서 무게중심이 벗어난 자세가 많은데요,

보드중심에서 무게중심이 벗어날 때는 엣지체인지 구간뿐이죠.

무한창조

2010.02.17 14:50:51
*.45.0.67

혼자 독학으로 타고 있는데 가끔 제가 엉덩이를 쑥 내밀고 타거든요...;;

마지막 그림을 보고 저런 자세도 있구나 하면서 안심하고 갑니다.

하지만 정말 잘 하고 있는건지 걱정이 되긴 하네요..^^;;

MJ

2010.02.20 19:25:12
*.64.124.195

카빙 연습한답시고 피똥싸는 이유를 검색해봤는데


그 어떤것 보다도 정확하네요..


이전까지의 틀린 지식을 고치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시간 고민하고 노력하신 Lunatrix님 존경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285
3316 장비 관련 스노보드 데크의 스펙 분석 [36] 진광마 2009-09-23 66 15452
3315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기... file [27] Lunatrix 2010-02-10 72 15451
3314 일반 스키장에서 서리낀 고글 빠르게 말리는 방법 [42] Afro- 2010-01-02 30 15428
3313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실... file [39] Lunatrix 2010-02-10 63 15402
3312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라이딩 팁#1 바인딩 세팅 file [57] ┓푸른바다┏ 2016-12-23 23 15387
3311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카빙을 위한 몇가지 팁 [75] orthodox 2016-02-12 47 15381
3310 기술(테크닉) 스위스에서 가르치는 카빙턴의 종류 [22] leeho730 2010-02-21 77 15380
3309 기술(테크닉) 피벗팅/스티어링 그리고 슬라이딩턴... [39] Xenos! 2008-02-12 70 15377
3308 기술(테크닉) 에지전환 & 힐턴에 대한 소고 [36] KOON™ 2005-12-21 217 15295
3307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복장 제대로 챙겨 입기 [55] 라리라 2012-09-30 15 15227
3306 일반 후드티 만들기... ^^ 후후 별거아닌데.. ~~ ... [59] 혼자살자 2008-06-10 109 15221
330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 file [15] ┓푸른바다┏ 2015-11-15 30 15200
3304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보강재 file [32] leeho730 2013-01-10 26 15177
3303 의학,부상,사고 [의학논문] 하이백에 의한 여성 음문(성기) ... [22] poorie™♨ 2010-01-19 33 15131
3302 기술(테크닉) 팔을 흔드는 이유 file [35] Lunatrix 2014-01-30 47 15093
3301 장비 구입 후드티, 스트릿웨어 등의 가격 거품에 대하여 [146] 팔콘 2009-09-24 63 15052
3300 기술(테크닉) 제대로 카빙을 할수 있는 방법 [42] NEVERSUMMER 2008-12-22 52 14971
3299 장비 관련 부츠 - 아직도 발 아픈 부츠를 억지로 신으... [64] 로그너 2008-02-29 97 14907
3298 초보를 위한 강좌 중급으로의 도약 - 카빙턴 [54] 바카스 2005-12-08 87 14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