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방지예방과 사고 예방 및 조치 방법

스노우보드를 처음 접하는 초보 보더님 들과 일반 라이더님들의 안전한 보딩을 위해 몇 글자 끄적여 보겠습니다.
부상이라고 함은 정상적인 활동에 어떠한 물리적인 방해로 인해 정상적인 활동에 장애를 주는 것을 말합니다.

8개월을 기다려 맞이하는 시즌에 처음부터 부상을 입어서 시즌을 제대로 보내지 못한다면 억울 하겠죠.
하지만 바로 당신이 격을 수 있는 일이므로 꼼꼼히 살펴셔 멋진 시즌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단원은

1. 부상 방지 준비물
2. 베이스에서 땀 빼기
3. 사이드 슬립 & 낙엽 (힐,토우)
4. 턴 연습
5. 베이스 하단부
6. 보드장에서 사고 발생시
7. 아이스 구별 및 대처법
8. 그라운드 트릭시 주의 할 점
9. 파크 라이딩
10. 집으로 가는 길...

맘데로 정한 단원입니다.
절대 거창하지 않습니다. 말이 길어 질 수도 있으니 그냥 봐주세요 ^^

1. 부상 방지 준비물
- 보호대 : 무릎, 엉덩이, 손목, 헬멧, 고글, 장갑. 등...(귀마개,마스크,반다나,내복,썬크림도 보호대임)
  * 보호대 착용은 필수 입니다.
    난 엉덩이에 살이 많아서 괜찮아.옷빨 안받아. 하시는 분들
    아이스에서 사과 쪼개보지 않으신 분들은 모르십니다.
    반드시 하시고 빌려서 입는건 위생에 좀 그렇지만... 꼭 착용바랍니다.
    
  * 손목 보호대 : 평소 팔목쪽에 져리거나 아프신분들(직업병?)은 불편하시더라고 꼭 착용 하시기 바랍니다.
    보드 운동중 가장 많이 움직이시는 부위이고 넘어지는 법을 잘 못 배우신 분들은 꼭 다치시는 부분입니다.

  * 헬멧 : 답답하시다구요? 뇌진탕 안당해 보셨음 말을 마세요!
    부상은 혼자서 당하지 않는 경우가 50% 이상입니다. 남이 와서 받아 버릴 경우 붕 떠서 멀리 가시는 분들도 봤습니다.
    언제 어떻게 부상을 입을지 모르니 꼭 착용 바랍니다.

  * 고글 : 고글 없이 보드 & 스키 타시는분들은 밝은 햇살에 백내장이 올 수 있습니다.
    고글을 하나만 선택할 경우 핑크나 오렌지색 렌즈를 사용바랍니다.
    주간&야간 라이딩시 아이스를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의 화이어 or 미러 렌즈는 초보분들 선택에 주의 바랍니다.
    - 첨부 날씨별 렌즈 참고

  * 장갑 : 무조건 따뜻하고 방수 잘 되는 놈으로..

  준비물 결론 : 보호장비에 돈 많이 든다고 아끼지 마시기 바랍니다.
   치료비가 더 들어 갈 수 있으니 보험 하나 드신다고 생각하세요.

2. 베이스에서 땀 빼기
- 준비운동 : 스트레칭 & 낙법(?)
  * 스노우보드 운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위는 목, 어께, 허리, 손목, 엉덩이, 무릎, 발목입니다.
    가볍게 맨소 체조 하신다고 생각하시고 스트레칭 해주시고 특히 손목과 목은 많이 풀어 주시기 바랍니다.
    --> 스트레칭법 그림참조

  * 낙법(?) No. 넘어 지는 법
    모든 준비 운동이 끝난 뒤 실제 두발이 묶인 상태에서 넘어지는 법을 연습하지 않으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손목 및 엉덩이/무릎에 많은 통증을 받게 됩니다. (직접 시연한 동영상이 있는데 링크 짤렸네요 ㅜㅜ)

    - 앞으로 넘어지기 :
      양손은 주먹을 쥔 상태에서 가슴쪽으로 당긴 후 양쪽 겨드랑이 사이에 넣습니다.
      먼저 무릎이 땅에 닿습니다. 다음에 주먹진 양팔로 충격을 완화 하고 고개는 뒤로 젖히듯 들어줘야 안면랜딩 안합니다.
      양발은 데크 베이스가 위를 향하도록 들어 줍니다.

    - 뒤로 넘어지기 : 엉덩이가 먼저 닿겠죠. 등은 새우등 처럼 구부려 주시고 양손은 가슴쪽으로 모아 주시고 목은 앞으로
       당겨주세요. 특히 뒤로 넘어 지실땐 목에 꼭 힘을 주어 뇌진탕을 예방해야 합니다.

    - 간단한 놀이 : 처음 부츠를 신고 불편한 걸음으로 바로 보딩하기 어렵다는걸 누구나 첨에 느꼈을 것입니다.
       이를 간단히 풀어 줄 수 있는것이 간단한 놀이 인데.
       얼음땡, 술래 잡기, 손바닥 밀치기 등 가변운 놀이로 긴장감을 덜어주고 부츠를 신고도 운동화 처럼 편한암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줘야 합니다.


3. 사이드 슬립 & 낙엽 (힐,토우)
  - 자리 잡고 바인딩 묶기
   리프트에서 안전하게 내렸다면 바인딩을 묶기 전 부츠끈 다시 확인 하시고 다른 사람들의 방해가 되지 않는 평평한 자리에서
   바인딩을 묶고 일어 나기 연습을 합니다.
  - 일어 서기
   일어설때 많이들 힘들어 하시고 당황 하시지만 이때도 반드시 넘어지는 법을 떠올리시면서 연습하셔야 합니다.
   처음 연습하실때 손목을 많이 짚으면서 안넘어 지려 하십니다.
    절대 짚지 마시고 그냥 넘어지시는 것이 복근 운동에도 좋습니다.
  - 미끄러 지기
   초보자분께서 많이 하시는 실수가 그물(펜스)에 걸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사이드 슬립을 연습 할 장소가 마땅히 양쪽 슬로프 구석이라는 단점 때문에 그렇습니다.
   경사면을 잘 읽으시면 그물에 걸리지 않고 미끄러지는 연습을 하실 수 있습니다.
   TIP : 처음 힐엣지로 일어 나시기 힘드시면 토우사이드 슬립먼저 연습하세요. 그럼 힐사이드엣지는 그냥 됩니다. ^^
  - 낙엽타기
   낙엽타기 할때 두려운 부분이 뒤에서 내려오는 사람과의 충돌에 자꾸 시선을 줘서 올바른 자세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처음 시작하기전 내려갈곳을 지정을 하고 어느정도 안전거리를 두고 출발하세요! 무리하게 활강 하시다가 제어가 안되면
   다른 사람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 컨트롤이 안될 경우 내가 그냥 넘어 지는것이 부상을 줄이는 방법 입니다.

  * 슬로프 가운데 넘어졌을때
   - 슬로프에는 많은 사람들이 활강을 하는 곳입니다. 다른 사람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아래 사항만 준수하시면 됩니다.
   1) 넘어지고 난 즉시 슬로프 상단을 쳐다보고 내려오는 사람과의 충돌을 예상하라.
   2) 안전이 확보 되었다면 바로 내려 가던지 쉬어야 겠다면 슬로프 양끝 가장자리로 신속히 이동하라.
   3) 휴식은 슬로프 양쪽 가장자리에서 하여야 활강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자신의 안전도 확보가 가능하다.

4. 턴 연습
  턴연습시 유난히 충돌 사고가 많이 나는 보더가 있습니다.
  자신의 실수로 다른 사람을 뒤에서 받는 거야 개인 탓이지만 잘 내려가고 있는데 뒤에서 받는 경우.
  이런 경우는 누구의 잘못 일까요? 정답은 5:5 입니다. 라이딩시 충돌이 일어난 두사람의 사고는 차량 주행과도 같습니다.
  
  라이딩시 충돌이 자주 일어나는 보더의 특징은 턴 반경이 일정 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시야가 확보된 라이더는 뒤에서 내려오는 라이더 입니다.
  그 라이더는 자신의 턴 반경을 슬로프에서 라이딩을 하는 라이더들의 턴을 예측하고 내려갑니다.
  앞에 라이더의 턴 반경이 일정하지 못할때(롱,롱,숏,롱,숏,롱롱...) 추측이 어려워 추돌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해선 정확한 업,다운 모션과 일정한 턴반경으로 자신의 주행을 알려주는 방법이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 무엇보다도 자기 실력에 맞는 슬로프를 선택하는것이겠죠

5. 베이스 하단부
  내려오는 라이더는 베이스 하단부에 다올때 쯤 그라운드 트릭을 돌리거나 급정거로 눈을 뿌리거나 합니다.
  튀고싶겠거나 일행에게 장난을 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베이스에서 일행을 기다릴 때에는 슬로프 한쪽 구석에서 모여 있기를 바랍니다.
  자신의 실력을 과대 평가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멈출 수 있다 또는 피할 수 있다 라는 생각으로 라이딩을 하신다면 무면허와 같은 행위 입니다.
  여러사람이 슬로프간 통행을 하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베이스에서 방심하고 있다가 부상을 당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멋진건 라이딩 할 때 더 빛을 발합니다. 리프트에서도 충분히 감탄을 해드릴 수 있습니다.

6. 보드장에서 부상 발생시 당황 하지 말고 도움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 서로 부딪혔을때 상대방의 상태를 먼저 챙겨 주시기 바랍니다.
    괜찮으시냐고 물어 보시고 가벼운 부상이라도 의무실 기록을 꼭 남기시기 바랍니다.
  . 패트롤을 부르시기 바랍니다.
    패트롤인원은 슬로프 상단에서 교대로 내려오면서 사고 및 위험 요소를 제거합니다.
    어떻게 부상이 발생 했는지 충분히 알려주시고 의무실까지 동행도 해드립니다.
    패트롤의 증언도 부상일지에 같이 기록 됩니다. (차후 사고 처리시 필요할지도 모르니 패트롤 이름 꼭 기억해두세요)
  . 지인의 도움을 요청하세요!
    홀로 떨어져서 보드를 타다가 부상을 당할경우 시비가 발생하면 가해자로 몰리기 쉽상입니다.
    지인에게 어느 슬로프 어디쯤 부상을 입었다고 연락을 하시고 패트롤과 동행하시어 사고 처리 하시기 바랍니다.
    슬로프에서 가만히 서 있는것도 사고원인 제공이니 휴식을 취할땐 한쪽으로 피해주시기 바랍니다.
  . 슬로프 이름과 패트롤 연락처를 꼭 알아 두자. 사고 발생시 좀더 빠른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7. 아이스 구별 및 대처법
  초보 혹은 고수분들도 피할 수 없는 아이스...
  아이스를 만났을 때 대처법입니다.
  만나기 전에 피해 가시기 바랍니다. 정말 입니다.
  아이스 위에서는 고수도 하수도 없는 그런 곳입니다.
  혹시 눈치 못채고 아이스를 만났을 땐 베이스로 지나 가시기 바랍니다.
  아이스를 치고 가를 수 있는 데크는 알파인 밖에 없습니다. (일부 고수 라이더들도 미끌 합니다)

8. 그라운드 트릭시 주의 할 점
   기술을 하기 전에 반드시 사주경계 후 기술을 하시기 바랍니다.
   자신이 랜딩 후 진행할 곳에 장애물이 없는지 스핀계열로 몸을 날릴때 뒤에서 내려오는 보더가 없는지
   가장 중요한건 연습할땐 사람들 없는 슬로프를 이용해서 쪽팔림을 줄이시기 바랍니다.

9. 파크 라이딩
   Drop In. 파크 라이딩시 안전 장비는 최 우선입니다.
   그다음 파크 진입의 순서를 지키는 것입니다.
   앞사람의 랜딩이 무사히 잘 끝났는지를 확인하고 들어 가야 합니다.
   키커에서는 랜딩 존과 어프러치 부분을 충분히 살펴 적당한 스타트 지점을 찾기를 바랍니다.
   드롭인 대기 할때 어디서 스타트를 하는지 봐두는것도 자신의 기술에 맞겠끔 스타트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 한번만 더... 절대 금물입니다. 꼭 저때 다치게 되어 있습니다.
   아쉽지만 그만 할 때를 놓이지 마시기 바랍니다.
   참! 날씨가 너무 차가울땐 파크 이용 자제 바랍니다. 부상이 쉽게 옵니다.

10. 집으로 가는 길... 무조건 휴식!
   즐겁게 보딩을 마치고 난 뒤 피곤이 몰려 오기 쉽상입니다.
   돌아가는 길은 왜이리도 멀고 차는 많이 막히는 지요...
   남들 보다 편안하게 집으로 가는 방법은 남들보다 2시간 일찍 혹은 4시간이상 뒤에 출발 하는것입니다.
   졸음 운전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출발 하십시오.
   카풀은 운전이 가능하신분과 교대로 운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차에 슬리퍼를 두어 피곤한 발의 통풍을 해주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휴게소에 자주 들러 커피라도 마시면서 잠을 쫒으시기 바랍니다.

간단한 부상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① 자기수준에 맞는 슬로프에서 즐기자
② 충분한 체력을 유지하자 : 비시즌에도 틈틈히 하체 운동
③ 필요장비를 다 준비하고 점검을 소홀히 하지 말자 : 젖은 부츠 No. 바인딩 나사 조임 확인 필수, 헉! 내고글...
④ 트레이닝을 소홀히 하지 말고 안전 규칙을 지키자 : 매너도 지키자. ㅡㅡ;
⑤ 슬로프의 상태를 미리 점검하자 : 아이스 슬로프는 고수도 하수도 없다
⑥ 피로를 느낄 때는 즉시 중단하라 : 내일도 보드 타야 할 꺼 아냐.
⑦ 음주상태에서는 보드를 타지 말자 : 음주보드는 음주 운전
⑧ 시작 전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자 : 부상방지 첫번째 규칙!
⑨ 넘어지는 것을 두려워 말라 : 손목 다치기 싫으면 그냥 넘어지는게 상책!
⑩ 과거 부상의 공포에서 벗어나자 : 이건 정말 벗어나기 힘든데....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08.09.29 10:09:26
*.244.243.173

잘읽었습니다... 너무 요긴하게 쓰일거같네요 ㅎㅎ 안전보딩하세요 꼭 요!!

2008.09.29 11:46:31
*.54.200.53

10번... 과거 부상의 공포에서 벗어나자...어려워요ㅠㅠ

2008.09.29 12:08:43
*.247.145.6

공포감...펜스 뚫고 나가서 눈에 파묻혔을땐.. 아찔했음다............
달인

2008.09.29 12:42:32
*.247.145.10

특히 보호장비 = 보험 이부분은 공감 백배 입니다.
ㅋㅋㅋ 겐세이짱님 요번에는 일본 같이 가야지...홋끼이도로..^^,,

2008.09.29 13:07:45
*.247.145.9

무릎 연골판 파열로 수술 합니다. ㅡㅡ;
열심히 재활 해서 시즌 때 타야죠 ㅜㅜ
비로거

2008.09.30 23:08:25
*.168.139.84

긴글 잘 읽었습니다.
알고 있는 이야기 지만 지키기 어려운 거죠.
항상 안전보딩.
4572

2008.10.02 11:20:49
*.115.124.174

한번 다치고난뒤 두려움을 이기는것이 더 중요하더군요 안전보딩하세효들 ^____^

2008.10.29 19:35:55
*.138.21.165

저도 작년 시즌 초반 다쳐서 3개월가량 쉬었는데 올여름 연습삼아 타이거 갔다가...ㅠㅠ
겁나 죽겠네요...ㅠㅠ

2008.10.31 19:35:40
*.32.31.5

살짝 퍼가두 될까요??
회사 동호회에 올렸으면 하는데
박현종

2008.11.10 02:16:22
*.177.18.180

제 생각에 가장 중요한 스트레칭은 바로 손목인것 같습니다. 손목 스트레칭은 필수 사항입니다. 다들 몸사려서 안전보딩하시길~^.^

2008.11.28 14:07:21
*.117.76.253

저도 뇌진탕 당해본 1人... 반나절의 기억이 사라진 단기기억상실 ㄷㄷㄷ
무서워서 병원가서 MRI란것도 찍어보고 아무이상은 없이 잘살고있음...
다행히 보드보험들어놔서 30인가 40인가 병원비 다 받았었죠...
몸 붕날라서 머리랜딩 뇌진탕 그거그거 아차순간이더군요... 조심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부상 보고서 공지 사항 - [43] 관리자 2011-10-31 43886
2011 보딩후 발등 부분이요. file [7] 아톰2000 2008-12-03 1468
2010 허벅지 사타구니 안쪽 아랫부분이 땡겨여ㅠ [6] 니가시러질때 2008-12-02 2819
2009 08년3월초 추돌사고 후 보첨사(손해사정) 추정손해액 산정입니다. file [5] 세실1234 2008-12-02 3119
2008 아 보드를 타야하나 말아야 하나... [5] 푸우사마 2008-12-02 1931
2007 아나... 오늘 강촌에서 타다가... [7] 미사리한량 2008-12-01 1989
2006 다쳤는데 배째라네여....ㅡ_ㅡ;; [53] 순수비 2008-11-29 4602
2005 스키장 사고시 보험처리 및 간단한 상식 [3] Wish 2008-11-28 4798
2004 엉딩이 랜딩~ [9] 뇽이 2008-11-28 1950
2003 슬로프 중간에서 서있을때 받혔어요 [24] 미호 2008-11-27 3864
2002 갈비뼈 금갔음...ㅠ.,ㅠ [13] 똘끼 2008-11-24 3555
2001 시즌 첫날 어깨랜딩 시즌접다,,,,,ㅜㅜ [40] 김용한 2008-11-21 5877
2000 발톱이 나갔어요... [6] 에궁~ 2008-11-21 2451
1999 어깨 핀 박는 수술... [13] ROXY 2008-11-20 4282
1998 유령데크로 인한 왼쪽 엄지손가락 탈구 사고 후기 [2] 빠꾸샤 2008-11-19 4546
1997 2007년 2월 10일 하이원에서 사고 났는데 그날 사진 있는분들 도... [4] 스킨쿨바 2008-11-18 2342
1996 어깨부상 [9] 권선미 2008-10-10 2478
1995 반월상 연골판 수술 완료(관절경) [4] 겐세이짱 2008-10-03 3332
1994 스키장 사고 사례와 예방, 응급처치 방법 file [11] 보드소년필 2008-09-29 6929
» 보드장 부상 방지법 file [11] 겐세이짱 2008-09-29 3180
1992 부상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Tip 몇가지 [1] 보더SSONG 2008-09-28 1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