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분들도 중상급 슬로프에서 쉽게 볼수 있는데요.


정확히 보드를 타는 입장에서 초보는 언제까지가 초보인건가요?


1. 초급 / 초중급 슬로프를 S턴을 하면서 무난히 내려올때.


2. 중급 / 중상급 슬로프를 S턴을 하면서 무난히 내려올때.


3. 카빙턴 구사하기 바로 전 단계



위 리스트에 없다면 그냥 적어주셔도 무방..


초급이 어디까지가 초보인지 궁금합니다..


엮인글 :

Solopain

2013.01.15 03:03:58
*.30.111.138

4. 카빙스타일로 숏S를하며 쉬지않고 죽죽내려올때....인거같습니다....

전 아무리해도 속도가 붙으면 중간에 멈추게되더라구요 ㅎㅎ

냠냠_932640

2013.01.15 13:46:13
*.136.60.126

추천
1
비추천
0

숏턴, 롱턴, 카빙, 트릭 이런건 초보와 고수를 가르는 기준이 될 수 없다고 봅니다.


저는 보드를 얼마나 자신의 의지로 제어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봅니다.

돌발상황시 얼마나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느냐, 

현재 슬로프에서 얼마나 자유롭게 보딩을 즐길 수 있느냐..


이런 기준으로 본다면,

초급 슬로프에서 라이딩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돌발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어떠한 설질이라도 마음먹은대로 즐길 수 있다면 초급을 벗어났다고 봅니다. 

아울러 중급슬로프에서 마찬가지로 자유롭다면, 중급을 벗어났다고 봐야겠죠.


고급요 ? 글쎄요.. 어떠한 상황, 어떠한 설질, 어떠한 경사라도 보드위에서 자유롭다면

진정한 고급자가 아닐까요 ?


봉길

2013.01.23 03:15:11
*.41.7.202

정답인듯..자유자제로 컨트롤 할수있을때..

GomRider~

2013.01.27 00:18:30
*.139.165.210

공감합니다.

할배검

2013.01.15 14:20:18
*.45.168.62

추천
1
비추천
0

냠냠말씀에 동의합니다. 라이딩만으로 기준이 될수 없죠.

 

정신상태에 따라 나눠집니다.

 

가령, 부딪쳤을때 초보는 안넘어질려고 땅짚다가 손목 다치거나 궁시렁...

 

중상급자들은 구르거나, 위기탈출트릭으로 상황을 수습한뒤 상대방 괜찬은지 힐끔 보고는 쿨하게 사라집니다.

 

기상상태가 매우 악해도 즐기죠...

 

진정한 고수들은 일행도 없고, 주머니에 쵸코파이랑 핫브레이크 넣어 다닙니다.

오페라의누렁

2013.01.15 19:51:16
*.227.141.232

ㅋㅋㅋ초코파이 핫브레익ㅋㅋㅋ

빵을든남자

2013.01.27 10:09:02
*.226.201.144

ㅋㅋ 전투식량

알쿤

2013.12.03 13:40:56
*.241.169.96

비상식량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파양파

2013.01.15 14:36:41
*.148.206.44

프로가 아닌사람들이 초보임

앵글러JA

2013.01.15 17:26:37
*.38.68.238

4번 내혼자탈땐 내생각엔 프로~!! 남들한테 말할땐 예의상 초보~!! 남들이보는 시각 초보 ㅠㅠ

보드신동™

2013.01.16 14:50:25
*.81.57.61

보드를 시즌권 으로 3~5년 정도 탔다고 하면 솔직히 경력이 많은거죠~프로가 아니라면...그런데...이런분들 이 모든 보드기술을 알고 있지 않아요...예를 들자면...카빙은 기똥차게 잘타는분이 아이러니 하게도 상급슬라이드턴을 못하는분들이 대다수라면 믿어지시나요? 또한 라이딩 보다는 파크에서 시간을 다 보내는분들도 있구요...라이딩 실력보다는 그라운드 트릭에 더 욕심내는분들도 있구요....굳이 따지자면...보드를 자기 의지대로 컨트롤이 어느정도 된다고 한다면...기술에 상관없이 초보는 아니라고 보는게 맞다고 봅니다.

Jay-Z

2013.01.16 14:58:23
*.194.153.129

자기가 잘탄다고 생각할때까지가 초보임... 착각에서 빠져나오지 못할때까지

나를막만졌잖아..

2013.01.16 16:12:50
*.168.42.193

시즌초에 첫보딩해도 아무렇지 않게 턴될때.......이젠 초보가 아니구나..합니다.

주환아빠

2013.01.17 09:39:11
*.241.147.12

슬롭에서 이 초보 저 초보 다 덤벼도 피할 수 있고

속도내는게 상급인줄 알고 주위도 안보고 쏘는 친구들과도 충돌하지도 않고

슬롭 중간에거 갑자기 트릭하다가 넘어지는 친구들 피해갈 정도가 되면

그 담부터는 본인이 원하는 라이딩, 트릭 등으로 보드실력이 레벨업되면서 진정으로 즐기게 되는 거라 생각합니다.

 

이 때가 진정으로 초보를 벗어난 게 아닌가 합니다.

 

 

NACHO

2013.01.17 21:56:36
*.177.52.3

공감 아무리잘탄다고생각해도 순간적으로 뒤치기나 데크로 덮치는 초보들 피할수있어야 마음껏타죠 속도만내면 잘타는줄알고 쏘지만 방향전환도 빨리못하는사람들은 초보로 분류해야됨

라리라

2013.01.18 19:39:36
*.71.24.29

쉽게 이야기하면 초급 슬로프에서 노비스턴으로 "편하게" 내려올 때까지가 초보라고 봅니다. 다들 초보에 대해 많이 높은 기준을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멍구930

2013.01.18 21:47:25
*.86.155.165

자기가 못 탄다는 생각이 들면.... 초보가 아닙니다...

낙엽미화원

2013.01.20 23:19:57
*.251.173.74

글쎄요.. 위험한 경험을 좀 해봐야 초보를 벗어난거 아닐까요?

레봉최고

2013.01.21 16:59:14
*.237.235.28

자기 자세가 이상하다, 뭐하다 이런 불만이 생기면 초보를 뗀거 아닐까요. 아니면 좀 더 다른 뭔가 변화를 주려는 노력을 할때.

내꿈은 조각가

2013.01.22 08:10:31
*.246.71.76

윗분들 공감ㅋ
잘탄다고 생각할때까지 초보임미다ㅋ

내다리후덜덜

2013.01.22 15:14:28
*.223.37.172

저는 s자를 잘 그리느냐 보다는 자신이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가지 못할때 속도를 제어하지 못할때 마지막으로 자신이 잘 타는지 알고 있을때 초보라고 생각 합니다

leeho730

2013.01.22 21:58:40
*.165.86.2

버튼 보딩 능력 가이드에서 1번 2번이라고 생각합니다... http://nzski.com/pdf/2010/AbilityGuide_A4.pdf 에서 발췌


1. 스노우보드 경험 없음

2. 완만한 초급 슬로프에서 토/힐 에지 양쪽으로 낙엽,  기본적인 턴을 할 수 있음


중급-

3. 초급 슬로프에서 슬라이딩턴, 턴의 크기와 모양을 조절 가능

4. 중급 슬로프에서 편안하게 타며 완전하게 컨트롤 함. 토턴/힐턴에서 밸런스를 갖춤


고급-

5. 카빙할 수 있으며, 어려운 중급 코스나 쉬운 고급 코스를 탈 수 있으며 움직임이 효율적임.
6. 모든 코스와 모든 컨디션에서 자신있게 탈 수 있음.

빵을든남자

2013.01.27 10:11:09
*.226.201.144

추천
1
비추천
0
자기영상을보고도 오그라들지 않는다면
초보탈출햇다고 생각함

봄물

2013.03.06 20:38:43
*.115.162.194

가장 높은 기준이네요... ㅋㅋㅋ

Just민용

2013.10.18 15:32:37
*.201.192.2

ㅋㅋㅋㅋ이게 최고인듯하네요 ㅋㅋㅋㅋㅋ

캐귀여워

2013.01.28 05:19:58
*.241.181.37

데크와바인딩부츠와 나의 몸이 하나가될때까지 데크를 뒤에서 누가 툭툭차면 내몸이 아프다는 생각이 되는그때까지

발딱이

2013.02.18 13:45:32
*.112.251.6

좋은 정보 많이 보고갑니다 도움 많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Just민용

2013.10.18 15:33:53
*.201.192.2

실력을 떠나 보딩개념을 다 잡게 되는 때가 초보를 벗어나는게 아닐까요 ? ㅎㅎ 슬로프에 있는 여러 버섯 중 하나가 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3
975 카빙 진입시 프레스먼저? 기울기먼저? [26] 정적 2013-02-10   4407
974 헝글 모바일 앱 개발에 대하여... [15] RockQ 2013-02-04   1832
973 셔틀버스 취식 관련하여 의견을 묻습니다. [36] 설인28호 2013-01-26 6 3562
972 슬로프내의 충돌 사고 그리고 합의에 대해... [14] 고풍스런낙엽 2013-01-23 2 2330
971 고글은 헬멧 밖에? 속에? 이유는?? [43] SoulB 2013-01-23   6199
970 리프트 담배용자님. [46] 헝그리보더권 2013-01-22 2 2019
969 레귤러나 구피냐에 대한 또다는 생각? [18] 레봉최고 2013-01-21   2859
968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확실히 아는법. [34] 낙엽미화원 2013-01-20 1 3367
967 국내 최고의 보드장은? [65] 멍구930 2013-01-17   2752
966 여러분이 생각하는 롱턴/미들턴/숏턴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13] blackberry 2013-01-16   2063
965 강습자 리프트 프리패스에 대해서 [10] 메이메임 2013-01-15   2078
» 보더여러분들 초보는 언제까지가 초보라고 생각하시나요? [28] jundboar 2013-01-15 1 2300
963 트릭용데크?라이딩용데크? [16] 습설이좋앙~ 2013-01-13   6077
962 레귤러냐 구피냐??? 새로운 방법 제안해봅니다. [17] 이스리슬쩍* 2013-01-12   2794
961 요즘 데크 사이즈가 민망할정도로 작게 타는 것 같지 않나요??? [54] 식방 2013-01-09 3 2757
960 [공정위에 심사 청구 예정] 휘팍(다른 스키장도 포함)의 시즌권 양수양도 금지 등 불공정 약관에 대한 의견, 사례를 모읍니다. [13] 앤쥬우 2013-01-07 38 2156
959 지산 리조트 모글 코스 보드 출입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18] 자르자 2013-01-07 1 2087
958 보드장 의무실 과연어디까지 믿어야 하나? [17] 모기보더™ 2012-12-28   2191
957 W캠버와 M캠버 장단점과 차이점??? file [11] 꼬꼬댉 2012-12-24   6379
956 라이딩시 인클리네이션, 앵귤레이션, 로테이션, 프레스 중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17] proflee 2012-12-22 1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