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슬슬 시즌도 끝나가고 샵들의 세일공세로 인한 지름신과의 싸움에 하루하루 힘겨우실듯 합니다.

묻고 답하기에도 장비궁합이나 추천 이런 질문들도 많아지고 있고 장비 업그레이드도 많이 고민하시고 계실듯 합니다.

 

그중에 바인딩은 어쩌면 가장 애매할수도 있고 업그레이드 해도 체감이 제일 적은 장비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가격은 천차 만별이지요..... 이에 따른 차이가 얼마나 큰지는 솔직히 개인에 따라 틀립니다.

 

헝그리 보더들을 위한 바인딩 업그레이드 팁을 몇가지 브랜드를 예를 들어서 한번 설명해 보자 합니다.

 

1. 바인딩 구조 나누기

 

바인딩은 전문적으로는 세분해서 나누지만 그냥 눈에 보여지는 구조로 나누어서 보겠습니다.

 

가장먼저 눈에 들어오는 하이백, 그리고 뼈대인 베이스플레이트, 그리고 부츠와 고정을 시켜주는 스트랩 입니다.

 

바인딩의 가격대별 하급, 중급, 상급을 나누는 기준은 위의 3가지를 어떤식으로 조합하느냐에 따라 보통 나누어 집니다.

그중에 뼈대가 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는 대부분의 바인딩 제조회사에서 상중하 가격대에 상관없이 한가지에서 많아야 3가지로

만들어 집니다. 결국 3가지 베이스 플레이트는 소재의 차이는 있지만 모양은 한정되 있습니다.

결국 이에 따라서 같은 회사라면 대부분의 부품이 호환이 되지요.

 

"매년 신상이 나오지만 전년도에 비해 크게 달라진게 없다면 결국 전년도 부품과 올해 부품 모두 호환이 됩니다."

 

자신이 이번에 장비를 바꾸면서 좀더 하드한 하이백을 쓰고 싶다 그렇다면 하이백만 AS센터 통해서 구입해서 바꾸면 되고

소프트한것을 쓰고 싶다 하면 소프트한 하이백으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입맛에 맞게 교체해서 쓸수 있습니다. 부품값이 솔직히

싸다고 볼수는 없지만 적어도 새로 통채로 사는것보다, 적은 비용이 듭니다.

저도 이런식으로 버튼 바인딩을 하이백이나 밑에 쿠션을 바꾸어가면서 입맛에(?)맛게 저번시즌 사용했습니다.

 

2. 몇몇 제조사를 통해 확인해 본 바인딩 업그레이드.

 

Burton

 

 베이스 플레이트가 두가지 입니다. EST냐 Reflex이냐.....

여기에 베이스플레이트의 소재에 카본이 들어가 버리면 가장 상급 바인딩(다이오드), 유리섬유가 들어가면 올라운드에 강한 바인딩

순수 플라스틱 계열이 많이 들어가면 파크용 바인딩으로 나누어 집니다.

모양은 중급이상부턴 거의 같고 하급은 조금은 다른 디자인을 씁니다.

그리고 하이백 같은경우 카르텔을 기점으로 해서 카르텔에 쓰이던 하이백이 미션이나 커스텀등의 하위 등급으로 기간이 지나면서

차차 아래모델로 변형되어 집니다.

실질적으로 제가 11/12 Burton Diode EST와 11/12 Burton Malavita Restrice EST제품 두가지를 사용했습니다.

하이백과 스트랩 부분 빼고 전부 서로 부품도 호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도 호환됩니다. 해서 다이오드 베이스 쿠션이 너무 얇아서

말라비타의 Auto Cant 베이스 쿠션을 빼다가 썼습니다. 개인적으로 이게 더 마음에 들더군요.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만 빼서 두개를 들어봤는데 무게 차이도 거의 없었습니다. 플렉스도 비슷하고요......

두가지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차이는 유리섬유 배합이냐 카본 배합이냐의 차이인데......

하이백 서로 바꿔서 껴보고 사용해본 느낌은......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대신 하이백으로 인한 느껴지는 차이는 좀 있습니다.

그래서 버튼 AS센터에 하이백 가격 물어봤는데...... 말라비타나 다이오드 하이백 가격 거의 같습니다.(한쪽당 9만원선)

말라비타에서 다이오드 쓰시고 싶으신분은 하이백 따로 구입하셔서 바꾸시면 얼추 다이오드로 변신합니다.

어느정도 입맛에 맞게 바꿀수 있습니다. 아니면 다른분과 서로 교환해서 쓸수도 있습니다.

단지 주의할점은 EST는 EST끼리 Reflex는 Reflex끼리만 하이백이 호환됩니다. 그외에 앵클스트랩이나 토 스트랩, 라쳇등등은

전부 버튼끼리는 서로 호환이 됩니다.

 

Salomon

 

 가장많이 쓰시는 치프와 칼리버...... 모양및 스트랩 서로 거의 똑같습니다. 하이백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카본이 들어갔느냐 안들어 갔느냐로 인한 약간의 플렉스 차이와 무게 차이 외엔 없습니다......

솔직히 두 바인딩의 반응성 차이를 느끼실수 있는분이 얼마나 되실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10/11 칼리버가 캔팅이 없어서 11/12이나 칼리버 가스패달, 디스크덮개, 뒷쿠션부분 따로 주문해서 캔팅 적용할려 합니다.

 

그외 Union, Flux, Rome, Ride등등 다른 브랜드들도 모두 적용됩니다.

 

3. 마치며......

 

 개인적으로 부츠만큼이나 바인딩도 개인차가 많이 작용된다 생각합니다. 똑같은 부츠를 사용하는데도 바인딩에 따라 발이 편하고 불편하고가 은근히 좌우되는 경우도 있더군요. 확실히 상급 바인딩들이 여러 자잘한 편의사항이 많아지면서 편해지는건 어쩔 수 없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상급 바인딩들의 특정 부분만 이용하고 싶다면 지금의 제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시즌 말 샵세일의 공세 속에서 많은 헝글 분들의 건투를 빕니다~~~

 

 

 

 

 

 

 

 

 

 

 

 

 

P.S 어느순간 각기 다른회사 바인딩을 쓰는 나 자신을 바라보며........ 이글을 남김니다 ....... (젠장~~~!!! ㅜㅜ)

Trackback :

이나중보드부

2013.03.13 23:01:17
*.113.32.109

프로들도 이러한 방법으로 커스터마이징을 한다고 들었습니다ㅎ

JP walker는 여러 바인딩 회사 부품을 조합으로 해서 "프랑켄슈타인"과 같은 바인딩을 10여년 이상 사용한다더군요ㅎ

라쳇을 제외하고는 전혀 바꾸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ㅎ

 

전 갠적으로 현재 포럼 샤카 바인딩을 사용중인데 여기에 말라비타 하이백을 얻으면 어떨까 고민입니다ㅎ

구조적으로는 좀 다르지만 같은 계열인만큼 호환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이..ㅎ

레드미라지

2013.03.13 23:13:28
*.212.252.113

베이스 플레이트가 다르면 좀 힘들어 보여요 ㅜㅜ
안전상에 문제도 있을수 있고....

이나중보드부

2013.03.13 23:29:01
*.234.221.104

주위에 버튼 바인딩 쓰는 사람이 있으면 시험이라도 해볼텐데ㅠ

레드미라지

2013.03.13 23:35:00
*.212.252.113

전 버튼 장비들은 작년 여름에 죄다 불에 타버려서 ㅜㅜ

라리라

2013.03.13 23:09:03
*.71.24.29

버튼에서 나오는 소위 restricted 모델이나 유니온의 커스텀 하우스 모델들이 사실 그런 식의 조합의 산물이죠

하나 위의 제품의 부품을 가져다 쓰는 형태.

레드미라지

2013.03.13 23:14:45
*.212.252.113

Restrict모델들은 좀 앵클스트랩 같은걸 상위모델걸 가져와 쓴거 같아요~ 다만 유니온 같은경우 상위 베이스 플레이트는 아니더라고요 ㅜㅜ

leeho730

2013.03.13 23:30:02
*.62.204.77

전 버튼 캡스트랩을 좋아해서 다른 바인딩에도 달고 있죠...


K2나, 카텍 같은... 

레드미라지

2013.03.13 23:34:28
*.212.252.113

이번에 살로몬 캡 스트랩이 참 잘나온거 같아요~

파랭이최고다

2013.03.14 04:18:56
*.85.90.254

좋은글이에요. 다이오드 쓰고있는대 맘에 안드는부분 차근차근 바꿔야겠어요. ㅎ

레드미라지

2013.03.15 22:06:20
*.62.172.41

개인적으로 바닥판 캔팅 비스므리한 효과 나오는 튜닝 추천드려요~ 좀 두꺼워서 푹신해서 두꺼운 바닥판 좋아하시면 교체해도 좋을거 같아요.

샤오사랑

2013.03.14 06:52:26
*.169.58.95

추천이요!!!

레드미라지

2013.03.15 22:06:39
*.62.172.41

감사합니디~

성게군~

2013.03.14 13:18:29
*.118.3.250

오오 이런 고급정보를~ 감사합니다~^^

그나 저나 라이딩용으로 뭐로 넘어가야 되려나;;;

레드미라지

2013.03.15 22:07:47
*.62.172.41

이미 많은분들이 사용하고 계시는 부분이었을거에요 ^^;

Passionist

2013.03.14 14:09:16
*.62.163.57

참고로 Rome사의 바인딩보면

1314모델은 상당히 변화되어 나옵니다..

1213하구 1112는 거의 변화가 없고 호환이 잘되는데..

내년모델은 호환이되는지 잘모르겠네요

Gatsby

2013.03.14 18:54:51
*.145.232.193

12/13 롬 타르가 바인딩 쓰고 있는데...다 좋았는데....베이스 패드가 살짝 맘에 안들었죠.

 

근데 13/14 부터는 훨씬 개선되어서 나오더군요...^^

레드미라지

2013.03.15 22:10:13
*.62.172.41

베이스 플레이트는 큰 변화 없는거 같은데 실물이 나와 봐야 할듯해요.. 바닥판 체결하는데가 디스크에서 베이스 플레이트 쪽으로 바뀌는거 같은데 어쩌면 디스크도 그로인해 경량화가 이루어질지도 모르겠고 가진상으론 잘 모르겠어서 나와 봐야 일거 같아요.

Stimulus.

2013.03.14 15:10:43
*.7.194.192

아 칼리버 발판 나사 녹슨것 구매하려니 발판이랑 같이 구매해야 한다네요..불편해요...ㅋㅋ철물점가야지..

레드미라지

2013.03.15 22:10:59
*.62.172.41

걍 바닥판 구매해 버려 ㅋㅋ

Gatsby

2013.03.14 18:56:18
*.145.232.193

전 바인딩 하이백이 높고 단단한것을 좋아하는데...요즘은 유니온 처럼 말랑한것들이 유행이더군요.....

 

예전에 몇몇 프로들도......맘에 드는 바인딩 하이백만 빼서 몇년동안 사용하곤 했습니다....

leeho730

2013.03.14 20:02:26
*.62.204.77

버튼 팀 스카이 하이백....!

Gatsby

2013.03.14 20:34:20
*.145.232.193

버튼 바인딩은 가볍긴 한데 잘 부러저서 싫어요...ㅜ.ㅜ

레드미라지

2013.03.15 22:15:30
*.62.172.41

요샌 바인딩에도 많은 기술이 접목되서 반응성을 많이 희생시키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바인딩도 많은거 같아요. 아무리 그렇더라도 딱딱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딱딱하고 높은 하이백이 반응성이 제일 좋을거에요...

KUMI

2013.03.14 21:23:41
*.223.33.84

저도 플레이트는 다이오드. 하이백은 말라비타. 스크렙가죽부분은 x-바인딩을 혼합해서 사용하고있답니다~~

레드미라지

2013.03.15 22:17:09
*.62.172.41

역시 ^^ 이미 이런글 필요없이 사용하시는분들이 많은거 같아요.

쏘마

2013.03.14 23:06:48
*.222.131.170

좋은 정보네요. 바인딩에 관한글이 많지 않은데 모르시던 분들에게

아주 유용한 정보가 될것 같습니다. 추천 한방 올려봅니다.

레드미라지

2013.03.15 22:17:37
*.62.172.41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otes Views
Notice 일반 이용안내 [9] Rider Sep 13, 2005 571 35371
160 헝그리 캠페인 국산품애용 켐페인 한다면 꼰대소리 듣... [7] YellowSteak Nov 19, 2021 3 1279
159 헝그리 캠페인 스키 보드 다 타시고 에어 컨프레셔로 하실때 [4] photoable Dec 21, 2020 2 1490
158 헝그리 캠페인 초보 슬로프에서 고속 라이더와 하이원의 개... [10] 스크래치 Jan 25, 2019 8 3186
157 헝그리 캠페인 흡연에관해서 [5] 디기리 Jan 17, 2018 14 2629
156 헝그리 캠페인 KASBI 교원연수 교사 피해 사례 [7] 테리에파우더 Nov 23, 2014 7 5761
155 헝그리 캠페인 전경/중경/후경에 대한 표현을 바로잡았으면... [18] 미친스키 Dec 19, 2013 7 4190
154 헝그리 캠페인 손재주없는 사람의 데님보드복 제작기~ file [10] ZENNIA Feb 14, 2011   9321
153 헝그리 캠페인 동영상 게시판 댓글 예쁘게 달기 운동!!!! [5] OolOBBA Jan 10, 2011 1 2962
152 헝그리 캠페인 시즌권 양도...잘 알고 해야겠네요... [4] 만이 Dec 26, 2010   6769
151 헝그리 캠페인 하루 강습비 300만원 - 초보입문자 현혹 단... file [23] sbs Oct 19, 2010 9 8913
150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 닷 컴의 신빙성...그리고 자격증... [38] 헝그리 Jul 06, 2009 118 11742
149 헝그리 캠페인 바인딩을 체결하고 리프트에 탑승해 보아요~ [109] 자무쉬 Jan 31, 2009 58 10921
148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에서 안전바 내릴께요 한마디 하는 습... [60] 방통 Jan 11, 2009 52 6645
147 헝그리 캠페인 아무리 왕초보더강습생이라도 돈받고 가르친... [20] 요니거 Nov 23, 2008 57 5290
146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Nov 21, 2008 52 12031
145 헝그리 캠페인 꽃보더 되기 13계명 (간지보더들의 염통을 ... [82] 날슈주니 Oct 08, 2008 48 12934
144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사이트의 작은팁 몇가지! [18] Coolluck Sep 25, 2008 62 6313
143 헝그리 캠페인 우리 모두의 에티켓 [12] 흑혈맹주 Jan 22, 2008 39 3090
142 헝그리 캠페인 국내 보더와 스키어는 봉인가? 스키장의 수... [27] 맑은산 Jan 21, 2008 46 6073
141 헝그리 캠페인 시즌권이 대수인가요~~ [29] Rogy Jan 14, 2008 30 8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