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칼럼도 재탕이고, 원문의 출처는 론리보더님의 칼럼이었습니다.
론보님께서 그 칼럼을 좀 올려주시면 더 좋을 듯 한데요...^^



이러쿵 저러쿵 하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라이더의 선택.

=============================================

How Flexible should my Snowboard be?

There are two kinds of flexibility for a snowboard:
§ Torsional Flex. This is the flex across the width of a Snowboard, between the two edges. The torsional flex defines how well a board will hold on its edge. More torsional flex will make it easier to twist the board which is important in sharper turns. But too much torsional flex would not allow the board to arc fully and would take a lot of effort to initiate a turn. On the other hand, not enough torsional flex would make it difficult to keep the Snowboard on its edge during the completion of the turn.
§ Longitidunial Flex. This indicates how flexible the Snowboard is from tip to tail. Having a balanced flex pattern will allow the board to ride and carve a turn evenly. In contrast, an unbalanced flex pattern (either the board's nose is softer or the tail is stiffer) allows the rider to get onto the other edge faster since it tends to accelerate the board out of the turns quicker.
A soft, flexible Snowboard is great for beginning riders, especially for kids, since a flexible board will turn more quickly and with greater ease at low speeds than a stiffer or longer board. Also, it requires less technique and strength.

Torsional flex 는 데크의 폭(엣지와 엣지사이)의 탄성을 말하며, torsional flex가 높으면 좀더 날카로운 각도의 턴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torsional flex가 너무 많으면 턴을 시작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충분한 torsional flex가 없으면 턴을 완성하기까지 고른 엣지사용이 어렵게 된다.

Longitudinal flex는 보드의 노즈(팁)에서 테일까지의 탄성을 말하는데, 이 longitudinal flex가 균형있게 되어있으면 고르게 턴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노즈가 더 소프트하다거나, 테일이 더 단단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게 된다(속도와 엣지체인지가 동일한 패턴, 동일한 속도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라는 의미).

부드럽고 탄성이 좋은 보드는 특히 어린아이나 초보자들에게 좋은데, 그 이유는 탄성이 좋은 보드가 단단하거나 길이가 긴 보드에 비해서 낮은 속도에서도 다 신속하고 쉽게 턴이 가능하며, 또한 더 적은 힘과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Freestyle riders need more flexible Snowboards for more board control and maneuverability. On the other hand, Freeriders, especially Carvers, need stiffer boards to keep their boards under control in higher speeds. This is because stiffer Snowboards with rigid torsional flex are better on groomed runs and open terrain, as well as at high speeds.

프리스타일 라이더는 보다 높은 조종성과 기동성을 위해서 보다 높은 탄성의 보드를 필요로 한다. 반대로 프리라이더, 특히 카버carver)들은 고속에서의 안정적인 조종성을 유지하기 위해 단단한 보드를 선택한다.
이것은 단단하고 하드한 탄성을 가진 보드가 고속에서와 마찬가지로 잘 정설된 사면이나 개활지에서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Regardless of whether you're a Freestyler, Freerider, or Carver, keep in mind that the softer the Snowboard, the easier you can maneuver it. In general, Snowboards are comparatively softer as they get shorter. Still, you will find variations in flex that can affect your performance. Typically, if you have a lighter frame (125 to 135 lbs) you should go for a softer board. If you are averagely built (135 to 150 lbs), look for a medium-flex board. Accordingly, heavier people (150 lbs and above) need stiffer boards.

당신이 프리스타일러건, 프리라이더건, 아니면 카버 이건간에 중요한 것은 보드가 부드러울수록 그것을 조종하기가 쉬워진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만일 당신이 가벼운 체격(56~61kg 정도)이라면 좀더 부드러운 보드를, 평균적인 체격(~67kg)이라면 중간정도, 좀더 무거운 체격이라면 좀더 단단한 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How Deep should the sidecut on my Snowboard be?
The sidecut's depth determines your Snowboard's ability to turn. In general:
§ A very shallow sidecut allows for longer, sweeping turns and easier maneuverability and control. All-mountain boards have shallower side cuts.
§ A deeper sidecut makes the board easier and faster to turn which is why beginner boards often have a deeper sidecut. This is also best for Freestyle riding.

내 보드는 얼마나 깊은 사이드컷을 지녀야 하는가.
사이드컷의 깊이는 일반적으로 턴을 할 수 있는 결정한다.

완만한 사이트컷은 보다 길고 완만한 턴에 적합하고, 또한 보드의 조종성을 향상시킨다. 올마운틴 보드는 이러한 완만한 사이드컷을 가진다.
깊은 사이드컷은 쉽고 빠른 턴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초보자들의 보드가 대부분 깊은 사이드컷을 가진다. 그리고, 프리스타일러들 역시 깊은 사이드컷의 보드가 유리하다.


To summarize, it is easier to ride on a soft-flexing, gradual sidecut, all-mountain Snowboard. On the other hand, it is harder to ride a stiffer-flex, aggressive sidecut, Freestyle board with scores of combinations in between. Keep in mind that these are just general guidelines to get you started. Your personal preference can often sway your decision of what Type of Snowboard to buy.

결국 요약해보면, 부드러운 탄성, 완만한 사이드컷의 올마운틴보드가 좀더 타기 쉽고, 반대로 단단한 탄성과 공격적인 사이드컷(깊은 사이드컷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임)을 가진 보드일수록 타기 어렵다.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 얘기한 것들은 당신이 보드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일 뿐.
당신의 개인적인 취향(=선호도)이 당신이 어떤 스타일의 스노우보드를 선택할 것인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이다.
엮인글 :

...

2005.09.13 00:47:09
*.183.27.33

불행 속에서도 묵묵히 자료복구를 하고 계시군요. 진정한 헝글보더이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71
353 초보를 위한 강좌 무릎으로 데크를 눌러 BoA요. 프레스 관련..... [32] 없음 2004-01-09 18 6199
352 초보를 위한 강좌 부상방지법 잘? 넘어지기 [10] 돌돌 2004-01-12 4 2363
35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강습동영상_김현식 [11] 샤리 2004-01-13 42 6492
350 초보를 위한 강좌 가라로 배운 왁싱 방법입니다 ^^ 틀린부분은... [23] 김장규 2004-01-16 3 4748
349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머리) [12] 2004-01-23 12 2987
348 초보를 위한 강좌 자세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 (어깨, 팔, 손) [15] 2004-01-23 15 3577
347 초보를 위한 강좌 제대로 내리막을 내려가보자.. --; [19] ▩양치기 2004-01-27 9 3910
346 초보를 위한 강좌 처음 시작하는 보더의 보드 배우기 순서? [9] youngpc 2004-01-29 14 4192
345 초보를 위한 강좌 해라...하면...는다... [17] 터프가이 2004-02-17 6 2834
344 초보를 위한 강좌 온몸을 던져라.. [16] 터프가이 2004-02-20 4 2705
343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 길이에 관한 짧은 소견.. [11] 이상학 2004-02-21 11 3757
342 초보를 위한 강좌 정말 초보에서 멋지게 벗어나고 싶다면.. [12] 터프가이 2004-02-21 5 3683
341 초보를 위한 강좌 나름대로 해보는 카빙.. --; [2] ▩양치기 2004-02-25 12 3350
340 초보를 위한 강좌 턴을 정말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8] 터프가이 2004-02-27 6 4669
33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TEACHING 방법 (또는 초보자 SELF 학... [12] CABCA 2004-03-02 25 3667
338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입장에서 본 5:5 무게중심 느끼기~!!! [5] 타이지 2004-03-03 10 3591
337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의 타이밍에 대하여.... [35] 김철소 2004-03-08 8 5408
336 초보를 위한 강좌 [허접번역] 알파인 입문..카빙에 대한 열망 [17] 알파인유니션 2004-03-25 18 3363
»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의 탄성과 사이드컷 [1] 환타_ 2005-09-13 16 3153
334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의 장비구매 이것만은 지키자! [11] 뽀대루 산다 2005-09-14 4 3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