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맨첨에 보드를 배울때 트릭은 라이딩이 어느정도 되고부터해라 라는 말을 아주

 

 주의깊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요즘 스키장 가면 아시겠지만

 

 여기저기서 돌리는 모습들 많이 보는데요.

 

 

 보다보면 3가지 반응입니다.

 

 1.와 잘한다

 

 2.뭐 그럭저럭

 

 3.아 저사람 머야!

 

 

 보통 2번의 반응이나!

 

 

  3번의 반응이 나오게끔

 

 매너없거나 라이딩이 안되면서 돌리고 점프하는 분들보면 너무 눈쌀찌푸려지고

 

 그래요..

 

 

 아는 녀석을 데리고 갔더니 자기 고급에서 내려올 수 있고 점프도 한다고해서

 

 한마디 했습니다.

 

 "먼저 제대로나 타라고요"

 

 물론 제대로라고 말하는 정의가 뭔지는 누가 정해준것도 아닐 것이지만

 

 

 요새의 너나나나 , 점프, 돌리기 이것부터 시작하는 것 그런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보이진 않습니다.

 

 저만 그런가요?

 

 언제부터 트릭을 시작하면 된다고 생각하세요?

엮인글 :

라이딩의끝은어딘가

2010.11.05 13:47:38
*.83.238.221

참고로 뒤에서 트릭하던 사람한테 첫날 첫데크 긁어먹고...

 

꾹 참고 보내줬는데....

 

잘한거겟죠?

 

 싫은 소리를 못해서 그냥 제가 괜찮으시냐고 물어봤는데

 

 ㅜㅜ

쥬피터 

2010.11.05 14:15:08
*.114.248.11

내일부터요~~~~~~~~~~~~~

DBS

2010.11.05 15:13:53
*.226.142.11

개인적으로는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트릭은 괜찮은 것 같은데...

 

프리스타일...

 

본인이 재미난건 하면 되는건데...결국 트릭도,, 라이딩이 뒷받침 되면서 해야하기 때문에,,,,

 

주변에 보면...라이딩 안된 상태에서 트릭 하다가,, 결국 다시 라이딩 하고 자세 잡으러 들어오게 되던데요..

용산깜상

2010.11.05 15:23:58
*.75.22.91

멋있다고 트릭입문했다 다시 기초잡기 힙들텐데...

 

본인이 느껴야 기초가 중요할줄 알죠..  아님 모릅니다..

Park.B

2010.11.05 15:24:40
*.149.56.65

( '' ) 말씀대로 남에게 피해주지않는 범위라면 괜찮다고 합니다..

Fun하게 타는 취미생활을 남들에게 싫은소리 들어가면서 타는건 아니라고 봐용 ^^;;

프리스타일인데...자기만 잼나면 좋은거죠.. 다치면 어차피 자기손해!!

 

그래서 전 일단 페이키 라이딩부터..

지름신_878556

2010.11.05 15:44:45
*.147.187.12

남한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야 당장 시작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yang5480

2010.11.05 23:10:52
*.235.153.103

동감입니다.

사실 스노우보드 기본정신이 자유롭게 즐기는거 아닌가요

자기가 즐거우면 그만이죠~ 물론 남에게 피해를 주지않고요~ㅎ

날아라햄톨

2010.11.05 15:49:50
*.142.217.231

꼭 언제라고 하기 정의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냥 라이딩이나 데크 다루는 컨드롤이 남들이 봤을때 불안하지 않다 정도면

되지 않을까요?

그 정도 되면 상대방 배려하고 그리 위험하게 행동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물론 연습할때는 주변사람 없는 곳 잘 보고 해야겠죠^^

제파

2010.11.05 16:08:13
*.97.253.105

라이딩이던 트릭이던 불안정한 실력일땐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주의해서 해야 하는건 마찬가집니다.


개인적으로 트릭을 일찍 시작하는건 상관없다고 봅니다.

라이딩은 보드 컨트롤입니다. 내가 내마음대로 컨트롤 하지 못하면 라이딩도 원하는대로 되지 않습니다.

트릭 하나 해보려고 데크를 여러가지로 다뤄보는것 자체가 내맘대로 다루기 위한 컨트롤 연습입니다.

트릭연습이 라이딩에도 도움을 준다는 얘기죠.


라이딩이 더 재밌다면 라이딩을 더 파고든후 트릭을 하면 되는거고

트릭이 하고 싶으면 트릭부터 들이대도 그게 그거란 얘깁니다. 즐기고 싶은 방향으로 하면 되는거예요

계란빵

2010.11.25 15:31:47
*.71.69.159

호암선생

2010.12.02 22:15:21
*.226.218.55

심이 공감 합니다.

약장수_941877

2010.11.05 16:45:05
*.236.23.149

보험들고 부터 시작하면 되지 않을지...ㅡㅡ;
보험을 못 들어 아직 시작하지 못하고 있는 1인 입니다^^;
나이 먹으니 가늘고 길게~~~~~~~~~~~~ 알리와 페이키만... 에혀ㅡㅡ,

**션**

2010.11.05 17:17:51
*.195.183.253

제파님 글에 동의;

제 경우는 초보시절 3년간 라이딩 위주로 했었는데 라이딩 자세가 너무 굳어지면 오히려 트릭 시작하는데 방해가 되더군요;;

허접키보더

2010.11.05 17:27:41
*.252.174.57

제파님 글에 동의(2)..

 

라이딩이던 트릭이던 다 보드 컨트롤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로에게 보탬이 된다 생각하구요..

그리고 이 둘중 어떤걸 선택하던..

본인이 즐거운것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윗분들 말씀처럼 자기만 즐겁자고 다른 분에게 피해가 가서는 안되겟죠.. ^^

leeho730

2010.11.05 17:51:22
*.178.36.145

카빙, 올리 (ollie), 스위치를 어느 정도 하실 수 있으면 트릭을 시작하셔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스케이트 보드도 같지요... 처음 시작하는 스케이터에게 트릭을 가르치는 건 아니라는...

옹헤야~

2010.11.05 18:09:50
*.164.198.195

갠적으론 구피 레귤러 컨트롤 잘 될때쯤 하는게 본인이나 타인에게 좋을듯합니다.

 

 

스노우맥

2010.11.05 18:33:59
*.220.43.62

어떠한 상황에서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을 정도로 데크를 컨트롤 할 수 있어야 하고 상황에 맞게 트릭을 할 줄 아는 판단력이 갖춰졌을 때요. ㅎㅎ 자만해서 빨리 배우려다 빨리 다칩디다.

저렴한보딩자세

2010.11.05 19:52:08
*.232.182.97

제파님 글에 동의(3)..

 

하지만, 혼자 어설프게 트릭 배우겠다고 덤비면.. 라이딩 자세 버리고, 잘못된 습관을 몸에 배이는 경우를 수없이 봤습니다. 저 포함해서...

저도 그나마 잘못된 자세 수정하면서.. 어설프지만.. 약간의 돌림을 하고 있습니다만.. 즐겁게 하되.. 제대로 배울 수 있을때 하는 걸 추천합니다.

슭훗

2010.11.05 20:26:10
*.107.183.66

주변에서 라이딩부터 하고나서
트릭을 해라 라는 말들을 종종 듣는데

그 라이딩이라는게 상체가 선행되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말하는
좋은 자세에서의 라이딩이라면

저는 반대합니다.

데크를 어떠한 상황에서도 컨트롤 할 수
있는게 트릭에 필요한 라이딩이죠

헝글에 많은 분들이 뒷발차기를 혐오하시죠

사실 트릭에 가장 필요한 라이딩은 적절한 뒷발차기와 베이스 라이딩인데 말이죠

오히려 상체를 닫고 내려오는 라이딩이
킥커에서 베이직에어를 연습할때
마이너스로 작용한다고 생각합니다

트릭을 언제 시작하느냐 라고하면
저라면 지금 당장 이라고 말하겠습니다.

적당한 트릭연습은 라이딩에도 도움이 됩니다.

라이딩이라는게 정설에서 카빙이라고 하신다면 그렇게 하세요. 그것또한 좋은 지향점이라고 생각해요

보는 방향이 다를뿐이지 결국 판떼기에 발묶고 노는 겁니다.

다른 사람에게 물리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올시즌도 모두 즐겁게 탄다면 좋겠네요

mmm911

2010.11.05 22:42:26
*.154.218.5

동감 합니다 ^^

리틀 피플

2010.11.06 02:25:25
*.181.182.23

제파님 글에 동의(4)..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면 상관 없다고 생각해요.

주변에 사람들이 바글바글한데도 트릭을 하고 위협을 한다면 ;;;;

apple

2010.11.06 03:58:43
*.244.220.254

보드를 타다보면 초반에 한참 재미있을때는 혼자 들뜬기분에 이거저거 해보게 되죠.

카빙의 맛을 알고 고속으로 쏘면서 턴하다가 조절 못해서 사람들과 부딪치기도 하고

트릭에 재미들려서 남들 보는앞에서 하는 트릭이 멋진 것이라고 리프트 대기줄 앞에서 돌려대다가 부딪치고...

그럴때 필요한게 좋은 선배? 동료 일듯합니다.

이러면 안된다라고 친절하게 가르쳐줄...


글의 주재와는 상관없는글이지만요... -_-;

NACHO

2010.11.06 11:14:35
*.248.34.46

바글바글한데서 자기 잘탄다고 속도내고 카빙하는것도 문제임...

요점은 안전하게 상대 위협안하고 즐기시라~~

 

 

보드라는게 정말 ㅋ 그런게 있어요.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도 있지만.

주변에서 우와 해주는것도 즐기는 한 요소인듯...

 

volcomsnow

2010.11.06 11:18:29
*.120.95.160

시점을 정한다는것 부터가 아이러니하다고 생각합니다..

 

 

외국에서는 라이딩은 잘 못하는데도( 국내 기준의 잘 못하는 기순으로..)

 

 파이프에서 5 돌리고 그러더라구요

보드타는닭

2010.11.06 16:30:54
*.223.22.112

누구나 칼럼의 "프리스타일" 님의 "배워나가는 것" 이란 글이 생각나네요.

 

혹시나 안읽어보신분을 위한 포탈 ㅋ

http://www.hungryboarder.com/?mid=Colum&search_keyword=%ED%94%84%EB%A6%AC%EC%8A%A4%ED%83%80%EC%9D%BC&search_target=nick_name&document_srl=367461

슈팅~☆

2010.11.06 22:11:26
*.103.83.39

매너와 센스부터 장착하고 입문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트릭을 할라면. 자기가 트릭을 함으로써 나오는 행동반경정도 생각하고

 

거기에 따른 여러가지 상황도 예측하는 센스 탑재하고 ..

 

혹여나  예측을 벗어난 상황에서 타인에게 조금이라도 피해가 갔다면.

 

먼저 눈마주치고 "죄송합니다"라는 정중한 인사할수있는 매너를 갖춘후 트릭을 시작했으면 합니다.

 

가끔 잘탄다고 초보자들한테 폼한번 재겠다고 하는건지 초보자 슬금슬금 가는데 옆에서 360,540 돌려버리면

 

초보자 깜짝 놀라서 역엣지 철퍼덕 한순간입니다.

 

그렇다고 초보자가 그 사람한테 머라 할라해도 따라 갈수도 없는거고.

 

매너와 센스!!   트릭입문전 가장 중요하게 갖춰야 할꺼 같아요.

발바닥

2010.11.07 01:22:01
*.39.157.199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타시고 하신다면 괜찮을듯해요~

프리스타일에 앞서 우리나라 스키장 현실에 비취어보면

매너와 배려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정택_913072

2010.11.07 12:15:24
*.12.82.227

제가 보는 기준에서 트릭의 시작은 구피 레귤러 라이딩으로 자신이 원할떄 턴이 가능한 사람. 카빙이든 뒷발차기든 스스로 원하는 대로 안정적으로 턴이되는 타이밍부터 트릭 들어가심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 설질여건상 카빙을 위한 업다운 그리고 꼿꼿한 상체가 라이딩에 좋지만, 후경주는 자세나 전경주는 자세나 사실 어느게 정확하다고 말할게 아니라 둘다 타는 방식중 하나라고 보거든요.. 단 라이딩이 중요한건 착지시 안정적인 자세. 그리고 연결동작을 위함이라 생각합니다. 데크에 휘둘리는 사람이 트릭 잘못하면 다른 사람 머리 쪼개기 나올수도 있으니 최소한 민폐는 피해야죠?

Zety

2010.11.07 14:51:32
*.146.199.22

하고 싶은때 하면 되죠~

꼭 카빙하고 타기보다는 자신이 데크 어느 정도 컨트롤 할 수 있을때요 ㅋ

짱구_910395

2010.11.07 15:11:50
*.126.63.4

보드처음탈때가 가장 재미있다고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라이딩도 재미있고요... 그러다 재미있는것을 찾아 트릭도하고 파크도 들어가는것이 아닐까요?

 

보드 왜타시나요? 저는 재밋어서 탄다고 말합니다 슬로프상태가 별로거나 재미가 떨어지면 재미나게 탈려고

 

슬롭을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재미찾아 타는게 제 스타일이기에 모든 시기는 하고싶을때이거나 전단계에서의

 

흥미가 떨어졌을때라고 생각합니다

행복하지않아

2010.11.08 00:39:50
*.97.21.173

처음 부터 잘하는 사람이 어딧나요 ^^ 연습해서 잘하게 되는 거겠죠;;

 

빨리 실력이 오르기 위해선 라이딩을 아주 잘하면 좋을 듯해요 ^^

뭉치 

2010.11.08 09:25:49
*.241.147.32

저도 제파님 글에 동의해요.. 남에게 피해만 안주면 상관은 없습니다만..

제 주위 사람이라면.... 말립니다. 더 다치는경우가 많거나 랜딩시 주위 사람들을 살피지 못하여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경우가 많거든요...

 

제 생각은 어느정도 라이딩이 될때 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어느정도 보드콘드롤이 되어야 자기 자신도

보호할수 있으니깐요.~

구석이

2010.11.09 14:03:07
*.241.151.50

피해 안주고 본인 나름 잼나게 타면 뭐 괜찮은거 같은데요 ㅎㅎㅎ

환자

2010.11.09 15:43:27
*.111.184.10

트릭은 언제부터 시작해도 상관없다고 봅니다.

단, 자기가 하는게 최고라는 자만은 좀 버렸으면 -_-;

랜딩 슬립 팍팍 내가면서 거의 제자리에서 노즈찍고 5 돌린다고

고수인양 으스대는거 보면 머라 할 말이 없다는;;ㅎㅎ

악플러™

2010.11.09 21:14:10
*.136.50.253

다른사람에게 피해를 안준다면 ..

언제든지 가능하겟죠

딸기맛샴푸

2010.11.10 01:18:40
*.110.188.150

저도 상관없다에 한표를 던지고 빠짐니닷..ㅋㅋ

 

 

춘삼이♡

2010.11.11 09:51:32
*.87.60.220

언제 시작하든 개인의 자유지만

 

한산 곳에서만 돌리셨으면 해요

 

바글바글한 곳에서 돌리다가 지나가는 엄한 사람 다치게 하지 않는다면

 

어차피 개인의 만족이고, 타인에게는 .. 소 닭보는 격이니까요

에찌는사치

2010.11.11 10:14:28
*.125.250.101

알리 50 이상 치고 랜딩 안 불안 할때..... 부터...

 

머 첨 부터 해도 상관은 없지만... 정신+육체 자체 불안한 상태에서 하면... 안 이쁘다는거....

트릭연마

2010.11.11 13:36:59
*.20.11.94

레귤러 구피 다가능할때쯤이면 좋을듯

그래도 돌리고 싶다면 사람이 없는곳에서 !!

225

2010.11.11 20:46:26
*.70.63.160

보드는 젊은이들의 프리스타일 정신에서 시작된것 아닌가요?

 

저도 다른이에게 피해가 없다면 언제 시작하던지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만...

 

결국 재미를 위해 타는것 이니까요. 

술먹었냐

2010.11.12 10:52:01
*.159.152.176

저도 위에님 한표 남이 머라고 하든말든 피해만 안주고 자기 하고싶은대로 하면되죠

 

머 언제부터 트릭을 해야된다 이런건 말도안되는 소리인듯..

 

자기돈주고 자기가 병원비내고 넘어지고 한다는데 말릴 필요가 있을까요?

 

몇번 넘어지다보면 자기가 알아서 라이딩으로 찾아갈듯

눈사람_834818

2010.11.17 23:29:16
*.228.161.3

깡다구 생길때..

맆트..ㄷㄷ

2010.11.20 21:42:33
*.176.33.199

보험든날..

에펠탑키스

2010.11.23 20:53:26
*.117.97.186

안전을생각한다면 레귤러 스위치라이딩컨트롤가능한상태에서시작. 다처도 겐찬타면 일어설수이쓸정도면 바로시작.실력은 후자가 빨리늘게찌만 사고위험성이 크죠,

제주소년코난

2010.11.28 01:43:33
*.21.192.89

보더들 많이 없는 평일 오전 땡~

fingerpost

2010.11.30 19:19:09
*.226.218.33

난 트릭 어줍잖게하는사람들보다 라이딩 폼나게하는사람들이 더 멋지던데ㅋ

비폭력주의자---------간디------

2010.11.30 21:09:44
*.229.91.107

뭔상관인지는 모르겠는데... 재밌으니까 타는거잖아요 남한테 피해만 안주면 괜찮다고 생각하는데... 왜 남에 신선을 신경써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보드럽

2010.11.30 22:18:18
*.16.227.3

남에게 피해 안주는거 조절할 수 있는 선에서 하고싶을 때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 물론 그런 조절이 가능한 정도의 실력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당 ㅎㅎ 트릭을 배우는 초보자라면 시도하면서 많이 자빠링하고 그러겠죠. 서로서로 조심하는게 정답인듯...

키읔키읔

2010.12.07 16:27:11
*.148.53.61

남들에게 피해 주지 않는다면 언제든지 시작해도 되지않을까요


하다가 몸상하는건 그 사람의 몫이닌까요.;

동달이

2010.12.08 20:18:48
*.212.100.215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한에..

 

그리고 양쪽 컨트롤 잘 됐을때 하는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4
755 바인딩을 채울때 지켰으면 하는 매너 [91] 보노보더 2010-11-27 1 13292
754 헝글장터문제 [24] TJ_974937 2010-11-26   3757
753 보딩 시에 이어폰 사용요. [76] 막달려달려. 2010-11-18   8025
752 토론방 게시판의 성격.. [8] 곧한다 2010-11-16   2554
751 슬로프의 일방통행? 스키장에서의 매너... [37] X-ray 2010-11-14   6260
750 트릭 명칭에 관한 정확한 기준이 있나? [21] 무주막보더 2010-11-14   3284
749 시즌권자 리프트 탑승때 얼굴검사 여부 [50] 일루 2010-11-13   7026
748 보딩시.. 사케 한잔 도.. 질타를 받아야 한다?? [76] 허슬두 2010-11-07   5870
747 보드장 소식란에 왠 구인광고? [10] 설마했던니... 2010-11-06   2628
746 헬멧은 꼭 착용해야 하는가? [74] 왼손 2010-11-06   6261
745 스키장 오픈 과열경쟁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6] 겨울하트 2010-11-05   3916
» 트릭의 시작은 언제? [53] 라이딩의끝... 2010-11-05   5962
743 에어 콤프레셔(에어건)로 데크에 눈 털때.......아놔......(많은 호응 감사합니다) file [62] 엉덩방아s 2010-11-03 1 8117
742 제가 정말 이해가 가지 않아서 쓰는 건데요 [65] KassemG 2010-11-03   7333
741 당최 홍보는 어떻게 해야하는건가(-_-) [13] 더블골드 2010-11-03   2731
740 리프트 대기줄 새치기! [62] 로곤뿔 2010-11-01   6201
739 사이트 개편에 대한 감상 [37] 론리보더 2010-11-01   2575
738 슬림핏 보호대 진짜 보호가 잘 되는 건가요? [34] 꽃(등심)보더 2010-11-01   5624
737 직장인 트릭의 끝은 어디일까? [56] 성게군~ 2010-10-26 1 7436
736 리버스캠버의라이딩...과연진실은 [43] 날으는고여사 2010-10-14   8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