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마세요.

누르려고 하지 않아도, 누르지 않아도

데크 위에 올라가 있는 자체로 이미 몸무게가 데크를 누르고 있습니다.


데크를 눌러야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엣지를 세우면 사이드컷에 의해서 또 몸무게가 바인딩자리를 눌러서 데크가 휘어지게 됩니다.


턴이라는 것은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보이지 않는 힘과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과 같습니다.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버티려면

턴호의 안쪽으로 기울기(인클리네이션)가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워야 하지요.


데크를 눌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우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기울기를 붙잡고 있어야 하구요.


턴 진입 후에 하는 다운은

데크를 누르기 위함이 아니라

프레스를 주기 위함이 아니라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

엣지를 더 세우고 있는

린아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감압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세워서 넘겨야 합니다.

엣지를 더 세워야 하지요.

린아웃을 추가해서.

Trackback :

미래소년바보

2019.01.25 07:17:06
*.223.17.19

올소~.

MadamH

2019.01.26 03:45:27
*.163.242.59

데크를 억지로 조정하지말구 데크에 몸을 맏기라는 의미로 들리네요

134340

2019.02.16 22:04:33
*.156.72.87

제 말씀은

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말고, 데크를 조종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데크 조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스탠스 앤 밸런스 이구요.


스키는 플레이트가 두 개라서, 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 안에 무게중심이 있으면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지지면적(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을 향하고 있으면

넘어지지 않는 안정된 상태이지만


보드는 플레이트가 하나라서, 엣지를 세우고 있는 상태는

기울기 (인클리네이션, 무게중심-접설엣지..선이 슬로프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정도) 가 만들어져 있는 상태인데

지지면적이 거의 선 (접설엣지곡선) 이라서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상이면, 기울기가 정지한 상태이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안쪽이면, 기울기가 더 기울어지게 되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바깥쪽이면, 기울기가 세워지게 되므로

더군다나 원심력(과 중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이 계속해서 변화하므로

보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노즈테일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했을 때, 횡방향으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그러므로 계속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는 거구요.

기울기를 더 기울이려는, 턴호의 안쪽으로 넘어뜨리려는, 모멘트는

수직하중 (중력의 수직하중 수직분력) 에 의한 모멘트이고

기울기를 세우려는 모멘트는

수평하중 (원심력(+ 중력의 폴라인방향 분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을 엣지그립력으로 버티고 있는 정도)) 에 의한 모멘트인데

중력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원심력(과 슬립)을 조절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지요.

원심력은 앵귤레이션 (엣지각 조절) 을 통해서 조절하구요.


엣지를 더 세우면 원심력이 더 커지고

- 기울기가 점점 기울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기를 붙잡으려면,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 턴을 마무리하고 다음 턴으로 전환하려면, 기울기를 세워야 하므로,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엣지를 눕히면 원심력이 작아지지요.

- 턴을 더 끌고 가려는데 기울기가 세워지려고 하면, 엣지각을 눕혀야 하지요. 그러면 (더) 슬리핑하게 되구요.

1달러

2019.01.26 08:50:29
*.186.103.27

초보분들에게 매우좋은 칼럼입니다. 어떤 운동이든 그 본질을 알아야 하는데 영상의 화려한 동작만 따라하니 부상을 당합니다. 스쿼트의 경우도 단순히 허벅지를 두껍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체의 인대와 힘줄을 강화하기 위함인데 대부분이 동작만 따라해요.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는 하체의 인대와 힘줄이 강해야. 

List of Articles
No. Subject Author Date Votes Views
Notice 일반 이용안내 [9] Rider Sep 13, 2005 571 35291
375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각 입문자를 위한 팁 file [17] 에덴벨리리조트 Jan 04, 2020 12 4851
374 초보를 위한 강좌 전향 힐턴 털림(슬립)털리는거 해결방법 (초보) [15] iiaceii Jan 01, 2020 14 4092
373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 라이딩 기본 자세(토턴, 힐턴) [30] 통역좌 Dec 28, 2019 21 5006
372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에 바인딩 세팅방법 [4] 통역좌 Nov 18, 2019 7 3302
371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타는 데 힘이 필요할까? [5] 통역달인 Oct 04, 2019 5 3091
370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세우기 연습 [25] 통역달인 Sep 18, 2019 13 4924
369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자세, 기본포지션 체크 방법 [12] 통역달인 Sep 11, 2019 13 2376
368 초보를 위한 강좌 스트레칭 운동과 힐턴의 관계 [5] 통역달인 Sep 07, 2019 6 1654
36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에 필요한 운동법 [10] 통역달인 Sep 02, 2019 6 1800
366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카빙을 위한 기울기와 엣지각 세우기 [7] ZeroOne Jul 22, 2019 22 4018
365 초보를 위한 강좌 기본자세에서 중요한점 [7] ZeroOne Jul 08, 2019 22 2945
364 초보를 위한 강좌 동전을 안주우려고 할때 동전이 주워집니다 [7] 낙타뒷발 Mar 16, 2019 13 4096
363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체인지 조건 [3] 134340 Feb 16, 2019 7 2863
362 초보를 위한 강좌 용어 (전경/후경 ...) [11] 134340 Feb 13, 2019 10 3085
361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가 어려운 이유 [25] 134340 Jan 31, 2019 8 6404
360 초보를 위한 강좌 엉덩이 [5] 134340 Jan 23, 2019 13 3594
359 초보를 위한 강좌 상체 오픈 [16] 134340 Jan 23, 2019 10 4912
358 초보를 위한 강좌 시선 [10] 134340 Jan 23, 2019 8 2790
» 초보를 위한 강좌 프레스 [4] 134340 Jan 23, 2019 14 2909
356 초보를 위한 강좌 데크에 바인딩/부츠 장착시 센터링 맞추는 법 file [14] 다크호스s Jan 09, 2019 15 3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