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는 실력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입니다. ^^

자세가 안좋거나

라이딩이 불완전 하다면

데크를 한번 의심해 보세요~ ^^

자신에게 안맞는 데크로 죽어라~ 프레스 해봤자

헛수고 하는 점이라는 거..

그리고 카빙을 하건 트릭을 하건 그것에 맞는 장비를 선택 하라는 점..

트릭용으로 죽어라~ 카빙 연습해봐야..소용없다는 것이죠..

한마디로 카빙을 먼저 마스터 해라~ 그러면 트릭을 잘한다. 는 쫌 안맞는다는..것..

예로써 맞을런지는 모르겠지만..인라인에서 레이싱과 어그레시브를 보면..

레이싱과 어그레시브의 주행법이 틀리 듯이요~.^^;

트릭은 기초 베이직 턴을 정확하게 마스터 하는게 더 이득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기초베이직 턴과 함께 스위치 라이딩도 익히면 좋겠죠~.^^..

어느분 보면 트릭 하고 싶은데 카빙도 안되면서 뭔 트릭이냐~..라는 분이 계셔서요..^^

스놉 데크도 그 특성이 있다는 점..^^

특성에 맞는 욕심을 부렸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엮인글 :

아기늑대

2006.08.14 01:27:58
*.80.19.175

음... 라이딩 못해도 트릭 정말 잘하시는 분도 많이 보았고요..
트릭 정말 하나도 못하지만..라이팅 정말 잘하시는 분도 많이 보았습니다...

라이딩과 트릭은 약간 틀린장르라는 점은 저도 인정하는데.....
장비로 인해서 분명 차이는 있겠지만 큰 차이는 없을듯 한데요...

트릭 잘하시는분에게 라이딩용 장비주고 하라고 하셔도 잘하십니다..
라이딩 잘하시는분에게 트릭장비주고 라이딩 하라고 해도 잘하십니다..^^;;

뭐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장비보다는 실력이 우선일듯...

론리보더 ~ ♪

2006.08.14 01:43:42
*.243.195.38

트릭하는데 카빙은 필요없지만 기본라이딩? 과 스위치는 필요하다고 말씀하시는 거죠?

그렇다면 기본 라이딩은 어디까지를 말씀 하시는 건가요?
그냥 베이직턴? 그럼 베이직 턴으로 다시 스위치?
우선 기본 라이딩의 범위를 확실히 해주시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 듯 합니다.

그리고..
데크의 특성이 중요하하다는 말씀엔 동의 하지만
가불가(可不可)가 나뉘는 경우는 그다지 없다고 생각 합니다.
좀더 편하고 불편한 경우는 있겠지만요~

whiteboarder

2006.08.14 01:55:41
*.233.113.136

제 생각에도 모 라이딩용 데크니 ..트릭용 데크니..하는것은..라이딩이나 트릭을 좀 더 쉽게 잘 할 수 있도록.. 더 극대화 할수 있도록 도와준다는거지..
트릭용데크는 오직트릭..라이딩데크는 오직 라이딩만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정말 내공있으신분들은 라이딩용 하드데크로 트릭 다 하구요..트릭용 말랑이 데크로 카빙 다 합니다..
하지만 카빙을 마스터해야 트릭을 할 수 있는거고.. 모 트릭은 잘하는 데 카빙을 못한다고..무시 당하는건 그 자체가 웃기는거죠...그건 2%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보드는 어디까지 즐기려고 타는겁니다..라이딩이 재미있으면 라이딩즐기면서 카빙에 도달하면 되고...트릭이 재미있는 사람은 어디까지나 트릭을 즐기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가끔보면 스노보드 박사라도 되시는것마냥....카빙이 어쩌고..트릭이 어쩌고..보드를 무슨 논문쓰듯이 순차 매겨가면서 말씀하시는분들 보면.. 안타까움..정말 좋아서 말그대로 재미있으려고 타는..레포츠인것을..

라스

2006.08.14 05:45:19
*.151.236.124

즐기면 되요~그냥~

epro(2%)

2006.08.14 08:04:49
*.222.52.182

^^;;..
제생각에는 쪼끔 틀립니다~
말랑한 데크로 프레스 줘봤자 한계가 있다고 생각되는데요~.^^;;;..
어느정도 속도와 프레스를 주게 되면 말랑한 데크는 튕겨 나가더라구요...

상계동 랩퍼

2006.08.14 09:28:38
*.152.79.141

epro 님 말씀처럼..성능의 한계 있습니다..제가 언제 제 산타데크(카빙 하프용) 으로 롤링을 하는데 죽어도 두바퀴이상 안 돌아가더라구요..

결국 포기 했습니다..얼마 후 친구 놈이 카빙을 해보고 싶다며 제 데크를 뺏어 가더라구요..ㅜㅜ 결국 친구 데크를 착용하는순간 데크가 말랑(?) 거리

는 거였습니다..한쪽으로 무게 중심 (프레스)을 가하니 너무 쉽게 들리는겁니다..설마 하고 롤링 해보니까..역시 예상대로 입니다..그냥 막돌아 갑니다..

헝글 동영상 보며 거의 한달 동안(일주일에 3번 4타임씩) 을 해도 안되던...그게 그게 되는겁니다.. 알고보니 제 데크가 넘 하드해서 한쪽으로 안들렸던

거네요...결국 올해 05-06 숀 질렀습니다..ㅜㅜ 이건뭐 손으로 눌러도 팍팍 들어 가더군요.. 확실히 데크의 차이는 있습니다..

radic

2006.08.14 10:07:26
*.241.100.114

흔히들 말하는 카빙도 안 되면서 무슨 트릭이냐
하는 말은 정말 말그대로 카빙이 되야 트릭이 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카빙을 할 정도로 보드에 익숙해져 있고 그만큼 컨트롤을 할 레벨 정도가 되야 트릭도 더 편한고 안전하게 할 수 있다는 이야기지요..

그리고 저도 데크에 트릭용, 라이딩용 절대적 차이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쉽게 말해 어떤 데크를 타도 될건 다 됩니다. (직접 경험에서 나오는 얘기입니다)
다만, 조금 더 하기 편한정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위에님처럼 롤링 계열같은 경우는 직접적으로 보드의 물리적인 플렉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니까 차이 크게 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다른 트릭 계열에서는 큰 차이가 오지는 않습니다.

결론은 어떤 용도의 보드를 타도 될 건 다 된다는 거.
예민하게 돈 써가면서 데크 바꿔도 실력이 안 되면 결국엔 안 된다는거.

radic

2006.08.14 10:10:00
*.241.100.114

아..무슨 보드나 거기서 거기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보드는 보드회사마다 모델마다 각각의 특성이 있고
좋은 보드와 별로인 보드의 차이는 엄청나죠.
보드 각각의 특성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보드가 기술을 만들어주지는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forecast

2006.08.14 12:04:55
*.1.50.168

흔히들 era가 하드해서 라이딩용이라하시는데..
라이딩도 잘 못하고 트릭은 할생각도 안하지만
롤링 충분히 되던데요;;;
하드한데크라고 안되는건 없는거같은데요..;;

ㅎㅎㅎ

2006.08.14 13:11:01
*.190.190.14

이런 생각하는 분들덕에 샵이 먹고 살죠... ^^;

topspip

2006.08.14 14:45:10
*.77.144.45

트릭과 라이딩은 교집합입니다. 물런 집중적으로 연습하는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항상 기본은 가지고 있어야지요

똘이

2006.08.14 14:48:26
*.101.179.9

좋은데 머 굳이 따지면서 탈필요 있나요 ?

스톰Ψ[수경]

2006.08.14 15:34:18
*.12.67.31

이쁜거 타면 될듯..ㅋㅋ

찐태^^

2006.08.14 16:03:01
*.51.80.120

트릭과 라이딩은 교집합입니다<<전 이말이 정답인거 같은데요

11

2006.08.14 16:22:42
*.73.152.76

틀린글을 쓰신것 같네요..장비바꾼다고 되는게 아니죠..하는사람에겐 아무데크나 갔다줘도 다 돌립니다..
말랑말랑 데크 갔다줘도 카빙 잘합니다..장비탓하지맙시다...

이누미

2006.08.14 16:56:54
*.120.205.126

190키로 140정도되는 중학생용 데크로 카빙을 하는걸 본 저로썬 장비탓은.. --;

립텍매니아☆나래씨

2006.08.14 17:43:46
*.101.54.98

장비를 바꿨을때 더 잘되는건 심리적인 요소가 크죠..
물론 카빙전문적인..또한 트릭전문적인 데크가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실력으로 얼마든지 카바할수있다고 믿고있습니다..^^*

저의 예를 들면...전에 그라운드트릭에 어느정도실력에서 벽을만나 실력향상이
안되던때가 있었습니다... 그때 데크를 도미넌트로 바로 바꿨죠...잘되더군요..
몇일후 원래쓰던 데크로 바꿔타보니 그거또한 더 잘되더군요...
바로 심리적인 문제라는거죠...장비를 바꿧으니 잘될꺼야...이런 생각에서 그 가로막힌 벽을
깬거죠...
어렵게 말했나..ㅡ.ㅡ;;

.

2006.08.14 19:12:24
*.102.152.3

하이힐 신고 달리기 할수 있습니다.. 오래 못뛰어서 그렇치..
7시간 풀로 탈거 어렵게 타면 4시간 타고 뻗는다는 이야기 입니다..

물론

2006.08.14 21:11:02
*.98.113.58

140짜리로도 카빙할수 있습니다.

근데 경사가 높아지고 슬롭상태가 나빠지고 더 눕고싶고... 이런조건에서는 택도 없습니다.

Lucky.B

2006.08.14 21:44:34
*.100.178.145

박봉이 죄군;;

[오우][우진]

2006.08.14 23:51:21
*.98.56.80

장비냐 실력이냐... 영원히 끝날수없는 토론.

어떤보더

2006.08.15 00:56:11
*.250.8.71

음..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데크 특성에 따라 어느 부분이 좀 더 용이하다...라는 차이가 있을듯 합니다...
아주 말랑거리는 지빙 전용 데크로도 카빙을 즐길 수 있습니다..
물론 같은 실력에서는 차이가 나지만... 그만큼 그 안되는 부분은 인간의 능력으로 얼마든지 카바할 수 있으니까요..
거기다가 오히려 이 데크는 타기만 하면 바로 카빙이 돼~....라는 데크가 진짜로 있다면..정말 보드가 재미가 없어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보드는 언제까지나 자신의 실력을 즐기는 스포츠라고 생각합니다.. 그 실력을 발전시키는 즐거움이나 현재의 실력을 만끽하는 즐거움을 다 포함해서요..

또한 보드를 탈때 실력과 카빙, 파이프, 지빙 등은 별개라고 봅니다.
실력을 측정함에서 볼때는 각각의 부문 별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각각의 부문에 관해서는 어떤 기술이 다른 부문의 특정 기술보다 낫다..라는 평가는 좀 많이 애매하기 때문이죠.
물론 많이들 예를 드는 트릭과 카빙의 관계에서 보면...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트릭과 카빙의 연관성을 별로 없습니다. 또한 어떤 것을 위해서 먼저 선행해야된다는 말 또한 일부 사람들의 의견일 뿐이지 정설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사람들의 말을 따를 필요는 없죠.
다만 그 둘의 중요한 공통점은 존재하기 때문에 같이 연습하면 양쪽의 상호보완작용이 올 수 있다고 봅니다.
제가 생각하는 그 공통점이란 보드에 관한 컨트롤입니다. 좀더 제 뜻을 정확히 전달해드린다면... 보드에 대한 익숙함이랄까...

모르겠습니다....저도 나름대로 6시즌 정도를 거의 상주하면서 탔고, 나름 파이프를 즐기는 나름대로의 수준은 갖춘 사람이라 생각하고 감히 이런 의견을 내놓습니다만...
혹이라도 틀린점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면 저에게 충고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날아라가스~!!

2006.08.15 05:12:37
*.71.223.140

트릭 하나도 못하는 보더입니다...;;; 원체 라이딩만을 즐기나...가끔가다가 아는 사람들의 덱을 빌려다가 타보면..(커스텀, 숀화이또, 인피니티 피어리 등등...)그닥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덱별로 탄성이나 리바운딩이나 하드함에 따르는 문제라든가 여러가지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제 실력이 훨 나아지고~팔팔 날아다니는 경우는 겪어 보질 아직은 못하였습니다. 장비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에 따르는 익숙함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갖고 있는 2장의 덱도 전혀 다른 성능과 용도를 가지고 있지만, 큰 불편함 없이 두 덱 모두 라이딩에만 써주고 있습니다. 하나가 버튼의 로스 파워스, 다른놈은 립텍의 Tear YEa~!입니다. 차이점이라곤 와이드덱과 하드한 놈이구나..하는 생각일뿐..입니다.
올해로 7년차찍었습니다.

슈파슈파

2006.08.15 10:07:09
*.111.168.39

호나우지뉴가 런닝화 신었다고 축구못할까요.. 데크는 신발과 같다 생각합니다.. *_* 축구할땐 축구화 달리기할땐 런닝화 신으면 더 좋듯이.. 트릭용 카빙용 데크 각 용도에 맞춰 타면 더 좋겠지만.. 장비에 따라 되던게 안되고 안되는게 되는건 아니란 생각.. 자기 실력이 문제..

srv

2006.08.15 10:46:41
*.36.80.218

알리 한번을 해도 데크에 따라 생각 보다 높이가 훨 나와서 깜짝 놀란적도 있긴 하지만요
그 데크 초보 갖다주면 알리 할 수 있는건 아니죠
트릭하는 사람들보고 카빙도 못하면서....라고 하는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대강 턴 좀 하는 수준이라도 이것저것 연습할 수 있고 모 그런거죠
근데 기본에 충실하게 되면 트릭도 금방 배울 수 있다고 봅니다.

휘트니스보더

2006.08.15 13:09:29
*.198.120.184

흠..상관은있져 자기가 길들여진걸로 540돌리면 느낌좋고 남에꺼로하면 느낌 별로고 ㅎㅎㅎㅎ이런 점??

이런생각

2006.08.15 13:37:27
*.190.209.136

초보지만 트릭은 데크하고는 별상관없다고보고요 라이딩은 상관이 있다고보는데 이유는 보드가 무게중심이동운동이기 때문인거같구요
트릭은 거의 대부분 사람의 회전운동이라서 하드하면 좀더 세게 소프트하면 좀 약하게 힘조절로서 카바가 가능하다고 생각되구요
라이딩같은경우는 상관있다고보는게 사이드컷이 많이 작용하는거같던데 무게랑 사이드컷차이가 안정감하고 유효회전반경을 좁게또는 넓게해주므로서
턴의 맛이랄까 좀 다른거같더군요 ..뭐 1년차라 틀릴수도있습니다 ㅋㅋ

아싸가어리~

2006.08.15 13:41:39
*.143.43.225

어짜피 우리가 선호하는 상급 데크들의 하드함은 다 비슷합니다...
물론 좀더 소프트하고.. 하드한것들도 있겠지만...
데크 이것저것 바꿔타바도... 실력을 특별하게 업~ 해준다는 느낌은 전혀 못받았습니다...
아.. 물론 제가 허접이라서 그럴수도 있겠지만요...
제 생각은 상급 데크들은 다 비슷하다 입니다...

ㅁㄴㅇㄹ

2006.08.15 22:43:08
*.106.72.4

이런 것도 칼럼이라고 올린게 부끄러워 죽겠다....데크를 의심하는게 아니라, 자신의 실력을 의심해야지...
요즘 데크는 대부분 올라운드 데크라 대놓고 라이딩용으로 만들어진 딱딱한 데크가 아니라면 솔직히 말해서, 사람들이 느끼기 힘든것이 정설...
프레스를 줘도 잘 안 휘어진다는건 자기가 프레스를 주는 법을 모르거나, 프레스를 줘도 그 상태를 유지할만한 균형감각을 지니지 못한 것일뿐...
그리고 솔직히 말해서, 데크 하나하나의 특성을 제대로 알 수 있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요?? 그 말하는 최상급데크의 느낌과 흔히 싸다고 하는
렌탈용의 데크의 느낌과 말이죠......데크의 특성탓이니 최상급데크는 틀리니 어쩌니 저쩌니 하는 우스운 헛소리는 관두고, 그 시간에
이미지 트레이닝이나 하시죠 다들....볼때마다 한심스러워 죽겠군요...

ㅁㄴㅇㄹ

2006.08.15 22:46:10
*.106.72.4

글쓴이가 얼마나 스노우보드를 탔는지는 모르겠지만, 말하는거는 프로보다 더 건방지군요.....동영상 좀 올려보시죠...

어떤보더

2006.08.16 01:30:44
*.250.8.71

윗님....너무 흥분하셨네..ㅋㅋㅋㅋㅋ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보드의 특성을 따지는 것...에 찬성하는 쪽으로 기웁니다......
물론.... 확실히 구분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말하는 것이죠.....
여기 계시는 분들이 너무나 다양한 분들이 있기 때문에... 혹시라도 그에 해당하시는 분이 있을거라 믿습니다만...
쉽게 말하자면...좀 이상적으로 나갔다고 할까요...
뭐........솔직히 말하자면...특성을 논하는 것이 데크 회사들의 상술에 넘어가는 것일 수도 있죠..
다만...너무나도 다양한 제품군에 그에 비하면 너무나도 빈약한 정보 때문에...
사람들이 데크를 고르기 힘들어하죠... 그때문에 자질구레한 특성이라도 따져볼라는 것 아닐까요..??
뭔가에 기대심리요..
너무 화내지 마세요...
그리고 사람에 따라...차이를 많고 적고에 차이가 있을뿐..극단적인 차이의 두 데크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ㅁㄴㅇㄹ

2006.08.16 01:58:00
*.106.72.4

뭔가 하나의 기능이 더 있으면 더 좋은가보다 하고 사는 바보같은 인간들의 표상을 보고 있으니, 어이가 없어서 그랬습니다..
개그죠 개그....데크 안 좋은건 따지면서, 자기 실력 바닥에서 빌빌 기고 있는건 인정하기 싫어하는 사람들....
칼럼 좋아하십니다....누구한테 무슨 목적으로 웃겨보실려고 그러는 건지....
보드는 주둥이로 떠드는게 아니라, 몸으로 타는 겁니다......

으깽호박

2006.08.16 11:01:25
*.6.114.11

-_-;; 공감안됨......... 저기 위에~~ 교집합 공감..ㅎㅎ

head의 인텔리젼스인가?ㅡㅡ;; 그거 하드함이 극악이더만요.. ana에 있던디.. 요세 본 데크중 가장 철판인듯.. 롤링하면 골반 빠질듯.ㅋㅋㅋㅋㅋ

werr

2006.08.16 16:08:13
*.219.75.73

ㅁㄴㅇㄹ 님말에 완전 공감은 하나.....
장비에 스펙은 +1을 더해주는것은 사실입니다..당연히 비싼게 좋져..근데...그걸 다끌어 낼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지....t0같은 특수한 덱 이외..ㅠㅠ 그리고 프래스 글쓰신분 프레스얼마나 주시고..또 무슨 기술을 얼마나 프래스 줘서 하는지 모르지만...장비 탓으로 모든걸 돌리기에는...말도않됩니다...이런건 저도 칼럼이라고하기에는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

열혈단무지

2006.08.16 18:53:42
*.237.122.117

라이딩과 트릭의 교집합은 공감합니다.
다만 '카빙도 못하면서 무슨 트릭이냐' 이부분은 radic님 말씀에 공감이 됩니다.
어느정도 주행이 되어야 트릭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자리에서 하는 트릭도 트릭이라고 해야 하나여? 트릭을 못하는 저지만 제자리에서는 360도 됩니다 ㅡㅡ;;
하여간 개인 적인 생각이구요 다른 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여??
그리고 공격적인 글을 올리실때는 본인 아이디로 로긴 합시다~

니르

2006.08.16 19:21:00
*.60.97.29

3시즌 조금더 탔지만 아직 데크... 잘 모르겠더군요.
뭐 열심히 안타서 그런것도 있겠지만...
헝글보면 코어가 뭐니 셋백얼마니 뭐 그런 수치가 중요할수도 있겠지만
너무 많이 따지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그런분들 정말이지... 그런거 다 느끼고 타시는지 궁금합니다.
전 아무리 생각해도 더 좋은장비는 실력향상에 조금더 도움을 줄뿐 그이상도 아닌데 말이죠.

11

2006.08.16 21:39:49
*.98.56.239

박봉이 죄가 맞습니다 정말 죽을죄이죠 ㅋㅋㅋ

짝퉁꼴통

2006.08.17 02:01:22
*.207.35.13

프리스타일~^^;;;

epro(2%)

2006.08.17 23:01:44
*.209.83.153

댓글을 이제야 봤네요~.^^
제말의 뜻은 비싼장비 사란 뜻이 아닌데..
그렇게 비췄나요?..^^;;
저는 단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으냐에 따라 장비를 구분 지으란 소리였는데요?..^^
저도 18만원 주고 산 지니어스 렌탈 타고 있지만..좋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중요한 것은 짧은 덱으로 카빙이 제대로 되는가? 라는 것과
딱딱한 덱으로 롤링 해봤자 골반만 아프다는거~.^^;;
한예로 0203 모델 HEAD IGNITION 모델로 롤링 해보세요~.^^;;..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제 글의 요지는 비싼 것이 좋다가 아니라..

자신이 하고자 하는 것과 자신의 스펙에 맞게 선택하자는 겁니다~.^^;;

그녀석™

2006.08.18 00:39:21
*.235.83.69

분명 실력의차이지 장비의 차이는 아니지만요..

같은실력에서는 장비에따라 차이가 나죠~ 분명 나죠.

위에 호나우지뉴 예를 드신분도 계시고 많은 분들이 장비가 아니라 실력이다라고 많은 의견을 내시네요.

저또한 실력이 된다라면 분명 장비를 가리지 않고 잘탈겁니다.

허나 중요한것은 장비에따라 실력을 최대로 이끌어낼수 있는 정도가 틀릴뿐이죠.

슈마허가 마티즈를 타고 서킷에서 투스카니를 탄 우리나라 레이서를 이길수 없는(분명이길수도 있겠지만

순정상태에서는 거의 불가능이랑 여겨집니다. 우리나라 레이서를 무시하는건 아닙니다.많은분들이 말씀하시

는 실력차는 분명있기때문)것과 같은거라 볼수도 있겠네요. 같은 나무 판데기로 보이지만 사이드컷과 데크

의 탄성,강성 베이스 재질과 제작기술에 따라 분명 라이딩 속도와 프레스,턴의 차이가 나는것이지요.

꼭 비싼 장비만이 좋다라는 말은 아니지만,성능을 좋게하기 위해선 분명 연구,개발,제작비 가 들어가

기 때문에 비싸질수 밖에 없는것이고... 실력을 뒷바침 해줄수 있는것은 장비라는것입니다.

분명 실력이 되는데 장비가 안되서 안되는 분들도 분명있다는것이고, 쉽게 느낌을 잡고 연습할수 있는장비

가 있는데도 어려운 장비로 연습하는 분들도 있다는것이지요. 물론 실력자체가 안되는데 장비를 바꾼다고해

서 갑자기 안되던게 되는것은 아니고요. 장비가 하드해서 롤링을 못한다~ 라고 하면 허벅지 힘을키워라

장비탓이냐~? 니 탓이지? 라고들 하신다면... 분명 허벅지힘을 키우면 될수 있겠지만. 선천적으로 허벅지

가 약한분도 있을것이고, 여러 복합적인 이유도 있을것입니다. 가령 나는 30인치 바지를 입어야 맞는데

32짜리를 사서 크다고 하는데. 살을찌우면 되지않느냐고 답변해주는거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살을 찌우면 되기도 하지만 바지를 30짜리로 교환해서 입으면 될것을 미련하게 32까지 찌울필요가 없다는

것과 같다고 하면 될까요? 비유가 이상한가? 요지는 실력이 무척 중요하지만 실력을 뒷바침해주는 장

비도 중요하다는 겁니다. 자신의 실력에서 할수있는 라이딩과 트릭을 최대로 끌어내줄수 있는 장비가 분

명 있다는 것이지요.

..

2006.08.18 01:21:49
*.224.244.86

아직도 장비에 대한 망상을 떨쳐내지 못한 많은 헝글분들에게 한마디합니다.

윗분과 마찬가지로 간혹 자동차 레이싱을 비교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비교하시는 것은 좋지만 좀더 올바른 예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데크에서 하급과 최상급의 차이는

슈마허가 탄 마티즈와 국내 레이서가 탄 티뷰론이 아니라

아반테 기본형과 아반테 최고급형의 차이정도 밖에 안됩니다.

처음글에서는 가격이 아니라 스타일에 따른 데크선택을 제시했는데

이것 역시 마찬기지로 자동차 기본형과 최고급형의 차이 정도밖에 안됩니다.

장비에대한 환상에서 벗어나시길..

요즘 시계 때문에 명품시장이 시끄러운데

일본 데크로 장난질하는 무리들은 뉴스에 안나오려나~~~~~

그녀석™

2006.08.18 01:31:29
*.235.83.69

..// 실력의 차이도있지만 장비의 차이에서 올수 있는 경우를 극단적인 예로 말한것이지요. 서두에서 분명 같은 실력에서의 장비의 차이가 분명 난다는 것을 말했던것 입니다. 예가 너무 극단적인면이 있네요. 그럼같은 사람이 아반테 기본형 1600cc차를 타고 랩타임을 찍은거와
최고급형 2000cc를 타고 랩타임을 찍은거와 어느 랩타임이 더 빠를까요? 분명 차이가 있다는걸 말씀드린거지요. 기본형과 최고급형은 옵션의 차이일뿐 엔진의 차이를 따지자는것이 아니라는 말씀은 하지마십쇼 분명 같은 사람이 타더라도 속도가 더빠른 데크도 있고 탄력이 더 좋은 데크도 있고 턴이 더 짧고 빠른 데크가 있다는걸 모든분들이 인정하실겁니다. 자동차의 옵션처럼 겉모양의 변화만이 아니라는 거죠
윗님은 장비의 차이를 배제하시나보네요? 그럼 더 극단적으로 나무 합판을 타고도 잘탈수 있다고 말씀하시는거로 보입니다. 자신이 잘타기 때문에 장비를 가리지 않고 잘탈수있다라는 자만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숀화이트도 분명 자신이 좋아하는 데크가 있을겁니다.
왜 그럴 까요? 그장비가 자신에게 맞다고 생각하니깐 즐겨타는 장비가 있는것 아닐까요?그리고 제가 말하는것이 무슨 장비에대한 찬양이고
환상이라는지 모르겠군요. 제가 숀화이트 타면 날아다닐수 있다고 했습니까? 허허 참.

그녀석™

2006.08.18 01:40:32
*.235.83.69

그리고 글을 쓰실때는 저기 ㅁㄴㅇㄹ처럼 익명으로 쓰지말고 로그인하고 쓰시길 내 신분이 밝혀지는 것이 꺼려지는 글은 아예쓰시지도 않는게 낫다고 생각하는데요.

epro(2%)

2006.08.18 07:39:54
*.222.52.182

.. 님 제 생각에 장비에 대한 망상이란..

무조건 최상급의 장비가 좋다라고 생각하는게 망상일꺼 같구요~..^^

저는 자신에게 맞는 장비를 선택하라는 거에요~.^^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전 최상급 장비사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늙을수록보더

2006.08.18 13:30:35
*.10.139.193

절약하고 돈아낄려면 마춰서 쓰면 그만이고
돈많고 여유있으면 좋은거사서 써도 좋을듯
돈많은데 저가형사서쓰면 본인은 궁상떤다고 생각지않을까요~
아~ 로또되서 나도 후자형으로 탈피하고파~~~~~~~~~~

까칠한내인생

2006.08.18 19:53:59
*.189.248.100

사람마다 다르다에 한표. 그래도 약간은 영향을 받지 않나요? 하지만 실력이 더 중요하다는거~~

..

2006.08.18 20:00:41
*.224.244.88

1.6과 2.0을 비교하시네요.

1.6기본형과 1.6 최고급형의 차이입니다.

같은 배기량이더라도 엔진 특성도 약간 다르고 타이어도 다르고 브레이크도 다릅니다.

데크에 카본 2줄 들어간것과 3줄 들어간것이 1.6엔진과 2.0엔진의 차이를 만들어낼 정도가 아니죠.

내가 말한것은 데크들이 전부 똑같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가 분명 존재하지만

일반 보더들이 이러쿵저러쿵 논할 정도의 차이는 없다는 것입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글남기는 사람들에게 로긴 비로긴 따지기전에 헝글사이트에서 인정하는 범위를

알아보세요. 그녀석님께서는 로긴해라 비로긴해라 말할 권리가 없습니다. 정 그러고 싶다면 운영진한테

적극 따지세요. 로긴만 헝글들어오고 글남길수 있게끔 바꾸자고.

dmdl

2006.08.18 22:30:34
*.9.200.233

그래도 비교 대상 할라면 지대루 합시다..엔진이 어떻게..카본 들어간걸루 비교합니까..
1.6 이랑 2.0 비교 할라면 신터드1000인지 7200인지..나노 베이스이지 그렇게 비교해야...
카본은 경량강화차량뼈대라고 생각해야...하여간..진짜 잘 모르면서..
자기생각이 무조건 올다구 각인시키려는건...이런데 왈가불가 하는 사람들에 극단적인 예이라고 생각하네염..ㅠㅠ 그리고 로긴을 하던 비로긴을 하던 뭔상관입니까..어의 없네..나원...그리고..상급데크랑 밑에 급이랑 차이없으면...회사에서왜...등급을 두겠습니까...반드시 차이는 있습니다..그걸 끌어내는건 라이더에 역량이지만...분명 장비스펙에 차이는 존재하고 그것이 보딩에 영향은 미치져...그걸 얼마나 끌어내느냐는 라이더에 역활이구여..스노우보드는 분명 주관적인 것입니다..그리고 스노우보드에 정답은 없내염...만약 정답이 있다면..우리는 가장 잘탄다고 생각하는 숀화이트랑 스탠스던뭔든 다른라이더도 똑같이 해야지 자기만에 스탈일을 살리는 라이더들은 뭐랍니까..스노우보드는 주관적입니다..정답이 없어여..좋은장비가..엿같다고 생각하고 타면 자기한테 엿같은거져..젤루 잘못된것중하나가..여기 리뷰보면..뭐는 어쩌니 저쩌니...ㅠㅠ 그럼 다른 사람들도..그냥 보고..우와 마져..그래 그런거야..하는둥..ㅠㅠ
보드는 버튼이야..뭐 이러면..다른 장비들은 다쓰레기인지...장비들 실력이든 주관적인거니깐..그냥 자신이 열심히 타고.잼나게 즐기고..억울하고 도전하고 싶으면...열심히 타서..다보는 앞에서..뭐하나 보여주면..그딴 말하는 사람들 한방에 보내주니깐..즐기면서 열심히 타여..그냥..
지금 이시간에도..짱께 배달하면서..원정비 모으는 사람도 있으니깐...

그녀석™

2006.08.19 01:37:26
*.235.83.69

쩜쩜님 이상한말씀 하시네요;

제가 현대자동차에서 일하는데요

1.6 기본형하고 최고급형하고 엔진,기어비,브레이크디스크 패드 다 똑같아요.

오히려 오토미션,에어백,네비게이션등등 옵션넣으면 더 무거워져요..

그리고 제가 말하는 요지를 잘 보세요 제가 비싸야만 좋다고 했나요? 스펙 뛰어난 장비를 만들기위해서

단가가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거라고 한것이고, 비싼 장비 탄다고 안되던 원에리가 된다고 했나요? 요지를 좀

보세요 쩜쩜님은 장비간의 차이가 일반일들이 느끼기에 분명 어렵다라고 말씀하시는데, 어떤한 장비들을 타

오셨는지 모르지만 분명 장비 마다 장비의 특성이있고 그 특성들이 플라시보 효과같은 정신적인 착각에서 오

는 효과가 아니라는거예요! 스포츠를 하는 사람들이 장비의 차이를 무시할려고 하니 어이가 없네요.

탁구를 보나 골프를 보나 테니스를 보나 수영을 보나 배드민턴을 보나 육상을 보나 장비의 차이는 무시할수

없다라는거죠. 제가 실력 안좋은데 장비만 좋으면 이기거나 더 잘한다고 했습니까? 같은 실력이라했을때

분명 더 좋은 장비를 가진 사람이 유리하다는 겁니다! 그 차이를 무시할수 없다는 거죠!어느 종목의 스포츠

나 장비는 계속 경량화, 마찰력을 극대화 하거나 극소화 하거나,탄성을 높이거나하는 개발을 계속합니다.

분명 갈수록 장비는 좋아지고, 실력의 한계라고 느끼고 있던 사람들이 그 한계를 장비의 발달로 조금이나마

끌어올릴수 있다는 거죠. 그리고 숀화이트를 거론한것은 숀화이트도 타보고서 라이딩이나 트릭시에 뭔가 맘

에 드는 것이 있으니깐 애용하는 장비가 있다는거죠 다 그것을 따라하라고 하는것은 아니잖습니까?

분명 나에게 라이딩때에 좋은 데크와 트릭때 좋은 데크가 분명있습니다. 나에게 라이딩때 좋은 데크로 트릭

을 할수도 있지만 트릭때 좋았던 그 데크로 하면 더 좋다라는거죠. 주관적인것입니다. 주관적이니깐 자기에

게 분명 맞는 장비가 있겠죠. 그장비를 아직 못찾았던 찾았던 간에.. 스포츠를 하는데 있어 장비의 차이를

무시할수 없다는거죠.

아 리플달때 로그인 하라 마라 라고 한건 제가 잘못한거네요 기분 나쁘셨다면 사과드립니다.

리플을 달때 뒤가 구릴거같아 로그인하지않고 다는 리플은 달지 않는게 더 낫다라고 생각하는겁니다.

오빠쩌러연~

2006.08.19 02:23:09
*.35.67.4

걍 장비에 따라 실력 업글이 확연하단 분들 모아서 블라인드 테스트 실시해서 결과가 틀리면 죽빵 100대씩

ㅇㅋ?ㅋ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29506
1313 장비 관련 시즌이 되면 정말 이월 장비 가격이 오른다??? [25] 아기늑대 2006-08-23 13 6002
1312 장비 튜닝 [아메바 6탄] 낡은 고글 스펀지 & 밴드 교체... [28] 똥싸개아메바 2006-08-20 31 14108
1311 장비 튜닝 허접 드래곤 고글 도색기 [24] Slash_Guns 2006-08-19 18 5553
1310 장비 튜닝 [아메바 5탄] 자켓에 스노우 스커트 달기 [17] 똥싸개아메바 2006-08-19 22 6539
1309 절약법 [아메바 4탄]진정한 헝그리보더, 500원으로 ... [58] 똥싸개아메바 2006-08-18 16 5238
1308 장비 튜닝 허접 캐픽스 문어발 튜닝;; [15] 데크뽀개기 2006-08-18 32 5101
1307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3탄]렌즈 투과율-주간용 렌즈? 야간... [30] 똥싸개아메바 2006-08-18 19 5536
1306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2탄]연식이 다른 피그,,렌즈 교체하... [27] 똥싸개아메바 2006-08-17 50 5978
1305 초보를 위한 강좌 [아메바 1탄]피그 렌즈 구분하기! [39] 똥싸개아메바 2006-08-17 27 3865
1304 장비 튜닝 [간단팁] 스티커 만들 때 각종 폰트를 활용하기 [5] 아인테즈 2006-08-14 18 4934
» 장비 관련 스놉 타면서 느낀 점.(라이딩과 트릭?) [65] epro(2%) 2006-08-14 9 5810
1302 장비 튜닝 데크는 변신중...최종회 [21] candyrain 2006-08-12 15 5753
1301 해외-장비구입 빽뽈? 아마존 아놔 뭘 좀 알고 싶다 덜덜 [17] 스킵 [휘팍... 2006-08-04 34 4743
1300 일반 보드복,티셔츠,마스크에 그림그리기.. [16] 구피스탈 2006-08-04 19 6120
1299 장비 튜닝 데크는 변신중.....2 [17] candyrain 2006-08-03 15 5268
1298 장비 튜닝 피그먼트 밴드 꾸미기 ^^ [10] 핑핑 2006-08-02 21 4705
1297 장비 튜닝 데크는 변신중 [10] candyrain 2006-08-02 22 4447
1296 해외-장비구입 해외구매(미국) [17] 쪼꼬 2006-07-31 27 5823
1295 장비 관련 보드복을 오징어 처럼 보관하자! [24] biggy 2006-07-30 15 6746
1294 장비 관련 [도전] 캠버살리기 100일작전....^^ [35] 엉망보더 2006-07-30 10 5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