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직 카빙 이후 점차 스킬이 늘어가면서 모든 라이더의 바램은 좀더 빠르게, 좀더 안정적으로 보드를 컨트롤하는 게 되겠죠.
그러기 위해 강습도 듣고, 칼럼도 보고 유튜브도 찾아보고 하다보니 공통적으로 앵귤레이션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되고, 린아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듣게 됩니다. 더불어 린아웃 연습방법도요....
근데 좀더 많은 칼럼이나 영상을 접하다보니... 처음 본 린아웃 강습영상이랑 뭐가 많이 다르네요? 왜?
어떤게 맞는거지? 구독자수 높은게 맞는건가? 묻고 답하기에 문의해봐도 글로 써놓으니 무슨소리인지 이해가 안가네...
자 보드는 실전입니다. 당연히 보드 컨트롤, 바디 컨트롤은 눈밥이 해결해주지 글 몇줄 읽는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BUT, 그러나 보드이론 다른건 다 실전으로 배워도 앵귤레이션은 원리를 알고 있는게 좋습니다. 왜?
너님이 힐턴 터지는이유, 너님이 급사에서 넘어지는 이유, 너님이 영상찍으면 엉거주춤해 보이는 이유의 근원에 앵귤레이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족 빼고 최대한 쉽게 설명드립니다. 린인과 린아웃이 도대체 뭔가?
카빙을 하려면 엣지를 세워야죠.
엣지각을 만드는 원리를 알려면 두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1. 인클리네이션
2. 앵귤레이션.
인클리네이션은 이겁니다.
*옆으로 타는걸(덕스탠스) 노즈쪽에서 본 그림입니다.
슬로프에서 몸을 기울이면 그만큼 보드가 서고 엣지각이 생깁니다.
모든 보드에는 사이드컷이 있기 때문에 이렇세 서면 보드는 원운동을 합니다.
이게 바로 베이직 카빙입니다.
자 그럼 이제 좀더 깊은 카빙을 위해 엣지각을 좀더 세워봅시다.
어떻습니까? 딱봐도 불안해보이죠?
네? 익스트림 카빙 하는거 보면 저렇게 누워서 탄다구요?
맞는 말씀이지만, 단계적인 설명을 위해서 그건 이 칼럼에선 제외하겠습니다.
자 인클리네이션만으로 타는 베이직 카빙의 단점이 여기서 나옵니다. 엣지각이 커지면 넘어집니다.
빠른 속도로 원심력을 만들어서 어떻게든 커버해볼수야 있겠지만, 급사나 모글, 다양한 슬로프환경에서는 불안할수밖에 없습니다.
자 그럼 이제 베이직 카빙의 한계가 드러났으니 그 다음 단계를 생각해봅니다.
과도한 인클리네이션이 왜 불안한가? 바로 무게중심이 무너져있기 때문입니다.
슬로프와 닿는 곳은 보드의 엣지인데, 거기서 너무 먼곳까지 몸이 가있어요.
그럼 멀어진 무게중심을 보드쪽으로 당겨오면 엣지각을 많이 확보하고도 좀더 안정적으로 탈 수 있겠죠?
클래식한 해결방법 보시겠습니다.
관절을 꺽어서 무게중심을 보드쪽으로 가져왔습니다.
힐턴과 토턴의 자세가 좀 다르긴 한데,
중요한건 인클리네이션으로 보드에서 멀어진 무게중심을 어떻게든 보드쪽으로 다시 가져온겁니다.
자 이제 여러분은 린인과 린아웃을 이해할 준비가 되셨습니다.
이해 되십니까?
아마 자전거나 바이크 타시는 분들은 좀더 쉽게 이해하실것 같은데
엣지각 주려고 몸을 기울이는게 바로 린인이고,
린인으로 보드에서 벗어난 부게중심을 보드로 다시 가져오는게 린아웃입니다.
(이렇게 비슷하기 때문에 린인과 인클리네이션은 헷갈릴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저렇게 관절을 꺽던 어쩌던 린인과 린아웃을 통해 밸런스를 잡는 것을 앵귤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요약
1. 인클리네이션 - 엣지각만들려고 기울이는거
2. 린인 - 엣지각 만들려고 원호의 안쪽으로 기울이는거(설명 자체가 인클리네이션과 비슷함)
3. 린아웃 - 무게중심 잡으려고 기울인 몸을 다시 원호의 바깥쪽으로 꺽는거.
4. 앵귤레이션 = 린인+린아웃
해결 완료.
자 여기까지 보시면 간단하긴한데, 보린이들은 86.7%는 이런 의문이 들수밖에 없습니다.
??????????? 내가본 어떤 영상에서도 허리굽히는게 린아웃이라고 한 영상이 없는데? 어깨는? 어깨는요?
자 위에서 클래식한 해결방법이라고 했었죠?
위의 그림이 뭐냐하면 전형적인 덕스탠스 방식의 라이딩에서 통용되는 방법입니다. 유튜브가 뭔지 모르던 시절부터 존재하던 이론이죠.
근데 요즘이 대부분의 라이딩 이론은 테크니컬 라이딩이 기본입니다.
테크니컬 라이딩의 특징이 뭐냐?
1. 전향각(뉴트럴포지션)
2. 하드하고 유효엣지가 긴 보드(에 따라오는 그립력)
알파인 자세를 상당히 많이 차용한게 테크니컬 라이딩인데, 생각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앞으로 타면 좌우로 꺽을수있는 관절이 없습니다.
린인이야 기울여서 할 수 있지만 린아웃을 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럼 앵귤레이션을 어떻게 만들죠?
??? : 그딴게 왜 필요해 해머타면 되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하드하고 유효엣지가 길면(=해머타면) 린아웃 과하게 안해도 턴이 잘 안터져요.
물론 잘 안터지는거지, 아예 안터지는건 아닙니다.
그래서 린아웃을 완전히 버리면 안되고, 덕스태스에 비해 좀더 나이브하게 해도 됩니다.
어떻게? 바로 어깨를 들어서요.
*주의: 이건 옆으로 타는게 아니라 앞으로 타는 걸 정면에서 본 겁니다.
즉 린아웃을 이만큼만 해도 턴이안터지니까 테크니컬 라이딩에서 자꾸 어깨를 설면과 수평으로 맞추라고 하는겁니다.
어차피 옆구리를 예각으로 꺽을수있는 사람 없잖아요? 스타일에 따라 강습내용은 다르지만 원리는 같아요.
린아웃 = 벗어난 무게중심을 어떻게든 보드쪽(=원호의 바깥쪽)으로 가져온다.
자 사람몸은 전부다 다르게 생겼기에 앵귤레이션은 당연히 라이더마다 다 다르수밖에 없고 그게 스타일이 되는 겁니다.
(당연히 테크니컬 라이더중에도 힐턴에서 허리를 접는 스타일이 있습니다.)
자 이제 린인과 린아웃 설명이 끝났는데, 그럼 이 칼럼을 보면 고수가 될수있나요?
놉.
시작할때 말씀드렸죠? 너님의 앵귤레이션은 눈밥이 해결해주는거지 이깟 그림몇장 본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
다만 린아웃이 왜 설명이 다 다른건지 답답해 미치기 전에 알고가시라고 설명해드리는 겁니다.
(전 올시즌은 깔끔하게 접었기에 심심하기도 하구요...)
자 이제 여러분은 프레스에 관한 각종 유튜브 영상과 루나트릭스님의 칼럼을 이해하실수 있습니다. 도전하세요.
깔끔한 정리 감사합니다.
태클은 아니지만 [테크니컬 라이딩 = 전향각] 이건 저 그 언급금지 단체에서만 하는 이야기구요...
덕스탠스나 뒷발 0도로도 흔히 말하는 테크니컬 라이딩의 이론과 요소 다 적용 가능합니다.
원리에 대한 이해만 있다면요..
어깨를 설면과 수평으로 맞추는건 그 동작으로 인해 관절 구조상 엣지가 더 세워지고
이건 전향각, 덕스탠스 상관없이 동일합니다. 앵귤레이션의 한 방법이예요.
추가로 전에도 비슷한 댓글 단 적이 있는데
어깨를 들어서 어깨수평 맞추는것보다 반대쪽 어깨를 내려서 맞추면 상급 슬로프에서 더 편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