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음.. 전 이렇게 생각합니다..
다소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해외직구를 하게된 이유는
하나죠
싸게 구입한다.
A/S가 국외가 더 좋다는 생각을 하시는분은 없을걸로 보입니다만..
그리고 해외직구를 하면서 포기하는 부분은 A/S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업체가 일정 마진률을 보고 해외에서 수입하여 판매한다는건
나름대로 수리에 대한 부속품 비용과 인건비를 포함했을꺼라 생각합니다.
수입상에서 해외구매품에 대해 A/S를 거부하는것을 따지기전에
먼저 제조사의 A/S정책을 살펴봐야 한다고 봅니다..
이런 정책이 제조사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월드 워런티 적용으로 수입상을 통한 제품이던 해외구매를한 제품이던
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정식수입상이 아닌 제조사 및 제조국에서 직수입하여 구입한 품목에 대한
A/S를 수입상에 요청할경우 무상이 아닌 인건비 및 수리부품 명목으로
요금이 발생한다고 할겁니다..
제가 알기론 캐논 카메라가 그런걸로 알아요.
이번 플럭스처럼 무조건 A/S가 안된다..
이건 플럭스 제조사에 문의해서 이런 서비스 정책이 맞는거냐고 되묻는게 우선일거 같네요..
만약 제조사에서 그런 정책이 있다면 소비자에 대한 서비스가 조금 문제가 있는거 같네요.
근데 수입상에서도 처리가 가능하지만 무상이 아닌 금액이 발생한다는게 있다면
국내 수입상이 문제가 있는거죠..
수입상 업체 입장도 이해가 갑니다.
물건하나 팔고 남는 마진에 수리에 대한 인건비
그리고 수리해야 하는 부속품의 파츠 재고확보에
대한 시스템이 있을겁니다.
모든 업계가 그런건 아니지만.. 제가 하는 일 특성상
수리부속품목에 대해서 기준을 잡고 보자면
물건하나를 제작하고 판매하는데 있어서
고장률이라는게 있습니다.
제품 하나를 팔았을때 1년을 기준으로 고장이날 확률
토우 스트랩은 얼마만에
하이백은 얼마만에
체결류는 얼마만에
고장이난다.
그리고 몇년간 해당 시리즈를 내놨을때 평균적으로 이 부품이 고장이 많이 났다.
그러니 다음해에는 이 부품에 대해 예비 파츠 재고를 조금더 확보해둔다.
라는게 있습니다.
근데 그건 국내에서 판매한 제품을 통계로 내는데
그해 갑자기 해외구입품목이 많아져서 수리량이 늘어나고
부속품이 부족해서 기존 국내 구입한 분들의 수리를 못해서
A/S기간이 2주이상 걸린다..
그렇게되면 비싸걸 알면서도 A/S때문에 국내에서 제돈내고 산사람들은 뭐가 되겠습니까..
그래서.. 제 의견은..
제조사 서비스 정책에 해외구매한 품목도 수입상에서 A/S를 해줘라
라는 정책이 있으면 해주되 대신 일정금액 A/S 비용이 발생하는 것에 대해서는
직구입 하신분들이 항의할 이유가 없다는겁니다..
그걸무시하고 수입상이 이득을 취하지 못하게 해외 구입한 품목을 무조건적으로 거부한다는건
수입상이 잘못된거구요..
저도 카메라 렌즈살때 몇푼 아끼자고 A/S 포기를 못하겠더군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경우가 있어서
고장날 확률이 높은 제품은 국내구매를 선호합니다..
보드부츠는 그냥 해외구매합니다..
이볼브 스케이트보드도 호주가 엄청싸지만 고가의 전자제품을 생각하니
소모성 부속품이 아닌 구동부형 제품이 고장날경우를 생각해서
40만원을 더주고 국내 구입을 한 사람입니다..
일단 플럭스는.. 제조사 정책이 어떤지 확인부터 해봐야하지 않을까요?
이건 제조사와 브로즈와 어떤 계약을 했는지가 가장 중요한거죠...알 방법은 없지만서도
지금 문제가 나오는게 몇몇샵들이 손잡고 플럭스 제품을 따로 예약받고 컨테이너로 들여와서 파는 바람에
이런 일이 생기는거 같은데...
플럭스가 밀어내기 원하는 물량을 브로즈가 안받겠다 해서 그런 경우일 수 있고, 플럭스에서 일방적으로 저렇게
공식 공급사 무시한채 물건을 준 것일수도 있죠...후자인경우 공식수입사 입장에선 어이없을 수 밖에 없고...
AS에서 차등을 두어서라도 사람들이 병행이나 직구 제품으로 안가게 하려는거 같은데...
이탈하는 소비자와 선을 확 그어버리겠다는 생각은...좀 답답하네요...끌어안고 보듬어도 모자랄판에...
가스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그동안 국내 정품들만 사용했기에....그리고 살로몬 바인딩과 부츠만 사용했기에.....
A/S 라는 부분에 대해선...무관심했던거 같네요...
사실..이번에 플럭스 디엠 예판하였는데.....물론 국내정품입니다만...
제 생각도 그렇습니다.....
당연히 돈 더 주고 구입한 국내정품(?) ...... 거기는 A/S비용이 포함되있으니...당연한거지만...
해외직구한 제품까지 A/S해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국내 수입상에서요....
하지만....부품판매 까지 막는건 아니라고 봅니다....그냥 달라고 하는것도 아니고...
돈주고...부품 사겟다는데....그것까지 막는건...흠.....너무한 처사는 아닐런지요...
물론 그러면....물건 직구하고...부품만 사는 사람이 늘겠지만....그래도 일부 아닐까요???
다 직구하진 않을거니까요....아무래도 플럭스 본사에....항의(?) 해야할 문젠거같네요...
플럭스 국내지사에 [재고]로 있는 부품을 판매해달라! 라는건 소비자들의 욕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지사에 있는 부품들은 국내 정발된 제품에 들어갈 AS용 이지 정발되지 아니한 제품에 대한것까지 정발용 부품재고에 손을 대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하네요.
단적인예로....
월드워런티인 전자제품들의 경우 한국에서 들고 나가서 해외에서 망가져도 해당재고로 처리하는경우도 있고, 한국에 신청하여 배송하여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이 경우에는 구매대행을 맞긴게 되겟죠)
큰회사들이야 어느정도 AS에 대한 기사 개인의 자기결정권으로 행사할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알고있지만.
글쎄요...플럭스가 어떨지는....
위에 제글에도 썻는데요.....국내에서 제값주고 산사람이 혜택을 받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표현의 문제겠지만......부품판매에도...들여오는 관세나...기타비용 더받고 팔아줬으면 하는바램인거죠...ㅋ
국내정품 사신분들에게는....거기에 맞는비용을.....
직구한 사람에게도 거기에 맞는 비용을....
이렇게....해서...가격의 차등을 두더라도...판매는 해 줬으면하는 바램에서 적어본 글입니다...
오해 없으시길~~~~참고로 전 국내 정품만 썻었는데......얼마전의 다 아시는 그 사건으로 인해...
직구도 생각하고 있어서....바램을 좀 적어본겁니다....
사실 조금의 욕심이 있어서 쓴글입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