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헝글을 자게 눈팅 하던 중 국내 보드복 가격이 살벌하게 비싸다는 글과 퀄리티가 안 좋다는 글들을 보면서,
마음만 먹고 미루던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우선 저는 의류 쪽 특히 아웃도어 쪽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스키/보드복 생산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관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보시기 불편한 내용이 있다면 쪽지 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보드복이 비싸다?


제품의 가격은 제작 단가 외로 브랜드 기획 / 마케팅 홍보비용 등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단정 지어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마케팅 등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지 않으며 공정에 대해서만 말하겠습니다.

보드복을 고를 때 가격이 높고, 낮은 이유를 몇 가지 확인하시면 구매하시는 데 도움 되실 것 같습니다.


- 어떤 원단을 썼는지 확인합니다.


원단의 방식이나 종류는 워낙 많고 깊이가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브랜드 사별로 이름 없는 멤브레인을 부착하며 지어낸 00텍스, 00쉘 등은 검증 되지않은 것들이 대부분이며,
표기된 방수 등급이나 수치도 완전히 믿을 수 없습니다. (지켜보면 감탄을 금치 못합니다.)
브랜드사에서 제공하는 방수 등급 정보만을 맹신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10만 원 초중반의 현재 출시되고 있는 보드복은 90% 이상 심실링과 벤틸레이션(핏집)이 대부분 빠져있습니다.


- 심실링이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바늘구멍으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테이프를 고열로 막는 작업인데요.
따로 심실링 기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국내생산 보드복에서는 사용이 쉽지 않습니다.
원단접합 부분 잘 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퀄리티가 좋고 나쁨의 전체적인
느낌을 잡아주는 요소이며, 오래 입을 수 있는 이유기도 합니다.


- 벤틸레이션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벤틸레이션은 자켓 겨드랑이에 지퍼를 여닫으며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입니다.
나는 필요 없어라고 하시면 무시하면 되지만, 시즌 초 또는 스프링 시즌에 은근히 필요합니다.


둘 다 원가 상승의 큰 원인이지만, 수입 브랜드 보드복의 경우 90% 이상으로 모두 가지고 있는 디테일입니다.
두 가지 모두 국내 생산 또는 저가형 보드복은 거의 없습니다.


- 방수 후드


업체들은 고가 정책으로 많이 판매합니다.
어떤 소재를 썼냐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방수 인조 소재보다
실제 제작은 일반면이나 면 혼방으로 된 후드가 더 고가이거나 비슷합니다.

대형 아울렛이 나 동네할인점에서 방수되는 겨울용 등산바지 보시면 엄청 저렴합니다.

소재는 비슷합니다.

입어보시면 정전기로 인해 불편하고 투습 기능이 매우 떨어집니다.
티셔츠나 니트 제작공장에서 제작되다 보니 가공비용도 훨씬 저렴 하지만
후드티를 자켓 개념으로 느껴서인지 저렴하다고 많이 구매하십니다.


언급되는 저가형 보드복도 위와 같은 내용의 방수 후드나 겨울 등산용 홑겹 원단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습니다.


- 허리가 고무줄로 되어있는 팬츠


팬츠 앞 여밈 지퍼 부분은 바지 제작 공정에 있어서 70% 이상 차지하는 공정입니다.
허리 부분이 고무줄로 되어있고, 앞여밈 지퍼 없이 제작된 팬츠는 활동성이 매우 편하고 가볍습니다.
공정으로 보면 트레이닝팬츠처럼 매우 저렴하게 제작된 팬츠입니다.

엉덩이가 크고 바지가 벗겨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합니다.


- 스노우스커트 디테일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별거 아닌 공정이라고 생각되지만 생각보다 많은 차이 납니다.


간혹 고어텍스 보드복이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내용의 글들이 보입니다.
고어텍스가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내용은 틀린 내용입니다.

브랜드사마다 사용하는 각각의 원단은 모두 다릅니다.
고어는 원단 뒷면의 멤브레인을 말합니다.


스키/보드복은 작은 디테일과 기능성에 따라 가격이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기능성의 보드복은 비싼 이유가 있으며 청바지 가격보다도 저렴한 보드복에도 그 이유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원하시는 제품이 고기능성 제품인지 한 시즌만 입고 바꾸는 패션 보드복인지 선택하여 구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엮인글 :

천년만년낙엽

2020.12.03 16:40:41
*.226.43.3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잇츠낫마이베스트

2020.12.22 20:45:47
*.70.47.1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차르르

2020.12.29 14:49:22
*.38.45.17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06
93 장비 구입 전향각 데크 길이에 대하여 [11] BadDancer 2023-09-16 5 2674
» 장비 구입 보드복 구입시 알아두시면 좋은 것들 입니다. [3] megabomb 2020-12-02 9 1862
91 장비 구입 저의 바인딩 고르는 기준을 소개합니다 file [2] 레가시 2019-01-03 10 2510
90 장비 구입 붓아웃 걱정이신 보더님들 부츠 고르실때 참... [5] Lroa 2016-08-28 3 3635
89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4(상급데크의 필요성) [25] 소리조각 2013-12-07 58 6940
88 장비 구입 주요 브랜드별 미국 정가와 한국 소비자가 비교 file [22] 라리라 2013-02-08 12 1785
87 장비 구입 [팁] 코디 전문가처럼 보드복 색상 맞추는 ... file [45] 스카야마 2012-10-12 7 9479
86 장비 구입 브랜드별 데크 원산지를 알아봅시다... [58] 바람켄타 2012-09-16 5 8566
85 장비 구입 렌탈은 그만~ 초보보더의 입문 장비 구입하기! [19] 낙엽만세시간째 2012-02-12 4 8519
84 장비 구입 시즌권, 리프트권 홀더(이월 인생의 한줄기 빛) file [10] 프레디오버 2011-12-12   8460
83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3(장비할인 노하우) [15] 소리조각 2011-10-29 3 6576
82 장비 구입 제대로된 부츠 사이즈 [4] NEOLOGIC 2011-10-12   7012
81 장비 구입 장비구입시 고려해보면 좋을것 같기도 하다... [42] 날아라가스~!! 2011-07-13 12 9195
80 장비 구입 초보자가 장비를 구해보고 쓴 글.. [16] 싱난다 2011-05-22   8165
79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2(데크, 바인딩, ... [24] 소리조각 2011-01-06 4 12278
78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1(안전장구, 부츠,... [16] 소리조각 2011-01-06 3 9148
77 장비 구입 같은 샵에서도 장비 가격이 틀리다고? 정말? [7] Bazinga 2010-12-24   5590
76 장비 구입 부러질 수 밖에 없는 데크, 버튼에서 a/s 받... [90] 스크래치 2010-12-01 3 12453
75 장비 구입 좋은 샵 고르기, 좋은 장비 구하기 [17] 터줏대감 2010-09-03 26 7150
74 장비 구입 부츠의 중요성은 과대 포장!??! [75] 테잎 2010-08-10 29 8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