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몇시즌 설렁설렁 다니다가 지난 시즌 첫장비를 구입하고,
이번 시즌부터는 본격적으로 타고 싶어서 시즌권 구입을 지난 시즌부터 생각 해 왔습니다.
수도권에 살다보니 주로 경기권 스키장만 다니다가
지난 시즌 지인따라서 웰팍과 휘팍을 다녀왔었는데 강원도권 스키장은 첨이었죠
셔틀, 슬로프, 이용객 등등 여러 조건을 따졌을 때 웰팍이 맘에 들었고(셔틀탑승 집에서 3분 ^^^^^^^)
지난 시즌 종료쯤 이번 시즌에 웰팍 시즌권 구입을 생각 하고 있었습니다.
시즌권 가격은 1차 판매가 30만원 선에서 아무렴 괜찮다~ 생각 했고,
며칠전 웰팍이 판매를 시작했죠..
가격보고는 맘에 들어 결제 해야겠다~ 하는데 여성 22만원..........
항상 여성시즌권이 조금씩은 더 저렴했었는데... 무려 1/3 할인 된 가격......
뭐.. 결론적으로 웰팍 구매 했습니다~
하지만 기분이 썩 좋지 않습니다.
아래 게시물에도 위법한 사실이 없다하니 별 다른 도리가 없지만..
셀프마스터님의 댓글에 심히 공감이 가네요..
동양인, 흑인, 백인 가격 차등..
이용에는 모든 조건이 같은데 인종으로 가격을 구분 한다고 하면..
과연 여러인종이 공존하는 국가에서 인종차별로 말이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20주년 특별 할인 좋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누구라도 단 1원이라도 저렴한 가격에 소비한다면 좋은 일이지요.
하지만 그것이 이벤트를 통한 한정 추첨도 아니고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라면 남성에겐 성별을 바꿀 수도 없고, 참여 할 기회마져 없는데 많은 이들이 납득하기 힘들겠지요.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사고 있는 와중에.. 웰팍 페북 페이지에서는 남, 녀 가격차에 항의하는 댓글에
여장하고 구입하라는 조롱으로 느껴질 수 밖에 없는 댓글을 관리자가 남깁니다.
뭐라 정리하여 글을 끝맺어야 할지 모르겠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웰팍 가기로 한 사람으로써
"떳따~ 시즌권!!!!" 하며 시즌을 기다리며 뭔가 시즌에 다가가고 있다는 설렘을 만끽하고 싶은데
찬물을 끼얹은것 같아 기분이 몹시............하.........................
그렇습니다;;
노출광님께 다는 댓글 아닙니다. 오류 때문에 이렇게 달 수 밖에 없네요.....
모든 분//
한 스키장의 시즌권 판매가격 남녀 차등 때문에 갑론을박이 자주 보이네요.
제 생각은 그런 마케팅에 대해 불만인 사람은 불매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 스키장이 국영인 것도 아니고, 생활 필수품 가령, 쌀을 남자에게는 20,000원 받고
여자에게는 10,000원 받는 것도 아니고요.
많이 나온 비교인데 클럽 같은 경우 뿐만 아니라 여자 마케팅은 여자의 경제력이
신장되고 소비의 증요한 주체가 되면서 꾸준히 있어 왔던 현상입니다.
쇼핑몰, 백화점의 1,2 층을 여성복이 장악했었던 것도 그런데 있었던 거고요,
심지어 꼴랑 제주도의 게스트하우스도 남자방 보다는 여자방이 시설이 더 좋거나
최소한 위치가 더 좋죠. 여자 손님을 끌면 남자는 따라오니까요.....
자.......바로 그 대목이 여기서 제가 하고 싶었던 말입니다.
여자가 있으면 남자가 따라 오는 현상을 노린 마케팅 정책.
그것을 굳이 비판하자면 여자 탓일까요 남자 탓일까요?
(업체를 비판하고 싶다는 분도 있지만, 불법도 아니거니와 도덕적 문제 라고도 볼 수 없어서
마케팅 자체를 비판하는 것은 무리라고 봅니다)
스키장도 게스트하우스 조차도 보딩이나 여행보다 목적이 '여자'에 있는
남자의 탓일 수 있지 않을까 해요. 굳이 따져야 한다면요.
진짜 제 생각은 조금 더 넓게 보면요,..... 그런 현상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일 수 있겠다 싶습니다.
암탉이라 쫓길 뿐, 수탉이라 쫓을 뿐.....
인간 사회의 자연스러운 현상에 대해서 잘못이라 논할 수 없는 행동에 대해서 까지
그 주체를 지나치게 비하하고 비판하는 시각이 존재한다는게 그저 안타깝고 신기할 따름입니다.
스키장 선택..... 자기가 가고 싶은 데 가고, 가기 싫은데 안 가면 됩니다.
여자라는 이유로 시즌권 가격 할인 좀 받는 것을 가지고 그 스키장 시즌권을 사면
마치 골빈 양심 불량 파렴치하게 보는 시각이 사이코입니다.
플라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같은 논리로 '남성'들에게만 세일해주면...이건 성차별일까요 ,아닐까요?
음... 어렵네.
여성만 깎아주면 서비스고 남성만 깎아주면 성차별이 되니...
(솔직히 말해서 그건 매출을 올리려는 '업체의 입장'일 뿐이죠. 노골적인 여성 상품화를 통한 '나이트 클럽 마케팅' 쓰면서 그냥 겉으로 듣기좋게 갖다붙인 말 '여성 우대 서비스'.)
여성 스스로가 약자라고 생각하지 않았음 좋겠어요. 진짜 남녀평등을 지향한다면...
그렇기때문에 개인적으론 남녀평등 완전 실현은 불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조심스럽게 여쭈어 봅니다
남성만 깎아주면 성차별이 된다고 단정을 하셨는데요, 그런 실례가 정말 있는지요?
어떤 서비스 상품에 그런 게 있는지 알려 주세요.
저는 겪어보지 못해서 모르겠습니다. 남성만 깎아주면 성차별이 된적이 없었다는 말도 되고요.
실재하지 않는 막연한 상상만으로 피해 의식을 가지는 것도 문제라고 봐요.
시즌권 하나 사면서 여자분들이 나는 약자이니까 이렇게 할인받고 배려 받아야 해 라는 분이
과연 몇 분이나 있을까요?
그보다는..... ' 어, 여자 시즌권이 더 싸네, 그래 그럼 뭐 땡큐지/' 이런 정도 아닐까요.
심지어 여자 시즌권이 더 싼지 인식 못하고 결제하는 여자 분도 있을 수 있을 겁니다.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상품을 놓고 남녀 평등 문제로 까지 끌고 가는 것은 '오버'라고 봅니다.
(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경우, 가령 공영 버스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데 남자는 1000원
여자는 2000원 내라고 하면 문제죠, 그래서 그렇게 안 하는 겁니다
하지만 남자 커트 20000원, 여자 커트 30000원 이라고 해서 성차별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선택 가능한 서비스 상품이니까요 )
플라톤//
그런게 있을 리 없잖아요.
'여성 우대 서비스'는 여성 상품화를 통해 남성들을 낚아서 업체의 매출을 올리려는 마케팅인데요.
만약에 택시 노조에서...
아주머니들은 너무 시끄럽고 100원짜리 하나까지 따지면서 기사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니... 남성에게 기본료 100원 깎아주겠다고 하면...아주머니들이 가만히 있겠습니까? '여가부'에서 가만 있겠어요?
이거 성차별 맞잖아요?
희한하게 여성 우대 서비스는 괜찮고... 남성 우대 서비스는 성차별이 되죠.
왜 그럴까요?
나도 모르겠네요... 그냥 그런가 보다...합니다.
여성만 깎아주면 서비스고 남성만 깎아주면 성차별이 되니...
란 뜻은 역차별을 의미하려고 쓰신 것으로 보이고요
그 말이 남성 우대 서비스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는 ..........
문맥상으로도 말이 안 되네요.
그리고 만약 택지 노조 라고 길게 쓰셨는데,
제가 드리는 말이 왜 자꾸 상상에 의한 막연한 피해를 단정하시는지 모르겠어요.
만약이라고 하셨잖아요. 그건 개인의 상상이지 현실이 아닙니다.
여가부 자꾸 말씀하시는 것도 논리보다는 여가부의 부정적인 이미지만을 이용하려는 것 같고요.
솔직히 노출광님 정도 되는 분이라 실망이 좀 큽니다.
이 정도 하겠습니다.
플라톤//
실망이란건 개인의 감정이니 그건 님이 알아서 하시는것이구요...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일상 생활에서 성별을 이유로 불이익을 주는것은 명백한 '성차별' 입니다.
역으로 혜택을 주는것 역시 '역차별'이구요.
둘 다 잘못된 것이지요.
그러나 상업적 관점에선...
'나이트 클럽 마케팅'이란건 기본적으로 역차별을 통해 남성들의 주머니를 터는 전략인것이고 이것은 기본적으로 '여성 상품화'를 깔고 갑니다.
일상 생활에선 잘못된 것이지만... 이것이 상업적으로 이용될때엔 허용됩니다.
즉, 지금 웰팍에서 역차별 전략을 상업적으로 쓰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 이것을 잘못이라고 말할 순 없는거죠.
다만, 명백하게 역차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죠...
인권위에서도 이렇게 해석을 하더군요... 성차별적 요소가 없지는 않지만 상업적으로 이용되는것에 대한 대한 제재는 할 수 없다...뭐, 이런 내용이었죠.
결론..
성차별적 요소는 있지만 위법은 아니다... 갈 사람은 가면 되고 안 갈 사람은 안 가면 그만이다.
있다고 욕을 먹으면 자신은 가치관이 다르다고 피력하면 될 일이고, 정말 부당하다고 느끼지만 난 혜택을 받으니 잠자코 있다면
그런 비난이나 눈총은 스스로 감내해야 될 부분인거죠.
질문드리고 싶은게 그럼 웰리힐리를 이용하고자 '어쩔 수 없이' 할인된 가격으로 시즌권을 구매하였지만 웰리힐리측의 성차별 마케팅에 동의하지 않는 여성들은 어떻게 자기 가치관과 의견을 피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성차별마케팅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웰리힐리 시즌권을 구매하였다고 글 쓴 다른 남성 시즌권자들처럼 헝글 자게에 난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하는 여성보더지만 성차별마케팅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라고 글을 써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셀프마스터님 //
자신에겐 이득이라며 그런 상술에 암묵적 동의를 해버리는 일부 여성분들을 알고 계신가요?
어떤 근거로 그런 사람들이 있다고 단정을 하시죠?
어떤 논제든 일부, 극소수라고 전제를 하면 가능성을 확보해서 논증에 유리하죠.
하지만 그런 소수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을 하면 대의를 보지 못하고 지극히 작은 부분만을 살피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마케팅이 나에겐 이득이라며 암묵적으로 동의를 하면 왜 바로 파렴치, 양심 불량이 되는 건가요?
다른 조건이 좋은데 남자가 사면 30% 할인해 주는 스키장이 있다면 가겠습니다.
그리고 그 스키장은 왜 성차별을 하지? 왜 역차별을 하지 라는 생각도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냥, 남자는 돈 버느라 바빠서 스키장에 많이 안 와서 그런가 보다..... 라는 생각으로 살 것 같네요.
말씀하신대로.....
하하하.... 남자들은 나보다 30% 더 비싸게 사는구나 아이고 고소해라, 나는 여자니까 당연히 할인도 받고
이렇게 보호 받아야 해 라고 생각하며 시즌권을 사는 여자가 몇 %나 될까요?
그런 극소수의 여자들 생각까지 읽으며 그런 여자들은 반성하라고 하는 사람들이 사이코지 정상인입니까?
부당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제법 있으니까 헝그리보더라는 커뮤니티에서 이렇게 논의가 되고 있는 거라고 생각되네요.
인권위로부터 공정위로부터 이제 그렇게 하도록 해야죠.
공정위? 문제가 지금 이렇게 있는데 관심도 없죠. 직무유기하고 있습니다.
말하고 연락하고 행동해야죠. 여기서 이런 문제가 있다.
필요한건 제대로된 공론화입니다.
아래 댓글에서도 적어뒀습니다만
"마케팅에서 특정 집단에 대해서 혜택을 주는 것은 물론 타당합니다.
허나 그 혜택을 주는 이유가 단순히 "성별"이어야 한다는 것은 차이가 아닌 차별입니다."
말씀하신 '특정소비자' 가 왜 '여성만'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면 그것은 무의미합니다.
플라톤님께서는 단순히 여자고객이 적어서 라는 이유가 명확한 설명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기업은 고객을 더 많이 유치는게 목적이어야 하는데 왜 자기들이 할인까지 감행하면서
유독 여성 고객만을 더 유치해야 하는거죠..?
고객의 성비율이 반드시 50% 여야 할 필요가 있는 걸까요.?
웰리힐리가 마진을 공개하지 않기에 확실히 말씀 드릴 수 없습니다.
허나 확실한 것은 기업은 봉사단체가 아닙니다.
이윤을 추구해야하죠. 적자를 감행하면서 그런 이벤트를 벌일 필요가 없습니다.
시즌권을 제외한 모든 부대시설의 이용료에 차이가 없다면
여성시즌권의 할인을 메울만한 마진은 남자시즌권 가격에 들어있어야 하는거죠.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황상 지금까지 언급되었던 여성을 미끼로 남성을 꾀어내는 마케팅 의도가 두드러질 뿐입니다.
그리고 이 마케팅 행동이 부당한 성차별적 행동이죠.
"여자 손님이 적으면 그럴 수 있지 않을까요? "
아뇨 손님이 적다고 기업에서 손해를 감안하면서 그런 행동은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이미 리조트 운영을 할 수 없어야 하는 상황이어야 맞죠.
네 말씀하신 것처럼 여자손님이 반이건 아니건 그건 핵심이 아닙니다.
기업에서 핵심이어야 할 것은 총 매출이죠.
제가 "웰리힐리가 마진을 공개하지 않기에 확실히 말씀 드릴 수 없습니다." 라고 말한 것처럼
플라톤 님께서 웰리힐리의 재정구조를 파악하고 계시지 않다면 결코 "적자가 아닙니다." 라고 단언 하실 수 없습니다.
손익분기금액이 얼마일지 관계자가 아닌 이상 알 수 없다는 겁니다. 유추만 할 뿐이죠.
하지만 기업 특성상 그걸 최소화 해야한다는 건 알 수 있습니다.
말씀하시고 계신 초대권 마케팅은 대부분 1회용입니다.
그 초대권의 효과는 흑자일수도 아니면 노마진일수도 혹은 적자 일 수 있습니다.
기업이 원가와 마진 측정에 따라 초대권의 할인에 따라서 달라지는거죠
하지만 대부분 노마진이거나 적자입니다.
초대권이라는 것은 '경험'하는 것을 의도해서 '재방문'으로 인한 매출유도가 가장 큰 존재 이유입니다.
시즌권 처럼 한 시즌을 통채로 이용하는 것과는 애초에 그 의도 자체가 다릅니다.
리조트의 1년 매출을 총담당 하는 시즌패스권과는 비교될 수 없는 예시입니다.
불매운동은 개인이건 집단이건 이미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매운동을 하면서도 잘못된 것에 대해서 누구나 논의할 권리는 있습니다.
그리고 도덕적문제가 아니라고 하셨는데 남여에 상관없이 성차별은 기업윤리를 무시한 도덕적 문제 맞습니다.
마케팅에서 특정 집단에 대해서 혜택을 주는 것은 물론 타당합니다.
허나 그 혜택을 주는 이유가 단순히 "성별"이어야 한다는 것은 차이가 아닌 차별입니다.
"스키장도 게스트하우스 조차도 보딩이나 여행보다 목적이 '여자'에 있는
남자의 탓일 수 있지 않을까 해요. 굳이 따져야 한다면요.
진짜 제 생각은 조금 더 넓게 보면요,..... 그런 현상이 너무도 자연스러운 것일 수 있겠다 싶습니다.
암탉이라 쫓길 뿐, 수탉이라 쫓을 뿐....."
상당히 위험한 발언을 굉장히 쉽게 하시는군요.
플라톤님께서는 그럼 여자를 미끼로 당연히 생각하는 마케팅에 대해서 자연스러운 일이니 묵인할 만 하다라는 말씀이신가요?
인간이 짐승이랑 다른 이유는 통제와 질서를 확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성욕도 본능이고 식욕도 본능이고 탐욕도 본능입니다.
하지만 인간이 이를 스스로 억제하는 이유는 질서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자라는 이유로 시즌권 가격 할인 좀 받는 것을 가지고 그 스키장 시즌권을 사면
마치 골빈 양심 불량 파렴치하게 보는 시각이 사이코입니다. "
초반에 이 게시판에 몇번에 걸쳐서 글이 올라왔기 때문에 대부분 인지하고 계실거라 생각합니다만
이 사태는 대립은 철저히 고객과 기업이며 남과 여가 아닙니다.
적어도 이 게시글에 무작정 차등가 두는 시즌권을 구매한 여성에 대해서 비하하는 말은 없었습니다.
아래 공식 답변을 보시고 "아래 게시물에도 위법한 사실이 없다하니 별 다른 도리가 없지만.." 라는 생각을 하시는 듯 합니다만
내용에도 나와 있지만 이건 인권위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기각처리 된 것입니다.
실효적인 재판은 진행되지도 않았다는 것이죠.
사법.재판권이 없는 인권위에서 이를 위법이다 아니다를 규정할 수는 없습니다.
P.S : 와; 이건 미처 못 본건데 진짜 웰팍 공식 계정으로 댓글에 저런 대응을 했었군요.
순간 조작된 그림인줄 알고 눈을 의심했습니다.;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