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오랜만에 새 장비를 구입하려고 마음을 먹고.
모델(Custom)까지는 정했는데. 길이를 정하기가 힘들더군요.
많은 분들이 저와같은 고민을 하시리라 생각됩니다.

그래서 묻고답하기 게시판에서도 검색을 해봤고. 웹서핑도 많이 해보면서.
몇개의 사이트도 알아보고요.

http://www.snowboardlengthcalculator.com/
일단 이미 올라왔던 사이트인데. 이 사이트의 단점은 너무 폭이 넓죠--;
키나 몸무게의 범위가 너무 넓어서 신뢰를 하기가 힘들더라고요.

http://www.frostyrider.com/tips/size-guide.htm
그래서 찾아본 결과 더욱 자세한 사이트를 찾았습니다.
상당히 자세하게 키와 몸무게 발사이즈, 성별, 라이딩 스타일과 실력 등을
고를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저만 모르던 것인지 모르겠지만--;;
보드컴퍼니에서 각 데크마다 지정해놓은 한계중량 범위는.
과연 우리가 말하는 몸에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상태의 중량일까요.
아니면 보드복을 입고 부츠를 신고 있는 상태의 중량일까요?

저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궁금하고. 또 우유부단한 성격 때문에
결국 버튼홈페이지에 질문 메일을 보냈습니다.

질문내용은.
1. 데크마다 한계중량은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상태의 중량인가 아니면
     보드복과 부츠를 착용한 상태인가.
2. 내 스펙(173cm, 67kg)에 중급정도의 실력에 맞는 커스텀데크의 사이즈는?
3.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카탈로그 요청은 한국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데 받을 방법은?

이렇게 질문을 했습니다.
우리나라 사이트 같이 생각해서 하루나 이틀이면 답메일이 올 줄 알았는데.
보낸지 10일정도 지난 방금 답메일이 왔더군요--;

일단 한계중량은 보드복과 부츠를 착용한 상태의 중량이랍니다.
보통 보드복과 부츠무게를 합치면 3kg정도는 더 나갈껍니다.
따라서 이 점을 감안해서 길이를 결정하셔야 겠죠.

그리고 저에게는 154cm 커스텀데크가 맞다고 왔고.

마지막으로 카탈로그는 직접 한국으로 보낼 방법은 없고
미국. 일본이나 유럽의 친구들이 있으면 그쪽으로 받고
한국으로 보내달라고 하라네요--; 어이없는--;;

아무튼. 묻고답하기 게시판을 보면 저와같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도움이 될까 싶어 글을 작성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DJ™신동팔

2009.04.07 10:37:34
*.125.191.119

중량이 다합친거군요.

미국 일본 친구있음 받으라니 이건 머 어이상실~

론리보더 ~ ♪

2009.04.07 11:18:37
*.127.218.162

중량이 다 합친건지 아닌지는
보드 제조사 마다 다를 수도 있을 듯 한 생각입니다.
일단 버튼은 확인이 되어서 다행이네요~

카달로그는 무게가 많이나가서 해외배송비가 장난이 아니죠;;
일본에서 3권보냈더니(항공편으로) 3500엔인가 들었습니다;
책값(3000엔)보다 배송비가 더 나왔다는;;

고냥이

2009.04.07 12:19:43
*.18.101.234

우와 좋은 자료네요! 재꺼를 넣으니깐 156~157 나오는데(180CM/71KG)

딱 156짜리 타는데.. 괜춤한거 같아요 프리스타일은 154까지 나오는데 154한번 타보고싶네요!

중량은..

2009.04.07 20:49:29
*.217.57.219

체중일줄 알았는데 ......글을 읽고보니 착용상태일것도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알몸으로 타진 않으니..ㅋ ^^

근데 각데크마다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데크별로 확인을 해보고 사는게 맞는것 같네요.

醉菊/취국

2009.04.07 21:40:43
*.0.185.46

그동안 157,158을 주로 사용했었는데..
살짝 짧게 쓰고 있었군요..^^

방방

2009.04.08 00:21:55
*.40.45.99

www경우 유효엣지랑 상관 없이 똑같이 적용되는걸로 나오네요

휘팍보더

2009.04.11 09:12:05
*.136.25.170

저거해도 사이즈를 모르시겠으면 .... 비슷한 사이즈 맘에드는 그래픽 골라주세요

moded

2009.05.20 12:11:23
*.21.219.64

정말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저는 프리스퇄 152 프리스퇄+라이딩은 156 이네여 ^,.^

v내똥v

2009.08.07 01:26:51
*.204.84.18

모가 몬지 하나도 몰겄네여 ㅡㅡ; 나만 그런가보네 ㅡㅡ'

영원한달

2013.03.11 16:03:46
*.218.49.131

정보감사합니다. 아직은 모라서 그냥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35820
18 CASI 도전 할 가치가 있는 CASI Lv. 1 - 커리큘럼 [24] 해일로 2012-02-16 3 7424
17 CASI CSF Coaching 자격증 소개 file [16] MHLKP[X] 2011-03-11   6850
16 CASI 카시 레벨1 교본 번역본 [85] callsign 2010-09-10 52 10437
15 CASI casi level 1에서 제시하는 턴 종류의 구분 file [29] TrustMe 2010-08-20 32 8686
14 CASI 혼자서 테스트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ksia... [13] callsign 2010-02-23 49 6535
13 CASI 혼자서 테스트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ksia... [12] callsign 2010-02-08 28 8372
12 CASI 다운 언웨이티드(down unweighted)턴이란? [25] grindays 2008-12-11 71 11706
11 CASI CASI 에서 설명하는 턴의 종류 [37] grindays 2008-12-10 64 14034
10 CASI 어드밴스 슬라이딩턴 연습을 하기 위해 필요... [8] 하이뷰 2008-02-20 96 9556
9 CASI CASI에서 소개하는 턴의 종류와 순서 [5] Xenos! 2008-02-11 105 8149
8 CASI CASI 동영상 다운받으시는 방법... [32] 피아 2007-01-27 31 5529
7 CASI ★공식 보드 입문 동영상 강좌(초보자에서 상... [9] 봄이아빠 2005-09-13 98 9420
6 CASI 대한스키협회 "KSA" 스노보드 준지도자 자격증 [25] 련주 2004-03-16 8 4288
5 CASI CASI에서 규정하는 라이딩 단계별 목표 [16] 뽀복이 2003-12-13 54 6161
4 CASI Level 4 신설과 관련된 CASI의 공지 [5] 뽀복이 2003-03-31 15 3848
3 CASI [C.A.S.I/Riding] 빌딩블럭별 연습방법(1) [26] 펩시 2002-12-16 16 4417
2 CASI [C.A.S.I/Riding] 체계적인 라이딩 연습(요... [10] 펩시 2002-12-08 14 5388
1 CASI -= [BK7] CASI Level 1 정보요약 =- [22] 베캄 2002-02-27 40 6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