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스키로 넘어오면서 가장 많이 듣는 질문중의 하나가

스키 허리가 얇으면 턴이 쉽나요??

스키 허리가 두꺼우면 턴을 못하나요???

란 질문입니다....


일단 저 질문의 답부터 하자면.....그렇다 일수도 아니다 일수도 있습니다...


왜일까요???

바로 턴의 기준 때문인데요....

허리가 얇으면 작은 반경의 턴을.....허리가 두꺼우면 긴반경의 턴을 하기 때문이죠.......


역시나 오늘도 실사같은 그림판과 함께 하죠~~~


턴을 하기위해 필요한것!!

첫번째...


보드나 스키를 보시면 120 - 85 -106 R12 이런 문구를 본적 있으실껍니다....

이것이 바로 사이드컷과 회전반경이죠....

저 경우에는 120mm의 노즈와 85mm의 허리 106mm의 테일을 같고있고 회전 반경이 12M인 스키의 예이죠~~

보드도 마찬가지고요

그럼 저 사이드 컷이란 무엇이가~~~~


사이드컷은 기본 회전 반경을 정해주는 그런 녀석입니다


사이드 컷에 의해서 기본 턴의 반경이 정해지는 것이죠~~~~

sidecut.jpg

허리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턴의 호가 크게 그려지는 것이지 턴이 안되는 것은 아니겠죠???

그러면 한단계더 생각해 봅시다....


p.jpg

동그라미 친 부분을 보면 데크의 노즈와 테일은 땅에 닿아있는데...허리부분은 떠있죠......

저 떠있는 부분을 눌러서 데크를 원으로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u.jpg

허리를 최대한 눌러서 허리마저 땅에 닿게 하면 데크는 저것처럼 휘게되죠....

허리 부분이 얇다면......허리가 지면과 더 높이 뜰테고 그만큼 더 깊게 눌러야 허리가 설면과 닿겠죠???

그러면 원의 호는 더 작아 질테고요~~~


그럼 두번째 요인도 볼까요???

두번째 요인은 설면과의 각도 입니다....

an.jpg

위 그림처럼 턴할때 데크의 각이 크게 세워진다면 허리와 지면과의 높이차가 보다 크게 나겠죠????

그러므로 깊은 카빙일수록 턴 반경이 작아지는 것이죠.....


그외 속도라던지 사면의 각이라던지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포함 되지만......


기본적으로는 저 두가지 요인이 턴을 만들어주는 기본 요인이 되는 것이죠......


오늘은 내용이 부실하지만...기본 턴을 만들어주는 가장 큰 요인을 써보았어요~~~~

몇일사이에 칼럼 두개라니....

한동안은 쉬어야 겠어요~~~ㅎㅎㅎ


굿밤들 되세요~~~




뽀쇼뽀쇼

2012.10.19 09:56:20
*.121.82.134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꼬부랑털_스키보더

2012.10.19 10:20:05
*.118.86.70

사이드컷과 회전반경에 대한 알기 쉬운 설명글이네요~ 추천~

X-ray

2012.10.19 10:57:14
*.229.18.176

오오... 퀄리티가 넘치는 그림!!!

 

꽃을든옥동자

2012.10.19 13:18:42
*.197.54.22

헐 이해력 딸리는 저도 이해했네요 ㄷㄷ

 

정말 쉬운 설명 감사 ㅇㅅㅇ;

Ricky!

2012.10.19 13:38:29
*.211.56.106

역시 이번에도 좋은글입니다~~!!

 

요걸 이해못하면 엣징이랑 프레스에서 벽에 막히게되죠.. ^^

 

크리스브라운

2012.10.19 15:10:15
*.70.10.23

좋은글 감사요 ㅎ

네모니아

2012.10.19 15:44:57
*.74.14.173

쉽게 잘풀어주셨는데... 전 왜 안되죠 ㅎㅎ

그래이젠

2012.10.19 17:50:23
*.111.135.254

알기 쉽게 쏙쏙~ 감사합니다~

BUGATTI

2012.10.21 01:14:55
*.83.44.6

추천꽝!! 좋은글감사합니다

대구사는솔로남자사람ㅡ_ㅡ

2012.10.21 12:47:36
*.121.20.233

알기쉬운 그림과 설명으로 이해가 잘된거 같아요..좋은글 감사합니다~

수아지

2012.10.22 02:38:22
*.142.32.28

^^저 같은 초보에게 매우 쉬운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시영군

2012.10.23 01:23:02
*.51.102.203

감동!! 뭔가 깨달음이라는 게 이런 건가요?

와~~~

기울기, 프레스, 데크 끝의 락커 등 뭔가 막 머릿속에서 다 연결이 되는 느낌입니다!!!

유령 

2012.10.25 21:58:40
*.78.87.182

그림 그리면서 생각하다가 신용카드 사이드컷 모양으로 잘라서 휘어보니 확실하게 이해되네요..

그리고 데크를 바닥에 놓고 세워 밟아 보니 데크를 휘는데 생각보다 큰 힘이 필요한것 같지는 않고...

그 동안 잘못 생각한게 많은것 같네요.. ㅠㅠ

코피한잔

2013.01.19 00:34:38
*.223.120.71

잘보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otes Views
Notice 일반 이용안내 [9] Rider Sep 13, 2005 571 35419
315 장비 관련 스노보드 플렉스에 관련된 내용~ [4] 귤!!! Jun 27, 2013 5 3122
314 장비 관련 슬로프를 통해 본 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 file [45] leeho730 Mar 15, 2013 10 5653
313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2) file [2] leeho730 Feb 15, 2013 1 1637
312 장비 관련 프리스타일 데크의 사이드 컷 (킥커 vs 파이프) [2] Gatsby Feb 15, 2013 2 1655
311 장비 관련 신터드 vs 익스트루디드 베이스와 핫왁싱의 ... [4] Gatsby Feb 14, 2013 8 6446
310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file [32] leeho730 Feb 14, 2013 14 4434
309 장비 관련 단차현상에 카운터 펀치를 날리다. [11] Gatsby Feb 14, 2013 3 2374
308 장비 관련 스노보드용 휴대용 드라이버 추천~! file [11] 무림맹주 Feb 13, 2013   3310
307 장비 관련 정캠버, 리버스캠버, 플랫캠버, W캠버,M캠버... [16] Gatsby Feb 12, 2013 13 5394
306 장비 관련 역캠과 정캠? 시즌권 1년차 주말보더의 경험... [3] 곤지암솔로잉 Feb 12, 2013 2 2910
305 장비 관련 SP Interchanger 바인딩 센터링 조절 방법 [6] 안전우선 Jan 30, 2013 5 3060
304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보강재 file [32] leeho730 Jan 10, 2013 26 15353
303 장비 관련 입문자의 중고장비 구매요령 ( 0809때 글인... [6] 셜록홈준 Dec 17, 2012 2 2159
302 장비 관련 고프로3 vs 고프로1 영상 비교. [9] 스크래치 Dec 06, 2012   3218
301 장비 관련 에폭시 도전기. file [9] Snowdorp81 Dec 05, 2012   3581
300 장비 관련 자작 리쉬코드 겸 와이어락 file [2] 신쥬 Dec 03, 2012 1 3727
» 장비 관련 스키,보드에서 쉬운 턴을 위해 필요한것들... file [14] eli Oct 19, 2012 17 5707
298 장비 관련 장비 선택의 질문법 [14] @,.@파랑 Oct 18, 2012 3 3532
297 장비 관련 캠버의 원리를 알아보쟈(내용추가) file [84] eli Oct 17, 2012 51 11681
296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복장 제대로 챙겨 입기 [55] 라리라 Sep 30, 2012 15 15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