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blog.naver.com/nurygom/30181618328
위에 동영상은 곤지암 중상급, 아래는 초급입니다.
헝글에서 눈팅해가면서 혼자 독학하려고 하는데 도무지 답을 모르겠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고수님들 조언 바라며 글 올립니다.
힐턴 시에, 계속 슬립이 일어납니다. 엣지가 덜 박혀서 그런가 싶어 기울기를 좀 더 주면 넘어져 버리네요..
어깨를 너무 열어 데크가 너무 빨리 돌아가면서 슬립이 나는게 아닐까 추측은 해보는데, 어깨를 닫아도 데크가 빨리 돌면서 슬립이 일어납니다. ㅠㅜ
많은 질타와 조언 부탁드립니다~
스펙은 커스텀 데크 154/ 바인딩 15도 6도/ 체중 75/키 175 입니다.
1. 턴의 모양을 잘 생각해보세요!! 사활강으로 내려가서 플랫베이스 이후 에지 체인지 그 다음 반대편 사활강으로 내려가야하구요. 턴의 모양을 생각하고 슬로프에 그려 보세요!
2. 스티어링 혹은 트위스트 디스크를 인터넷에 치시고 연습을 시도해보세요! 트위스트 디스크는 바인딩에 있는 디스크를 발바닥으로 비틀어 돌리는 것을 말하는데 스노보드가 굉장히 빠른 속도로 반응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턴의 반원과 신체의 중심(center of mass) 선이 다름니다. 이것도 함 찾아 보세요. 기울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저도 동영상으로 독학하면서 배운터라 고수는 아니지만 처음에 누가 봐줄사람이 없어서 배운 동작하나하나 신경쓰면서 타왔기때문에 만큼 세밀한 문제점에 대한 케어는 잘 볼 줄안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소심스럽게 댓글하나 남깁니다 ^^.
동영상 잘 봤습니다. 일단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업다운의 문제점과 전경의 대한 문제점, 그거에 의한 속도에 대한 겁이 있으신거같아요. 카빙은 전경을 많이주시고 앞발로 조종하며 하체로테이션을 이용해 턴한다고 생각하시구 엣지체인징 시점을 좀더 빨리 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추가로 힐턴때 다운시 다른턴보다는 엣지체인징시점이 빨라서 토우턴과 같은 다운을 하게되면 몸전체가 뒤로 넘어질듯 쏠리기때문에 엣지체인징도 빨리 못하게 되고 앵귤레이션도 안잡힙니다. 헝그리보더 강습동영상을 보시면 다운시 부츠에 물을 버려내듯 서서히 기울이고 화장실에 앉은듯한 자세를 참고하시면 금방 이해되실거에요~!
횡성수설한거 같아 요점 정리
1. 업다운 연습
2. 전경주기
3. 전경을 많이 주며 뒷발에는 힘을 빼기
4. 하체로테이션
제 말이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라이딩으로 후기 부탁드려요 ^^
정확할지는 모르겠지만. 예전에 저도 이랬던 경험을 되살려 고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1. 토우턴에서 힐턴으로 넘어갈때, 타이밍은 그럭저럭 맞습니다. 실력이 늘수록 폴라인과 90도의 각도에서 Turn off 를 시작하게 되죠.
집금 님의 경우에 약 50~60도에서 시작하는걸로 보입니다. 동영상이 누워있어서 제가 착각할 수도 있을지는 몰라도....
그러나, 일단은 현재타이밍에서도 얼마든지 카빙은 할 수 있다는거죠.!! 단지, 힐턴으로 턴오프를 할때, 님 무게중심이 드의 옆날(명칭이 생각이 안나네요..ㅠㅠ )을 넘어가게 되서 몸의 무게가 데크 날에 실리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니, 데크의 성능과는 별개로 슬립이 날 수 밖에 없네요! 슬립이 나게 되면 당연히 무게 중심은 더 데크 밖으로 나갈테니 넘어질 수밖에 없는것이구요!! 이해되셨나요?^^:
2. 턴오프시 어깨를 너무 빨리 열게 되는 버릇을 가지고 있습니다.
슬립턴은 데크를 사람이 조정하는것이라 생각하면, 카빙턴은 데크에 내 몸을 맞추는 것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조금 쉽게 얘기하자면 실력이 늘수록 별 상관은 없어도, 카빙은 흔히 말하는 업다운 만으로도 턴을 할 수 있다는 거죠!! 데크의 원리만 조금알아도 응용할 수 있을겁니다. 일단, 힐턴으로 접어들기 전부터 님은 어깨를 이미 열고 있습니다. 그럴시에 하체는 당연히 힐로 따라 돌아가겠죠? 내 힘으로 데크를 이미 돌린것과 같아요!! 그럼 이미 슬립은 생기기 시작합니다. 이미 생긴 슬립은 턴이 완성될때까지 슬립됩니다.
일단 제가 보기엔 이 두가지가 님의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것 같네요^^:;
고치는 방법
1. 스파르타식
레귤러이시니 오른쪽 바인딩을 다 풀러주시기 바랍니다. ㅎㅎ 그리고 천천히 초급 슬로프를 S자를 그리며 내려와 보세요!! 지금 님의 상태로는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이것을 하는 이유인즉, 님의 무개 중심을 앞 또는 중앙에 놓기 위한 연습방법입니다. 좀 위험성이 따르긴 하지만, 단시간에 몸에 익히기에는 정말 좋은 방법입니다.
2. 오른손으로 왼손의 소매를 잡고 힐턴할시에 잡아당기세요!! 그럼 어깨 열리는것을 임시방편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다만 그것을 몸에 익숙하게 될때까지 합니다.
솔직히, 업다운의 진짜 프레스 넣는 방법을 그냥 앉고 일어나기로 착각하는 사람이 매우 많습니다. 어떻게 배우셨을지는 몰라도, 업다운하는 방법을 주위분들이나 정말 잘타시는 분들에게 배우시길 바랍니다. 업다운을 하는 이유는 데크의 원리를 사용하기 위한것이지 안전하게 타기 위한것이 아니란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ㅎㅎ
이상 허접한 조언이었습니다!!ㅎ
옆날...즉, 캠버가 보이는 부분...제가 명칭이 생각나지 않아서,,,^^;;;
암튼 체중을 실어야 하는 부분을 무게중심이 그 밖으로 벗어나면, 하중이 분산되므로 날에 힘이 안생기고, 그것에 따라 슬림이 생긴다는 거죠...
고수들은 어떤자세를 하든지, 그기본적인 중심이동은 옆날에 모두 실리게 됩니다. 그 떄문에 자연스런 보딩을 즐길 수가 있는것이죠,,
카빙의 가장 원천적인 원리는 보드의 날에 체중을 실을수있느냐 하는거라 누구에게 저도 배웠네요^^ ;;
다시한번 허접한 조언이었습니다. ㅎㅎ
아주 잘 타시는듯 한데용? 라이딩 모습도 예쁘시구요!
정말 부럽습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전체적인 라이딩선을 봤을때 토우턴은 여유롭게 들어가시는 같은데
힐턴에 들어갈시에 너무 급하게 꺽으시려는 경향이 있으신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서 대부분의 초급에서 중급으로 넘어가는 단계인데 힐턴시 터져서 엉덩이 크리가 많이 나오는 단계로 보여집니다.
토우가 날이 박히시는 분들이 힐이 안박힐 이유가 없는데 이는 한가지 연습으로 해결 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제가 볼땐 정확한 S자 그리기 연습으로 어느정도 극복 하실수 있으실것 같습니다. 힐턴을 급하게 들어가지 마시고 토우턴
들어가실땐 여유로운데 힐턴시 급격하게 ㅡ이쪽으로 꺽으시려다 보니깐 그러신것 같습니당. 타실때 균형잡힌 S자를 그린다고 생각하시고 여유롭게 힐로 들어가신다면 이 문제는 차차 해결 되실걸로 보여집니다.
라이딩이 예쁘시네요. 안전보딩하세요! 허접한 초보보더였습니다.
프레스 타이밍을 못잡아서 그런것 같습니다.
일단 중상급에서는 아직 타시지 마시고
초급에서 연습 많이 하셔야합니다.
카빙시 턴하기 전에 프레스를 푸시고 턴을 완료한 이후에 프레스를 주셔야합니다.
제가 볼때는 프레스 주고 빼는게 하나도 안보입니다.
업다운을 하는게 하나도 안보이네요...카빙에서 프레스를 준다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