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엔데버와 보드 업계 OEM 에 대해서 글을 썼던 사람입니다.
07/08 엔데버 스노우보드 소식을 듣고 보드업계 현실에 씁슬한 마음에 다시 글을 씁니다.

엔데버는 자체 공장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나름 큰 기업들의 낮은 콸리티 대량 생산 보드들에게 대항한다는 정신을 가진 신선한 기업이었습니다.
유명 아티스트 작품을 그대로 적용한 그래픽 같은 실험적인 그래픽과 프로 스스로 꾸려가는 팀 운영 같은 것. 창업자 겸 CEO 인 Max Zenke 도 인터뷰에서 나왔듯이, 코어 브랜드 같은 성격으로 나가는 기업 같았습니다.

그러나...

엔데버 OEM 변천사

1. 첫해 포틀란드 미국 업체에 OEM
2. 업체 망한후 캐나다의 소량 프리미엄 제작사 Logic Snowboard Ltd. OEM
3. 하위 제품은 옵션에서 OEM
4. 상위 제품까지 옵션에서 OEM
5. 하위 제품을 오스트리아에서 OEM
6. 07/08 전 제품 오스트리아에서 OEM

이게 무슨 큰 대수냐 하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소비자가 구입하는 가격은 같지만 2번 제작과 6번 제작된 보드는 질적으로 차이가 납니다.
실질적으로 타면서 느끼는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많지만..
일단 원가가 차이가 나고 내구성도 차이가 납니다. (내구성 문제는 의견이 분분하여..)

이제 엔데버도 기업 '이윤추구의 최대화' 라는 당연하지만 조금은 섭섭한 명제의 방향으로 가는 군요.  
  
이런것 까지 따지는 분도 있겠냐마는 재료 단가가 차이가 많이 납니다. 내구성 테스트에서도 많이 나왔고요..

몇가지 엔데버의 변화 (안좋은 방향으로)

1. 로직 OEM 시절 캐나다산 아스펜 나무 코어가 지금은 포플라 나무 코어로 바뀌었음..
(업계에서는 캐나다 산 아스펜 코어에, 엣지부분에 메이플 나무 덧댄것을 최고급 코어)

2. 사이드월이 UHMW (예.P-tex 재질) 이 ABS 수지로 바뀜
(네버섬머,유니티,도넥 같은 소량 고급보드들은 UHMW 재질을 씀..추운날씨 내구성에서 큰 차이)


결론: 많은 보드 브랜드들이 제품 품질보다 광고,마케팅에 투자를 더 많이 하는 악순환이 계속 되네요. 엔데버,캐피타,Dinosaurs Will die 같은회사들이 이런거 안할려고 만들어진 곳들인데..어쩔수 없이 큰 기업들 따라 가게 되네요.

보드 업계에서 제일 큰 회사는 라이드,머로우,5150등 여러개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K2와
립텍,GNU,DC 등을 소유하고 있는 퀵실버 입니다.
그리고 그 회사들을 보드와 전혀 상관없는 회사들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제일 많이 파는 회사는 버튼인데, 버튼은 법인회사도 아니고 제이크 버튼 부부의 파트너쉽 회사입니다. 버튼이 제일 큰 회사가 아닌 점이 아이러니 입니다.
엮인글 :

그래봐야

2007.09.05 17:17:46
*.111.199.158

보드죠.. 스노우보드 제작사 가운데서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살로몬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살로몬은 스포츠용품 전문기업이어서 그렇지, 스노보드 장비만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 치고 굴지의 기업은 없다고 보는게 낫죠.. 매시즌마다 벌어지는 품절 현상이 이를 반증하죠.. 어차피 수요는 한정되어 있으니 약간 모자란듯 생산하는게 재고부담도 없고 가격정책에도 유리하니까.... 저들도 원가절감 당연히 추구하는 부분이구요... 수제보드가 팩토리에서 찍어낸 보드보다 훨씬 품질이나 마무리가 좋을 수도 있지만, 수제보드는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품질오차가 많아서, 차라리 팩토리 보드로 표준화해서 파는 것이 이래저래 좋다고 판단했을 겁니다.. 글고, 수제나 팩토리나 요즘 별로 안따지지 않나요?

근데

2007.09.05 18:46:17
*.233.213.163

살로몬이 어째서 제일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지. 단지 여러가지를 하고 있고 그중에 스노보드가 있는거지. 스노보드 자체로만 보자면 별로 크지 않습니다. 그리고 스노보드 장비만 하는 회사는 당연히 시장이 그렇게 크지 않으니 굴지의 기업이 나올수가 없지요. 그리고 품절현상은 당연합니다. 요즘은 대부분 시즌말쯤 그 다음해 제품 수주회를 합니다. 샘플가지고. 그 수주회의 주문양 + 여분의 재고 + 약간의 CS품정도 생산하지요. 시즌을 타는 제품이라 무작정 찍어낼수 없습니다. 한시즌 끝나면 반값에 팔아야하는데 누가 미친듯이 만들어 놓겠습니까.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고 제대로 된 딜러 망이 구축이 된다면 그게 훨씬 나은 방식입니다.

쩜세개

2007.09.05 18:56:11
*.49.29.2

뻔한 겁니다. 스키 시장의 역사를 보면 뻔히 답 나옵니다.
스노보드는 시장 크기에 비해서 현재 회사가 너무 많은 그야말로 레드 오션입니다.
몇몇 소규모 팩토리 수준을 어설프게 벗어나려다가는 망하거나 먹힐껍니다. 마빈 팩토리마져 퀵실버로 넘어간 마당에.... 포럼/스페샬도 넘어가고...

개인적으로 볼 때 엔데버는 자충수를 뒀습니다. 지명도도 떨어지는 브랜드가 규모 좀 키워서 돈좀 벌어볼라고 그런 모양인데 그냥 매니아층 형성하는게 나았을텐데... 잘해야 롬정도로 커지면 다행이고...

근데님

2007.09.05 19:01:06
*.5.104.83

첫번째 '그래봐야'님 내용이 그 내용인데요..? "살로몬이 제작사 가운데 큰 규모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스포츠용품 전문기업어서 그렇다. 보드장비만 하는 회사치고 굴지의 기업은 없다." 내용 그대로 읽으면 '근데'님 말씀하고 다를게 없는데, 이상하게 '그래봐야'님 딴지글 같은 뉘앙스네요... ㅋㅋ

1221

2007.09.05 19:20:01
*.138.241.152

역시 유니티가 짱이군여
-_-a

한솔

2007.09.05 23:42:22
*.141.152.32

이 칼럼을 쓰신 순수한 의도가 궁금 하내요...글을 읽고 있으면.. 거론하신.. 몇몇 수제 보드들만이 우수하다는 느낌이 강하게 드내요.. 아마 저뿐만이 아닐거 같습니다...특정 브랜드 수입상하고 연관이 있으신건지.. 거론하신 제품들 중에 올해 수입이 재개 되는 브랜드가 있어서 그런느낌이 드내요...제 윗글 비로거 분의 댓글도 그렇고.. 제가 넘 민감한 건지..최고급 코어와.. 베이스 소재를 사용하고..대량 양산 체제를 갖춘 공장에서 생산 되면서도..내구성과 기타 등등의 성능에서 우수성을 인정 받은 데크는 없나요? 그런것들도 좀 써 주셨으면..좀더 균형감 있는 칼럼이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1221

2007.09.06 00:02:41
*.138.241.152

음-_-;한솔님 별의 별 괜한 오해를다..
저기 위에거론된 제품들은 수제 고급데크들로 유명했떤 보드들이고 s로마님은 예전에도 해외의 여러 소식들을 칼럼으로 써주시던 분입니다.
엔데버가공장으로 oem체제로 넘어간다는게 좀 그렇긴 하네요 제가알기로 엔데버는 국가급?으로부터 인정까지 받았던 캐나다 자국브랜드로 알고있었는데..
유니티나 네버섬머 같은경우는 다른것보다는 소수매니아층이 두텁기때문에 제가 저렇게 리플을 단거구요..전 예전부터 유니티를 좋아해서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던 사람입니다

1221

2007.09.06 00:14:32
*.138.241.152

그리고 제가보기에 가내수공(-_-ㅋ) 데크와 공장데크의 내구성 차이에는 물론 차이가 있지만 눈에 띌 정도는 아닙니다.
이건 성능차이라기보다는 그 보드의 특성(하드함이나 탄력의 특징 등)을 나타내게끔 되어있는거같습니다.
그리고 직접 만들었다는 그 프라이드가 코어브랜드로서의 이미지로 나타나는거같습니다.

S로마

2007.09.06 07:21:10
*.180.190.127

제가 특정 회사와 관련이 있어서 쓴 것은 아닙니다만.. 프라이어,유니티,네버섬머,도넥 같은 제품품질에 신경을 쓰는 회사들에게 애정이 많이 갑니다. 이런 회사들은 되게 작은 회사이구요.
그외에 많은 수많은 브랜드들이 실상 같은 공장에서 OEM 생산되는 현실과 마케팅에 돈을 더쓰는 현실이 조금 안타깝기도 합니다.

k.b.f

2007.09.06 08:25:56
*.140.162.133

로마님칼럼 잘 읽었습니다. 항상 좋은 정보를 주신점 감사하고요...
제 생각에 품질만 확실하다면 제작비용을 낮추는 대량생산이 나쁘다고만 할 수는 없는것 같습니다. 버튼,롬, 라이드 등 현재 상급브렌드로 알고있는 제품들도 제작비용을 낮추기 위해 오스트리아 또는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하거나 또는 계획중인건 명백한 사실 이니까요...
또 한가지 개인적으로 이러한 대량생산한 데크는 저급품이다 라는 뉘앙스에는 동의하기 어렵네요~~ ^^;

론리보더 ~ ♪

2007.09.06 08:42:12
*.127.218.162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이태리제 수제 스포츠카를 타느냐 일제 스포츠카는 타느냐의 문제 같네요

王토야

2007.09.06 10:33:01
*.173.9.18

제작 단가를 낮춰서 이를 홍보에도 쓰지만, 기술연구에도 쓰이지않을까요.
오로지 단가를 낮추고 판매에만 초점을 두는 회사라면 언젠간 망하겠지요.
엔데버 좋아하는 브랜드였는데 상급라인까지 OEM하는거보고 좀 실망했였죠.

돈없는보더

2007.09.06 10:46:34
*.247.145.11

이러다가 결국 다 중국으로 넘어가지 않을까 ...
걱정이 드네여...

backy

2007.09.06 11:16:24
*.217.174.248

관리만 잘 된다면.. 꼭 중국제품이 나쁘다고는 생각하지 않네요.

중국제품 제외하고 생각한다면. 5년후쯤이면.. 쓸수 있는 제품이 없을듯..

^^

2007.09.06 12:20:18
*.175.37.70

버튼도 공장 중국으로 옮기면서 원가절감하고 있지요..
거의 모든 브렌드가 그리 하고 있습니다.
엔데버라고 꼭집어서 말할사항은 아니라고 보는데요..

카건☺

2007.09.06 12:52:37
*.109.174.250

좋은 칼럼 잘 봤습니다~^^

론리보더 ~ ♪

2007.09.06 13:05:48
*.127.218.162

엔데버는 예로 드신거겠죠~
일본의 나름 유명하고 잘 나가던 브랜드들도 대부분
오가사카 공장이나 중국의 K2공장에서 만들어 집니다.
이런 현상은 수제로는 이윤이 안 남고 대량생산으로도 어느정도 품질이 나오기 때문이겠죠

^^

2007.09.06 14:02:43
*.44.179.232

사반다,인피니티도 중국공장으로 다 넘어 갔답니다.
그래서 작년부터 인기가 없어졌다는~~

00

2007.09.06 16:35:53
*.109.69.48

캐나다수공, 아스펜코어, UHMW사이드윌.. 시온이랑 네버썸버가 생각나네요.
뭐 우리네같은 일반보더들이야 그 차이를 크게 느끼지는 못하겠지만, 브랜드네임에서 탈피해 눈을 돌려보면
좋은원자재로 좋은데크를 만드려 애쓰는 작은 회사들도 많죠.

생산관리

2007.09.06 19:30:16
*.88.190.253

좋은 재료를 써서 좋은 데크를 생산한다는 개념은 충분히 이해하고 공감이 가지만, 대량생산이냐 수제냐 하는 건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물론, 디자인이 같다면 말이죠.

데크 생산 공정을 보자면, 그 차이란 게 의미가 없는 것 같습니다. 실제 대량 생산 공장이나 소량 수제작 공장이나 공정이나 처리 방법에는 차이가 거의 없더군요. (슬로베니아의 살로몬, Head 등의 OEM 공장에도 가 봤고, 작은 수제작 회사에도 가 봤습니다.)

차이라면, 생산라인이 FLOW 라인으로 되어 더 많은 인력과 장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가, 아니면 필요한 장비가 하나씩 있어서 작업자가 그 기계를 왔다갔다 하면서 소량 생산만 하느냐인데... 과연 어느 게 더 나을까요?

페라리나 롤스로이스가 더 높은 퀄리티 때문에 수제작을 하는 게 아니라, 생산량이 적어서 대량 생산 라인을 만들어서는 그 설비비를 뽑지 못하기 때문에 수제작을 하는거죠.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나 재료, 혹은 디자인의 차이는 배제하고 있습니다만...

대량 생산을 한다면, 더 좋은 재료와 더 나은 디자인으로도 낮은 비용에 생산이 가능할 겁니다. 그런데, 실제 재료비가 전체 원가에서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 할까요?

100만원짜리 데크가 50만원짜리 데크보다 재료비가 50만원이나 더 비쌀 것 같지는 않군요.

더 비싸고 좋은 데크에는 더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 비용, 개발비, 더 높은 마케팅 비용 등이 들어가서 그런 거지, 실제 재료비를 포함한 생산 원가(설계, 개발 등의 비용은 제외한)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 같습니다.

S로마

2007.09.07 00:27:55
*.180.190.127

문제는 재료가 차이 난다는 점이죠. 보드에 들어가는 코어,엣지스틸,탑시트 재질 등 재료에서 질적인 차이가 많이 납니다.

대량 생산의 메카 엘란 같은 곳의 단점은 ...역시 프레싱 온도와 시간..
대량 생산팀에서는 고온에서 단시간 프레싱으로 내구성 문제를 야기 시킵니다.
프라이어나 로직팀이 항상 주장하는 내용 입니다.

딜러

2007.09.07 02:24:47
*.230.32.22

왜 보드샵에 계신분이나 관련업계에 계신분들은
보드를 꼭 차와 비교 하실까요?? ㅋㅋㅋ
고참 희안하네~~
페라리나 롤스로이스같은 명차회사의 자부심과 가치가
보드회사와 비교가 되나요??
ㅋㅋㅋ

론리보더 ~ ♪

2007.09.07 08:53:59
*.127.218.162

딜러> 자부심과 가치를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생산공정에 대해서 이야기 하는 중입니다만;;;;

S로마>재료의 차이라고 하셨는데
메이져급의 상급 데크들은 매년 자기들이 신재료 좋은 재료 쓴다고 광고를 합니다.
전 잘 모르지만 돈 많은 메이저급 회사들이 더 좋은 재료를 구하기도 쉬울 듯 한데
S로마님의 말씀은 대량생산의 중저급 보드와 프라이어와 비교하신 건지
아니면 대량생산의 (최)상급 보더와 프라이어를 비교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S로마

2007.09.07 16:10:04
*.180.190.127

^^ 저도 큰 회사들이 정확히 어떤 재료를 쓰는지에 대한 정보는 없습니다. 단지 예전에 미국 인터넷 포럼에 프라이어 사장 인터뷰가 나왔는데,
Mass production 하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재료를 하나하나 언급하더라구요.
그러면서 로시놀 프로들 쓰는 보드는 자기네에서 OEM 헀다는 자랑도 하구요..
버튼 보드 프레싱 타임 적게 줘서 내구성 약하다고 대놓고 비판을 했습니다. 립텍/GNU 창업자 마이크 올슨 씨도 비슷한 말을 한적이 있구요.

생산관리

2007.09.07 21:05:02
*.55.49.19

기업이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원가 절감을 떠나서 OEM 업체를 바꾸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죠. 비용 문제가 제일 크겠지만, 해당 업체의 생산량이라던가, 계약 조건이 안 맞거나, 간혹은 해당 업체가 망한다던가...

아무튼 재료나 공정의 문제는 기업 정신의 문제라기 보다는 제품/공정 설계에 관한 노하우 문제일 것 같습니다만...

2007.09.08 10:45:58
*.153.81.190

재료 절감보다는 인권비 절약때문에 오이엠 하는거 아니었나요?
재료가 크게 영향은 못 미칠듯한데요..

jB♬

2007.09.24 20:47:21
*.48.35.240

이 컬럼에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것은..."좋은원자재 및 제조공법(수공업)을 통해 좋은 내구성을 자랑하던 보드 브랜드"들이 "덜 좋은 원자재 및 제조공법(대량자동공정)을 통해 덜 좋은 내구성의 데크를 만드는 대신 그 비용을 마케팅에 사용하여 성공한 브랜드"들에 의해 자신만의 색깔을 잃고 망하지 안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후자의 브랜드를 따라가는 것이 안타깝다는 내용인 것 같습니다..한마디로 돈 벌기 위해 장인정신을 버렸다는 거죠..맞나요??정말 안타까운 현실이지만 반대로 정말 어쩔 수 없는 현실인 것 같네요..;;저 조차도 수작업한 데크 100마넌주고 사서 7~8년 쓰느니 50마넌짜리 데크 3~4년에 한번꼴로 바꿔서 10년 쓰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생산관리

2007.09.27 22:16:00
*.55.49.19

원래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는바는 아니지만, 소량 생산 업체에서 대량생산 업체로 OEM을 회사를 바꿈으로써 사용하는 재료가 나빠진다는 점은 확인 안 된 정보이고, 대량생산이라는 것 자체가 제품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것도 수긍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와 같은 글을 썼습니다.

자신만의 색깔을 잃었다는 점은 아쉽지만, 어차피 처음부터 장인은 아니었지 않습니까? OEM 하던 소량 생산 업자는 장인일지 모르나... 위의 브랜드를 만든 친구들은 원래 보더거나 사업가일 뿐이죠.

스위스에 SWOARD라는 익스트림 카빙 전문 데크가 있습니다. 원래 아주 작은 업체에서 생산하다가 거기가 망해서, VIRUS 데크 공장에 OEM을 했는데, 바이러스도 요즘은 슬로베이나에 OEM을 하는 바람에 올해부터는 스위스의 Nidecker 공장에 의뢰를 합니다. 물론, 생산량이 아주 적을 때는 작은 공장에 OEM하는 게 낫지만, 이젠 어느 정도 생산량도 많아지고 하니, 작은 공장에서 비싸게 만들기보다는 큰 공장에서 싸게 만드는 게 낫죠. 이른바 규모의 경제 아니겠습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242
3397 장비 튜닝 (데크튜닝 1/2) 나만의 데크를 만들어 보쟈!!! file [18] GUARDNUS 2006-11-07 -147 7506
3396 일반 [고도칸보더] 스노우보드와 자동차 - 5) 캠... [56] 고도칸보더 2007-08-07 -120 7006
3395 헝그리 캠페인 보드 교습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인 에티켓도 ... [13] 우야여요 2006-12-13 -68 3598
3394 기술(테크닉) 엉덩이를 넣는 자세가 옳은가요??? [96] 쌔끈라이딩 2008-01-24 -65 11412
3393 기술(테크닉) 킥커진입시 바른 진입과 잘못된 진입 [30] volcomsnow 2007-06-26 -59 7841
3392 장비 튜닝 간단 캐픽스 튜닝 [14] 볼터치 2007-11-08 -31 7702
3391 기타 초급 파크 유저분들께 당부 말씀 (타이거 파... [92] 키커초보 2007-08-10 -26 9453
3390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님들을 위한 작은 팁 하나(바인딩 채우... [29] ^..^ 2006-01-19 -22 8324
3389 장비 관련 영국에서 실시하는 K2 리콜 서비스 [8] leeho730 2008-05-04 -16 5337
» 장비 관련 엔데버의 씁슬한 원가 절감정책 [28] S로마 2007-09-05 -5 6557
3387 기술(테크닉) 캡(cab)과 하프캡(half cab) [43] 카발레로 2007-02-06 -5 5898
3386 장비 튜닝 스노우 스커트 만들어봤어용^^ file [5] noriter 2011-11-14   5891
3385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0
3384 장비 관련 에폭시 도전기. file [9] Snowdorp81 2012-12-05   3510
3383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19/20 간단 인터뷰 file 잉여9 2019-01-06   1471
3382 장비 튜닝 누런색으로 변해버린 캐픽스... file [9] sky runner 2011-11-12   5402
3381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키네틱 #2 문박사 2020-05-30   342
3380 기술(테크닉) 토사이드 프레스 주는 법 file [2] 레몽레인 2018-04-03   5180
3379 의학,부상,사고 밑에 보험료 [18] 十全大補湯 2012-09-28   3393
3378 헝그리 캠페인 손재주없는 사람의 데님보드복 제작기~ file [10] ZENNIA 2011-02-14   9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