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덕스탠스 기준으로
힐턴에서는, 상체를 토엣지쪽으로 숙이면 엣지가 더 세워지고 - 힐턴의 다운
무릎을 펴면 엣지가 더 세워집니다. - 힐턴의 업
토턴에서는, 무릎을 구부리면 엣지가 더 세워지고 - 토턴의 다운
상체를 세우면 엣지가 더 세워지구요. - 토턴의 업
벤딩턴은
<힐턴을 마무리할 때, 무릎을 펴는 업 대신에, 상체를 숙이는 다운으로>
엣지를 더 세워서, 원심력을 더 증가시켜서, 기울기를 세웁니다.
<다운을 시작할 때부터, 어깨를 닫는 외향로테이션도 같이 실행하지요.>
<기울기가 세워지는 동안에는 자세를 낮추고요. 상체를 숙인 다운자세에다가 무릎도 굽히면서.>
<엣지가 전환될 때, (머리와) 노즈쪽 어깨가 제일 먼저 보드를 넘어가게 되지요.>
보드를 넘어갈 때, 양팔도 어느 정도 내려주고요.
스트레칭턴 베이직카빙턴에서는 로테이션 없이 엣지체인지를 할 수 있지만
스트레칭턴 카빙턴에서는 카운터로테이션 (? 어깨 열고 토턴 진입, 어깨 닫고 힐턴 진입) 을 사용할 수 있지만
벤딩턴에서는 카빙턴에서도, 숏턴 뿐만 아니라 미들턴 이상에서도, 다운을 시작할 때부터 외향로테이션을 실행합니다.
턴이 전환되면서 보드의 회전방향도 바뀌어야 하는데
벤딩턴은 엣지전환 구간에서도 무게중심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으므로
엣지전환 구간에서 보드를 수직으로 누르는 수직하중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기울기가 세워지는 동안에 외향로테이션으로 미리 반대방향 회전관성을 만들어 놓지 않으면
엣지전환 시점에서도 보드는 이전 턴에서의 회전을 유지하게 되어서 역엣지에 걸리게 되거든요.
그렇게 낮은 자세로 <토턴으로 전환하고서는 상체를 펴는 업으로>
점점 더 기울어지고 있는 기울기를 붙잡으면서 턴을 끌고 갑니다.
<어깨를 닫는 내향로테이션을 멈추고서 턴을 끌고 갑니다.>
슬로프를 기준으로 숙여져 있는 상체는 그대로인 채로, 고관절/허리를 펴지면서 보드를 등 뒤쪽으로 밀어내지요.
대략 뒷팔은 테일방향으로, 앞팔은 노즈보다 살짝 닫은 방향으로, 어깨 높이만큼 슬로프에 평행하게.
이때, 보드를 등 뒤쪽으로 더 밀고 싶은데, 업을 더 하고 싶은데,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혹은 슬립이 덜 일어나도록 엣지를 더 세우고 싶은데, 안 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이는 기울기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엣지를 더 세우려면 기울기가 기울어지고 있는 상태여야 하는데, 기울기가 기울어지다가 이미 정지해 버렸기 때문이지요.
기울기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엣지를 더 세우면 기울기가 세워져버리므로 엣지를 더 세우지 못하는 거지요.
나비스턴 토턴에서 다운을 더 하려는데 안 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울기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토턴을 마무리할 때는, 무릎을 구부리는 다운으로 기울기를 세웁니다.>
마찬가지로 <다운을 시작할 때부터 어깨를 여는 외향로테이션을 같이 실행하구요.>
<기울기가 세워지는 동안에 자세를 낮추면서. 무릎을 구부린 다운자세에다가 상체도 숙이면서.>
<엣지가 전환될 때, 노즈쪽 엉덩이와 노즈쪽 어깨가 먼저 보드를 넘어가게 되지요.>
보드를 넘어갈 때, 양팔도 어느 정도 내려주고요.
그렇게 낮은 자세로 <힐턴으로 전환하고서는 무릎을 펴는 업으로>
점점 더 기울어지고 있는 기울기를 붙잡으면서 턴을 끌고 갑니다.
<어깨를 여는 내향로테이션을 멈추고서 턴을 끌고 갑니다.>
대략 앞팔은 힐엣지쪽 데크에 직각방향 정도, 뒷팔은 토엣지쪽 직각방향과 노즈방향 사이 정도로.
숏턴에서는 한번에 린아웃을 크게 실행하므로, 힐턴에서도 상체를 숙이고 있지만
미들턴 이상의 벤딩턴 힐턴에서는 상체가 슬로프에 수직 혹은 뒤로 어느 정도 기울어집니다.
힐턴을 마무리할 때는, 상체를 숙이는 다운으로 기울기를 세우고요.
미들턴 이상의 벤딩턴/스트레칭턴에서는
업/다운으로 기울기를 붙잡으면서 턴을 끌고 가다가, 턴을 마무리할 때 다운/업으로 기울기를 세우지만
숏턴에서는
엣지전환 후에 기울기가 기울어지다가 바로 다시 세워지도록 (보드가 나갔다가 바로 돌아 들어오도록)
기울기를 붙잡는 정도보다 더 큰 린아웃을 한번에 실행합니다.
힐턴에서도 상체를 숙이고 있게 되지요.
숏턴은
상체는, 거의 폴라인방향으로 직선에 가깝게 혹은 직선에 가까운 아주 날씬한 S자를 그리면서 진행하고
기울기를 붙잡는 정도보다 더 큰 린아웃을 한번에 실행하므로
보드는, 펜스방향으로 나갔다가 바로 돌아오고, 이어서 반대쪽 펜스방향으로 나갔다가 바로 돌아옵니다.
엣지전환 구간에 무게중심의 높이가 살짝 높아지면서 리바운딩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숏턴이고
엣지전환 구간에 자세를 낮추어서 턴 내내 바닥으로부터 무게중심의 높이가 일정하면
턴 내내 바닥으로부터 머리의 높이가 일정하면, 벤딩턴 숏턴입니다.
숏턴은 속도가 빠르고, 기울기가 빠르게 전환되므로
회전방향(시계방향/반시계방향)이 빠르게 전환되므로
회전관성에 의해서 엇박자가 날 수 있으므로
(걸어갈 때는 오른발 오른손이 같이 나가는 보행법이 조금 불편하기는 하지만 가능한데
달려갈 때는 매우 불편하고 힘들고 빠르게 달리 수도 없지요.)
그래서, 슬라이딩턴이건 카빙턴이건 간에, 벤딩턴이건 스트레칭턴이건 간에 숏턴에서는
회전관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반드시 로테이션이 필요합니다.
상체가 폴라인을 향하여 거의 고정되어 있는 듯한 로테이션에서는
나갔던 보드가 돌아올 때, 보드의 방향과 어깨라인의 방향이 X자에 가깝도록, 외향자세가 되고
엣지가 전환되어 보드가 나가는 동안에는 점점 더 큰 내향자세가 되어서 보드를 돌아 들어오게 만들지요.
보드가 반환점을 돌아서 들어올 때부터는 다시 외향자세가 되구요.
상체가 폴라인을 향하여 거의 고정되어 있는 듯한 정도보다 더 크게 로테이션을 하자면
보드가 나갈 때는, 양팔을 살짝 벌린 채로 보드가 나가는 반대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보드가 돌아올 때는, 양팔을 내리면서 보드와 크로스되면서 엣지가 전환되고
이어서 보드가 다시 나갈 때는, 양팔을 보드가 나가는 반대 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정도..
이렇게 적극적인 로테이션을 하는 숏턴을 다이나믹 숏턴이라고 하지요.?
적극적인 로테이션을 하는 벤딩턴 숏턴만을 이르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