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전중후라고 많이들 표현하시던데,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무게중심을 어디다 둔다기 보다는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데크를 컨트롤 하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이동된 결과를 표현한 것 같습니다.



데크 컨트롤 관점에서 보면

턴 진입할 때 데크보다 먼저 몸을내밀어 데크를 진행방향쪽으로 당기면서 리딩한다는 느낌입니다.

턴 중반 이후부터는 압력을 자연스럽게 해소하기 위해서 진행방향 쪽으로 데크를 밀어 보내준다는 느낌입니다.


이처럼 턴이 이루어지는 동안 데크를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촛점을 두고 설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엮인글 :

AlexC

2017.02.08 16:23:15
*.223.34.191

추천
1
비추천
0

무게중심 전중후 후중전 이것은의외로 턴의 시작을 어디서 보느냐의 관점도 많은 혼란으로 오는것같습니다.

게다가 말씀하신대로 무게중심이 아니라 몸의 중심을 컨트롤 해서 나타나는게 무게중심이라는 결과로 보여진다는데 동의합니다 그래서 무게중심만 따지면 결과만 보는것이라 크게 알기는 힘들다고 생각하네요


물론 리스펀스를 줄때 결과치인 무게중심의 위치라는 인풋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봅니다만 본문의 언급과는 다른이야기니

호9

2017.02.09 05:55:22
*.223.44.70

지나가다 한자 남기자면...
어렵다면 어렵고 뭐 단순히 생각해보면 단순한 문제인듯 합니다. 물론 고수의 세상은 몰라 하수의 눈으로만 보자면....

당신은 얼음판에서 판떼기 위에 올라가 평온하게 앞쪽의 꽃보더를 보고 있습니다. 그때 뒤에서 친구놈이 넘어지라고 당신을 확~ 밀어버렸습니다.
이때 당신이 안넘어지고 베이스만으로 가장 빨리 정지해서 평온한 자세로 꽃보더를 볼 수 있는 방법은~~~
1. 미는 힘을 이용해 판떼기의 중심점보다 몸을 앞으로 보내고 보드와 함께 미끄러지다 뒤로 몸을 이동한 후 중심점으로 돌이온다~~
2. 미는 힘을 느꼈을때 앞다리를 쭉 뻣어 미끄러지다 몸을 앞으로 이동한 후 자연스레 중심에 선다~
3. 땅바닦에 손을 짚는다~~ ^^

뭐 또 있나요?? 댓글로 부탁드리겠습니다~ ㅎㅎㅎ

소리조각

2017.02.09 14:11:22
*.90.74.125

저는 전중후라는걸 그다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기에 논란이 될것이라고 생각을 못했었는데요.


단순하게 턴진입시에 노즈드랍이 일어날 경우에는 당연히 전경이 될것이고, 카빙의 중간과정에서는 당연히 프레스에 집중을 해야하니 중경이 맞을것이고, 턴의 마무리에서는 테일이 털리는걸 방지하기 위해 뒷발 눌러줘야 하니 후경이 될것이고...

슬라이딩턴도 마찬가지로, 하체 스티어링을 하게 되면 데크가 뒤에서 앞으로 가는 과정에서 바디는 당연히 전중후가 될거구요...


이걸 너무 다각도로 접근해서 연구하다보니 후중전이니 뭐니 하는 주장들이 생겨난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후중전이라는 말이 틀리다고 볼수도 없거든요. 전중후라는 순서가 중요한게 아니라 피보팅의 각 부분에서 왜 중심이동이 필요한지를 이해하면 그다지 논란이 될 내용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보딩은 이론보다는 실전이라는 생각이...


여러가지 보딩에 대한 연구를 폄하하자는건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보드연구 자체가 아마추어적인 성격이 짙다보니, 학문적인 체계가 전무하고, 그러다보니 용어정의도 제대로 안된 상황에서 다소 불필요한 논쟁이 너무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심지어는 두사람이 서로 똑같은 얘기를 하면서 싸우는데도 주변사람들이 이상하게 생각안하고 동조하는 경우도 많구요...

세비~★

2017.02.10 11:28:07
*.45.7.254

음....전중후 빼는것도 개인의 스타일과 철학이 있을 것 같습니다.


슬라이딩턴 기준으로 저는

경사면에서 뉴트럴을 잡는 것만으로 이미 전경이 걸리는 느낌이고요.

프레스를 주며 중후경으로 뒷발을 말아서 비비고, 이 후 다시 뉴트럴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스타일을 선호 합니다.


카빙기준으로도 비슷합니다.

턴 도입부 전경을 걸려고 몸을 던져넣는 동작은 잘 쓰지 않습니다.

왜냐면.......



전 오징어니까요ㅠ

Lunatrix

2017.02.12 16:21:06
*.237.143.246

추천
1
비추천
0

애초에 전중후를 판단하는게 결국 우리의 발이 느끼는 '답력'뿐이라는 데서 전중후나 후중전 이론은 그 당위성을 입증할 능력이 상실되는거죠.

전중후나 후중전 이론이 확실하게 입증되려면 구조적인 필요성을 입증해야 하고, 아이러니하지만 이런 구조적인 필요성이 입증되는 순간 전중후 이론은 오히려 사라지게 되죠. 왜냐하면 이것이 충분히 증명되고 또 거기에 맞게 라이더가 완벽하게 움직인다면 우리 발이 느끼는 답력 또한 일정해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라이더 스스로 느끼는 전중후나 후중전의 느낌이 사라져서 더이상 전중후나 후중전을 말할 수 없게 되니까요.

그래서 전중후, 후중전 이론은 '이러이러하니 전중후(후중전)을 해야한다' 라고 할 수 없는 것이지요. 만약 이런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십중팔구 제약회사 영업팀일거구요.

따라서 전중후, 후중전 방식은 그저 턴을 운용하는 형태의 하나일 뿐이고, 그 형태라는게 어떤 유행에 잘 맞거나 또는 라이더가 설정한 목적에 부합하거나 뭐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방식을 따르는 것일 뿐이지요.

피브리조

2017.02.15 22:54:57
*.64.205.174

정말 궁금한게 턴 과정에서 그런걸 일일히 다 인지 하고 신경쓰며 타세요??

실수 보안 실수 보안 현장 보안 슬로프 상태 보안.....그래도 타면서 몸으로 익히고 습득하면서 자연스레 타는게 아니였나요?

쉽게 말해 구르고 넘어지고 삑사리 나며 몸으로 익히고 나면 뇌는 별로 할게 없는것 같던데...

TrustMe

2017.03.27 18:59:35
*.243.13.160

아직 제 수준에서는 신경쓰고 한두시간 타야 자세 나오기 시작하고,,,

신경 안쓰면 금세 다시 자세가 만신창이 됩니다...


노출광

2017.02.16 08:31:30
*.59.105.21

요즘 좌절모드라서 보드에 관한 책을 읽고 있어요. 

전중후에 관한 얘기가 나오더라구요. 왜 필요한가?


(초보인 저의 관점에서 이해하기론) 

초보들은 진입할때 무서우니까 '전경'을 못주고 뒤  빠지게 되니 노즈의 날이 박히질 않아요.

그리고 이후 '중경'에서 원하는 반원의 크기에 따라 카빙의 각도를 조절하면서 테일쪽을 의식하며 '후경'  

턴의 후반부에 후경을 주면 속도가 느려지니 그 이전에 미리 후경에서 빠져나와야 한다고 이해했어요.     


이걸 본문에 대입을 해보면

몸을 내밀며 적극적으로 리딩한다는 의미는 적극적으로 노즈를 박겠다는 의식의 표현 그리고 밀어준다는 느낌은 중경으로의 전환 과정이 아닐까 짐작해 봅니다. 



(+)

고수들은 이걸 인식하기 힘들거에요.

속도와 에지 전환이 빠르니 전중후나 뉴트럴 같은건 의미가 없죠.

그러니까 자전거나 자동차 운전과 같을 수 있겠네요.

몸이 저절로 최적의 상태로 반응하는거죠. 


그러나 초보들은 이것을 의식하며 연습할수록 조금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Double.J-

2017.02.19 14:45:15
*.184.236.85

전중후는 개인적으로 잔기술이라봅니다
체중이전중후로 움직인다기보단 ㄴ 그러한 늑림을 받는 움직임을통해 빠른 엣지체인지의 효과를 얻는 잔기술..
기본이자 카빙의대부분은 보드위에 무게중심이라 생각합니다

FreeEdgeST-뺑우

2017.03.09 18:47:12
*.195.20.213

단순히 무게중심이동이라는 개념을 놓고보면 라이더가 의식해서 할 필요는 전혀 없다고 생각합니다 라이더가 어떤라이딩을 하고 어떻게 타느냐에따라 무게중심이동이 발생한다고 봐요 무게중심이동은 의식하고 하나의 행위로 생각하고 라이딩을 하면 어렵게 되고 어떻게 타던지간에 하나의 타는방식으로 인해 무게중심이동이 일어나도록 한다면 쉬워진다고 생각합니다 ^^

THE구피™

2017.03.12 14:11:06
*.173.197.131

보드가 좀 익숙하게 되고나서야 전중후의 의미를 느끼게 되고 몸이 자연스럽게 반응을 전중후로 하게된다 정도이지
첨에 배울때는 시선등 너무 신경쓸게 많아서 인지 이걸 의식하면서 타거나 따로 연습하기는 힘든거 같더라구요.
전중후는 턴이 매끄럽게 이루어졌을때의 결과물 같아요. 글쓴이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
몸의 밸런스를 좀 느끼고 난다음 급사에서 토턴이 후-중-중 되는것 같은 그런 느낌들을 의도적으로 고칠때는
전중후를 머릿속에는 그리고 있습니다. 죽을까봐 잘 안되지만요 ㅎㅎ

guycool

2017.04.21 07:30:32
*.226.128.193

The illustrated book of snowboarding  이란 명저에 보면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아주 잘 설명되어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473
1342 스키장별 시즌권 가성비 [44] 슴톰 2015-04-28   21245
1341 해머헤드 데크는 언제부터 사용이 가능한가?! [67] X-ray 2014-12-07 9 19895
1340 전향각 vs 덕스텐스...... [37] 할배보더 2011-01-09   18386
1339 라이딩은 전향각으로 타야된다? [70] Tech. 2015-01-27 1 17809
1338 유독 대한민국에서만 헤머데크가 인기있는 이유가 뭘까요? [72] 야볼 2017-04-06 30 16709
1337 카빙시 다운을 하라는데... [37] ☜RABBIT☞ 2008-03-01 137 15862
1336 유령데크를 발견했을 때 대처법... [31] 결눈이쁜보더 2007-12-10 154 15762
1335 지산 대박................ 여러분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49] 래원아빠 2008-02-15 118 15698
1334 리버스카빙의 위험성... [68] Brembo 2017-09-03 21 15122
1333 카빙과 바인딩 각도에 관해 의견을 공유했으면 합니다. [12] 클리기 2007-12-02 129 14836
1332 카빙턴과 슬라이딩턴은 종이한장 차이?? [41] 부자가될꺼야 2015-02-16 4 14627
1331 오늘 타이거월드에서 일어난 상황에대해서................... [112] 써든데크 2007-07-27 76 14139
1330 전향각 자세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32] 무주팬더 2021-11-02 2 14078
1329 스노보드 생초보 강습비 정하기를 토론해 봅시다. file [79] GATSBY 2015-01-05 57 13483
1328 카빙턴과 슬라이딩턴에 대한 생각. [37] 초특급자빠링 2017-01-27 14 13356
1327 보드 즐기는 스포츠 아닌가요? [70] 꼬맹이신 2016-03-18 7 13351
1326 천정부지로 치솟는 시즌방비 [56] 나옹이25 2017-05-29 1 13291
1325 바인딩을 채울때 지켰으면 하는 매너 [91] 보노보더 2010-11-27 1 13252
1324 국내 스키장 가장 재미있는 슬로프는??! [58] 김피카츄 2016-01-11   12742
1323 기본을 경시하고 보여주기식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132] 웰리힐리1231 2017-01-12 31 12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