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맨손으로 패트롤을 때려잡고 츄러스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올라가는 곤도라 2-1에서 뛰어내린 나 육보드는!!!
스노보드 고수로써 한 말씀드리겠다.

스노보드의 필수 아이템 고글에 가격 및 원가에 대해 가끔 붉어져 나오고 있다.
오늘은 한때 분광학을 전공했던 분광학도로써 '미러렌즈'에 대해 조금은 심도있고 진중하게 다루고자한다.

펀글란에 어제인지 오늘인지 한분이 쓴글의 리플에 다음과 같이
미러코팅에 대해 잘못 알고있는 있는 몇개를 추려봤다.

1. 우리나라는 미러코팅 기술이 떨어진다.
2. 우리나라는 미러코팅을 할때 수은밖에 못한다 백금, 티타늄을 사용해야 한다.
3. 미러 코팅은 도금이다.

일단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사실 무근인 얘기다.

미러 코팅은 도금이 아니라 '증착'이라는 일종의 코팅기술이다.
또한 미러 코팅이라는건 장치산업이다. 그러므로 이는 기계만 사다놓으면 '누구나'
만들수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미러코팅의 기술은 즉 미러코팅용 기계를 만들수 있는 기술로
집약이 된다.
또한 TFT LCD를 만드는 기업이 세계 3위 안에 삼성과 엘지가 있으며
고글의 미러코팅보다 몇배는 고급코팅기술인 PVD, CVD를 만들어 삼성 엘지에 납품하는
LCD장비제조업체 중에서 일류메이커인 주성엔지니어링이 우리나라에 버티고 있으니 이는 사실 무근이다.

그럼 다시 한번 간단히 알아보자.

우리가 사용하는 미러 고글 렌즈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만드는 기술또한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다.

렌즈별로 구분하면

첫째론 단순 금속색을 띄는 메탈류가 있다.
이는 아논렌즈로 말하자면 은빛의 일반 골드렌즈,솔렉스 렌즈, 누런색의 골드크롬 렌즈가 있다.
이 미러의 색상은 단순 금속의 색을 반영한 것이다.

둘째론 멀티칼라. 즉 레드, 블루, 그린 등등의 색상이다.


또한 미러코팅의 기술로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인라인 스퍼터 방식이며 또 하나는 챔버이베퍼레이션 방식이다.

위의 기술을 조금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수사반장님이 애용하는 크리스피 도넛에 비교해보자.

일단 인라인 스퍼터 방식을 설명하겠따.

크리스피 도넛을 만드는 기계를 보신분이라면 아시겠지만
반죽만 걸어놓어서 기계에 투입시키면 사람 손 안거치고 반죽을 구워서 설탕크림을 입혀서
건조시켜서 완제품 도넛이 되어 나온다. 이는 투입시키는데로 연속해서 도넛이
계속적으로 나온다는 장점이 있으며 시간도 짧다.
이 방식이 인라인 스퍼터 방식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렌즈를 거치대에 걸어놓고 증착존(미러코팅존)만 지나가게 되면 지가 알아서 미러코팅이 되어
나온다는 것이다.


그다음 챔버이베퍼레이션은 전형적인 빵굽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빵을 만들기 위해선 반죽을 한뒤 오븐에 넣고 닫은 후 어느정도 기다렸다가
빵이 구워진 후에 꺼내야한다. 이렇기 떄문에 빵을 넣은 후에 빵을 꺼낸후
다음 빵을 만들 수 있으며 연속작업이 불가능 한것이다.
챔버이베퍼레이션은 '배치'라는 것에(커다란 오븐이라 생각하면 된다) 미러코팅이 안된 렌즈를
걸어놓고 배치를 닫은 후에 시간이 지난후 증착이 완료된 후 꺼내야 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생산성이나 원가 절감차원에서 인라인스퍼터 방식의 코팅을 하는 것이
맞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아까 분류한 렌즈와 상관이 있다.
아까 말했듯이 백색, 황금색의 금속 자체의 색깔을 내는 미러코팅은 1겹(전문용어로 레이어 라 한다)만 코팅해도 미러 코팅이 나온다. 왜냐하면 금속자체의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기 떄문이다.

하지만 색상이 있는 미러코팅은 경우가 틀리다. 이는 Sio2, TiO2라는 물질을 여러겹(멀티레이어)을
쌓아 올려야 한다. 이는 각 색상의 굴절율과 반사율을 이용해 색상을 확보하는 것이다. (고등학교때 다 배웠겠지만 빛은 파장으로 되어 있으면 붉은 색으로 갈수록 장파장, 파란색으로 갈수록 단파장이다)

그런데 인라인 스퍼터 방식은 1레이어 혹은 2레이어 밖에 쌓지를 못한다. 그러므로
멀티미러코팅렌즈는 제작하지 못하는 것이다. 1개의 존에서 1가지 물질밖에 증착을 못하며
인라인 스퍼터 방식은 많아야 2개 ~3개의 존밖에 안달려있으며 실제 사용하는 존은
많아야 2개존 실제로는 1개 존이다.
물론 미러코팅존을 추가시켜서 할순있지만 이는 이론상 가능할뿐 실제론 5개 이상의 존을한번에 돌리게 되면 그곳에 사용되는 전력소모량은 챔버이베퍼레이션보다 효율적이지 못하게 된다.

이에 반해 챔버이베퍼레이션은 시간의 차이는 조금 있지만 여러겹의 레이어를 한번에 쌓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색상있는 멀티레이어미러코팅이 가능한것이다.

이제 눈치채신분은 채셨겠지만 이게 레드미러, 파이어 렌즈, 핑크이리듐 등등이 비싼 이유이다.

일반 골드렌즈(아논기준) - 제작시간 빠르고 연속작업이 가능한 인라인방식 코팅에 레이어 1층
레드미러렌즈(아논기준) - 제작시간 길고 연속작업 불가능한 챔버이베퍼레이션 코팅에 레이어 10층

당연히 멀티 렌즈가 비쌀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그렇다면 아논의 골드렌즈, 솔렉스에 코팅되어 있는 금속은 무엇인가?
아쉽게도 수은도 백금도 티타늄도 아닌 니켈이다. 보통 메탈 증착에 알루미늄, 니켈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막조성 시 안정적이면서 밝은 색상을 내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수출시 금지하는
환경규제 금속에 안들어간다는 장점이 있으면서도 싸다.
또한 아논의 골드크롬렌즈 역시 말그대로 크롬증착이다.
단가순으론 크롬>니켈>알루미늄 순이다.

그러므로 여러분들이 아논 골드렌즈보다 끽해야 몇푼 차이 안남에도 불구하고 만원이상 더주고
구입하는 것이 솔렉스, 골드크롬 렌즈라 하겠다.

하나더. 수은을 코팅한다고 잘못 아시는 분들이 꽤 있는데 이는 물을 코팅한다는 것과 마찬가지
의미이다. 왜냐하면 수은은 상온에서 액체인 금속이기 때문이다.
또한 백금, 티타늄 사용하면 좋지만 업자측에서 굳이 이걸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
왜냐하면 가격대비 니켈 알루미늄에 비해 효과를 못얻기 때문이다.

멀티 코팅의 가격은

빨>주>노>초>파>남>보 식으로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레이어 층이 여러겹이 되므로
레드미러가 비싸다 하겠다. 여기서 노란색은 멀티 코팅을고 색상 재현이 가능하지만
실제 사용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노란색을 띄는 금속은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시는 가격적인 부분을 말씀드리겠다.
원가가 어떻게 되는냐?

한국의 한 업체에서 니켈 증착 단가는 센티미터 스퀘어당 약 1.2원이다.
그 업체의 레드칼라 증착 단가는 센티미터 스퀘어당 약 19원이다.

고글의 크기를 가로 20센티*세로10센티라고 보면

골드미러코팅단가 = 20*10*1.2=240원
레드미러코팅단가 = 20*10*19=3800원

저건 아논사에서 클리어 렌즈 들고 한국의 한 코팅업체 들어가서 이거 코팅좀 해주슈~ 했을때의
참고 수치일뿐 실제 아논같이 대량생산하는 곳은 자체 공장 내지는 OEM업체에서 생산될 것으로
생각이 되며 더군다나 중국에 공장을 두고있다면 저 제조원가는 저 가격의 약 30% 정도라고 생각이 된다.

제조원가
골드미러코팅원가 =  240*0.3= 72원
레드미러코팅원가 = 3800원*0.3=1140원

물론 이 가격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아논 렌즈 기준으로 기본 골드렌즈라고 해도 2번의 금속증착과 1번의 에칭공정이 들어갔으며
이외에 안티포그 및 발수코팅이 들어가있다 하겠다.

그렇다면 고글의 가격을 좌우하는 것은 무엇인가?
금형? 아니다. 그정도 많은 량의 렌즈를 생산하는데 금형 그 사이즈 파봤자
원가 뽑고도 남는다. 그럼 무엇이냐?
본인이 생각하기에는 렌즈코팅이 아닌 렌즈자체이 있다.
혹자들은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이 머가 그렇게 비싸냐 하겠지만...
우리 안경알을 생각해보자. 그 조그마한 것이 두알에 몇만원이다.
이 역시 플라스틱으로 되어있다.
그렇다. 일본의 광학용 고분자 제조 업체로 유명한 태이진, 니또덴코 미국의 GE등
이곳의 폴리카보네이트 판넬은 450*500사이즈 한장에 몇만원을 호가한다.
또한 버튼사가 아무리 크다 한들 이 업체들을 OEM으로 둘수 없으며 구매 수량에 따른
Nego만 있을뿐 을같은 갑일뿐이다. 결국 원단이든 원단을 만드는 레진이든
제값주고 사야한다는 말이다.
한가지 더 생각이 되는건 프레임이라 생각되지만 프레임은 내 지식밖이라 잘 모르겠다.

어째든 이로써 미러렌즈에 대한 궁금증은 어느 정도 풀렸으리라 생각되며
여타 잘못된 부분 지적이라든지 다른 궁금증은 리플로 달아주길 바란다.
한가지 더. 본인의 직업은 이 업종과 아무 상관없다 하겠다.

시즌이 시작되었다 우리 모두들 항상 안전보딩하길 바라며~!



수정 : 보드리햇반님 말씀대로 이빔방식 -> 챔버이베퍼레이션 으로 수정합니다.
       감사합니다~!
엮인글 :

잇힝*^^*

2006.11.24 10:31:04
*.161.3.107

와~ 대단하네요.. 이렇게나 자세하게.

ⓚⓐⓩⓤ

2006.11.24 10:37:39
*.131.235.52

역시 맨손으로 패트롤을 때려잡고 츄러스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올라가는 곤도라 2-1에서 뛰어내린 육보드님이시군요..

후니~★

2006.11.24 10:40:39
*.212.90.173

제조가를 어떻게 아셨는지 궁금하네요..역시 육보드님.

팔팔빵빵

2006.11.24 10:41:46
*.138.99.223

반말투가 거슬리긴하지만, 잘 쓰셨네요.

타거

2006.11.24 10:50:58
*.116.157.130

전문가의 손길(?)이 느껴지는 칼럼 이었습니다.
고글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군요...잘봤습니다...^^

불타는감자

2006.11.24 11:16:10
*.46.97.2

아니 육보드는 모르게 뭡니까? 대단하세용..

palco

2006.11.24 11:17:16
*.83.226.208

어이구 ....업종과 관계도 없으시면서 어케 이렇게 잘 아시는지 그게 궁금하네요 ^^
전 이업종에잇었으면서도 잘모는구만...ㅋㅋ
그러나 참고로 말씀 드리자면....오클리 에이프레임 1개단가를 예로 들어보겟습니다.
오클리 고글 공장 출고가가 30불이 안됩니다. 이만오천원정도죠. 그중 프레임이 천오백원(도장가포함), 렌즈가 팔백원 밴드가 삼백원, 스펀지(EVA)가 2백원(어쩌다보니 순서대로 나열을..ㅋ) 고글담는 천쪼가리 백팔십원, 부자재(밴드클립및 체결파츠)4~5백원 포장천원정도 나머지는 뭔지 아시죠? 인건비및 이것저것....입니다. 프레임은 도장비가 워낙 비싸니....그렇다 쳐도 렌즈는 꽤 쌉니다. 왜냐하면 ....중국 이니까 -_- 풋
육보드님이 안쓰신 프레임은 꽤 비쌉니다. 몰드차지가 꽤 나가서 그래요. 우선 언더컷도 많고 천공부가 많아서 슬라이드 금형을 쓰거든요. 그리고 고글은 한번 주문하면 수량이 엄청나니까..(몇십만단위) 캐비티가 엄청나요.
그래서 비싸죠.

델모나코

2006.11.24 11:27:00
*.131.70.39

육보드님 꼭 한번 만나고 싶다는...ㅎㅎ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미러렌즈에 환상을 갖고 있는건 한국사람만 그런건가요?
괜시리 궁금해지네요

육보드

2006.11.24 11:31:01
*.12.89.182

팔코님 // 전공도 그쪽이고 LCD관련일을 하다 보니까 관심을 갖게 되서 알게된거죠. ㅎㅎ
말씀그대로 감가삼각 떨치고 나면 인건비인데 중국이라 훗.
더군다나 위즈덤, 에이프레임, 피그먼트, 마제스틱 등은 장수한 모델들이라 말씀하신 몰드차지나 금형차지 뽑고도 남았겠죠. ㅎㅎ

palco

2006.11.24 11:41:15
*.83.226.208

문제는.....몰드 차지 뽑는다쳐도 워낙 많은 수량을 뽑다보니 금형의 개보수에 돈이 더들어간다는거 -_-;
슬라이드 금형이라 조금만 오차가 나도 바리가 많이 생겨서 못써요 거기다 PVC로 뽑다보니 도장도 만만치 않고..

보드날고있니?

2006.11.24 11:45:22
*.237.27.224

모든 소비재물품. 그것도 이름 좀 있닥 치는 물품이 그렇지 않겠습니까?^^
그냥 세일할 때나 기다려서 사야죠.
암튼 대단하시네요^^

Double M

2006.11.24 12:00:59
*.106.10.77

좋은글 잘봤습니다. 암튼 육보드님 이럴때마다 정말 대단해 보이심 +_+

빽빽이

2006.11.24 12:03:00
*.48.40.225

엄지손가락 두개를 모두 세워도 모자른 칼럼.
잘 읽었습니다.

꽃냐보더

2006.11.24 12:16:31
*.51.183.13

엄지에 종기가 났네요 치켜들었습니다 역시 육보드님 ㅋㅋ

보드리햇반

2006.11.24 13:09:56
*.248.30.121

좋은 정보이군요. ^^
그런데, 조금 오해를 살만한 부분이 있어서요.
금속 증착방법을 in-line sputtering과 e-beam으로 나누셨는데, 이건 좀 오해의 여지가 있네요.
금속을 증착하는 방법은 크게 sputtering과 evaporat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puttering은 고에너지 이온을 금속 source에 충돌시켜 금속분자를 뜯어내서 기판에 증착하는 방법이구요,
evaporation은 금속을 기체상태로 만들어 기판에 증착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온도를 올리는 방법에 따라 e-beam evaporation과 thermal evaporation으로 나눌 수 있죠.
육보드님께서 말씀하신 두 방법의 차이는 in-line으로 증착을 하느냐, 아니면 chamber안에서 진공상태를 만들어 놓고 증착을 하느냐의 차이로 보입니다. sputtering과 evaporation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서 어느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상당한

2006.11.24 13:19:25
*.217.57.95

시간과 노력이 곁들여진 칼럼입니다. 감사합니다 ^^ 많은 것을 배워갑니다. ㅎㅎ

dkdk

2006.11.24 13:25:51
*.75.229.65

이쪽 업계에서도 크롬 도금할때 6가 크롬 규제가 있나효?
크롬 도금 이야기가 나와서 물어 봅니다

어우야아

2006.11.24 13:27:17
*.95.187.27

d오오오오 역시 육보드님!!!

육보드

2006.11.24 13:31:51
*.12.89.182

보드리햇반 // 보드리햇반님 맞는 말씀입니다. 그렇게 분류를 한 이유는 단일 레이어와 멀티레이어 개념과 가격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느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분을 한겁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셨다면 죄송합니다.
증착 품질면에선 당연히 evaporation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렌즈의 경우 고분자다 보니 스퍼터링 같은 경우 고분자의
TG포인트때문에 고온 스퍼터링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러빙테스트 같은 경우도 스퍼터링 증착보단 evaporation이 훨씬 우수하다고 하더군요.
물론 글라스의 경우는 고온 스퍼터링이 가능하니 좀 틀리겠지요.
이외에 생산속도나 원가절감적인 측면에선 분명 스퍼터링 제품이 우수하지요.
하지만 현재 조성되어 있는 판가를 보자면 어떻게 증착을 하던 별로 영향이 없어 보이긴 하네요.
어째든 말슴대로 인라인 스퍼터 - 챔버이베퍼레이션 으로 나누는게 훨씬 좋아보이네요.

육보드

2006.11.24 13:32:16
*.12.89.182

6가 크롬은 오지를 제외하곤 어디서든 규제 대상입니다.

본지퍼

2006.11.24 13:45:17
*.243.216.131

본지퍼 렌즈는 그럼
클리어 크롬, 골드, 그린 크롬, 오렌지 크롬, 크롬
기본 렌즈를 제외한 미러렌즈는 다 ~~ 크롬 코팅이네요,,,,

한라

2006.11.24 13:45:32
*.94.44.1

역시 맨손으로 패트롤을 때려잡고 츄러스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올라가는 곤도라 2-1에서 뛰어내린 육보드님이시군요.. (2)

skk보더

2006.11.24 13:54:01
*.233.159.23

와우....멋지십니다....대단하셔요....^^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DARK333

2006.11.24 14:08:35
*.236.218.32

오,,,,,역시~~~

purple™

2006.11.24 14:54:04
*.244.221.2

대단한 내공이 느껴지는..

스타일안좋아*paragon

2006.11.24 16:33:45
*.47.236.63

육보드님 대단하시네요...

ㅇ ㅏ동이

2006.11.24 17:05:28
*.57.153.114

d(-_ㅡ 멋지십니다~ 존경스럽군요

고속낙엽™

2006.11.24 17:13:23
*.98.250.157

좋은글 잘읽었습니다..육보드님 오랜만이시군요..ㅎㅎ 근데..니켈가격은 크롬에 비해 몇배 더 비싸답니다.. 니켈 > 크롬 > 알미늄 이정도 순이 되겠네요..철강쪽 일을 하다보니 한마디 끄적거렸습니다..^^; www.lme.co.uk

포룸@

2006.11.24 17:16:42
*.222.212.41

역시 맨손으로 패트롤을 때려잡고 츄러스를 철근같이 씹어먹으며 올라가는 곤도라 2-1에서 뛰어내린 육보드님이시군요.. (3)

육보드

2006.11.24 17:56:56
*.18.165.217

고속낙엽님//증착쪽에 사용하는 금속은 타겟이라고 하며 이는 쓰리나인 즉 순도 99.999의 금속을 사용합니다.
그 타겟자체의 가격은 그렇게 될지 모르나 일반 적으로 판가를 정할때는 Yield부분을 무시할 수 없습니다.
크롬은 니켈보다 증착 uniformity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판가가 알루미늄이나 니켈보다 비싸다 합니다.
이는 곧 골드미러보다 골드크롬 렌즈가 비싼 이유이기도 합니다.

미쳐

2006.11.24 18:06:11
*.77.89.141

굉장하십니다...멋지심^^*

널♡해

2006.11.24 18:12:48
*.252.104.91

멋지네요 . 대단히 존경스럽다는..

고구마2호

2006.11.24 18:45:31
*.15.55.110

오...추천쌔웁니다. -ㄴ- b

스마일_준™

2006.11.24 18:50:09
*.121.45.234

육....뽀드..유훗..!!!

파벳

2006.11.24 19:53:48
*.76.164.97

멋지심니다!~~브라보~!~~~~~~^^*

날으는잉크돼지

2006.11.24 20:03:58
*.102.150.208

간만에 보는 육보드님의 칼럼 잘봤습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베슷바바

2006.11.24 21:49:52
*.116.77.30

짝짝짝.. ^^

나뭐사죠

2006.11.25 00:09:39
*.61.58.40

심각하게 감탄하면서 읽어야하는데...
본론에서 크리스피크림이 나오는바람에
웃어버렸음... ㅡ.ㅡ...

이궁, 반장님~ ㅋ

계란한판

2006.11.25 01:03:53
*.140.16.192

대단하심다... 짝짝짝

리얼뛰케

2006.11.25 01:27:39
*.232.109.125

육보드님 글 정말 오랜만에 읽습니다. 상세하고도 전문적인 글이라 굉장히 인상적입니다.
읽으면서 끄덕끄덕하긴 했는데 기억에 남는건 빨간색으로 갈수록 비싸다..이 정도밖에 없군요 ;; (휘발성메모리라;;)
아무튼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

슈파슈파

2006.11.25 01:54:36
*.128.174.9

정말 유용한 칼럼이네요..굿입니다..^-^

좌골신경통

2006.11.25 07:13:15
*.57.232.195

무슨말인지..하나도..모르겠어요^^;;

마르스

2006.11.25 09:13:08
*.218.201.4

대단한 지식이 느껴지는 칼럼입니다...역쉬...육보드님...

입니다

2006.11.25 11:14:11
*.121.58.54

오랜만에 육보드님 글을 읽었네요... 정말 대단합니다. 저도 정말 한번 뵙고 싶군요...^^;

...

2006.11.25 19:59:07
*.254.135.145

그런데 ㅋㅋ 이글 보면 왜이리 웃긴건지..
그냥 일반인들은 이런거 알아봤자 파는물건 사는정도인데 왜 이런걸 칼럼이라고 쓸까요.
지금은 기능성보다 자기가 좋아하거나 대세를 따라가거든요 이런거 써봤자 별 소용도없고 의미도 없어요.
의미가 있다면 육보드님 잘난척 정도?

이지시비

2006.11.25 21:26:46
*.221.223.178

어 대박이시네요..글 잘읽었어요

,

2006.11.26 01:03:19
*.105.78.2

... 이 사람 자격지심 있나?

r_ed

2006.11.26 01:20:45
*.90.167.214

이거 어케 만드는거지? 하고 평소 궁금해 하던 저로서는 꽤 도움이 되는 칼럼이라 생각합니다.
어제 고글하나를 샀는데 이렇게 만들어지는거구나라고 알고 고글을 골라보는것도 나름 재밌었습니다.
육보드님 수고하셨습니다.

UN

2006.11.26 11:38:31
*.252.237.127

가끔씩 이렇게 심혈(?)을 기울인 칼럼을 읽을때면 헝글이라는게 자랑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수고~~ ㅋㅋ(첫 문장이 힛트!!)

어리버리그놈

2006.11.26 23:30:04
*.108.107.61

너무 전문적이라 잘은 모르겠지만
비싼데는 비싼이유가 있다 라고 생각이 드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17
1472 기술(테크닉) 바인딩 스탠스와 각도 [13] ***흰눈사이... 2006-11-26 56 13112
1471 장비 튜닝 보드복 팬츠 나만의 다이... [12] VN4&VIA 2006-11-25 25 5510
1470 장비 관련 데크에 바인딩 결합 했을때 [20] 쿨워터 2006-11-24 31 7865
» 장비 관련 미러렌즈에 관한 모든 것 [58] 육보드 2006-11-24 38 11150
1468 의학,부상,사고 시즌시작에 즈음해서 부상방지에 관한 좋은... [4] 니트 2006-11-24 7 3038
1467 절약법 성우 리프트권 할인방법 - 할인폭 축소되었... [59] PurerideR 2006-11-23 17 6196
1466 장비 튜닝 손재주없이 데크튜닝하기.(사진수정) [18] TiGerJK 2006-11-23 33 8207
1465 장비 튜닝 데크의 변신.... [15] 돌리고돌리고 2006-11-23 49 5105
1464 장비 튜닝 집에서 핫왁싱시 왁스가 뭉칠때 [16] 月光보더™ 2006-11-23 29 7837
1463 장비 튜닝 Only 편의주의 IV [ 일반고글에 안경 착용하... [7] [블랙쏜] 2006-11-22 41 4191
1462 해외-장비구입 해외사이트를 자료실에 추천하는 행위의 위험성 [15] 수프라튐 2006-11-22 13 3911
1461 보드장에서의 절약법 꽤 좋은 정보 (스키장별 할인정보 입니다. )... [33] 보드라키 2006-11-22 13 6209
1460 장비 튜닝 Only 편의주의 IV [일반고글에 안경 착용하기] [10] [블랙쏜] 2006-11-22 49 4291
1459 일반 11월 날씨 동향 분석 [10] 4계절겨울 2006-11-22 24 3665
1458 헝그리 캠페인 19일 휘팍의 모습(대략 남감) [97] 최인권 2006-11-20 15 12800
1457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분들을 위한 몇가지 교훈.. [25] 스타일안좋... 2006-11-20 21 6453
1456 헝그리 캠페인 사기꾼 검거했을때의 올바른 대처법 [17] 파빌리온 2006-11-18 20 4914
1455 장비 구입 뉴욕 버튼˜ [18] 망고!MANGO 2006-11-18 26 5830
1454 장비 튜닝 제 일본인 업자가 권하는 보드용 왁스... [26] 스펜서 2006-11-17 21 6033
1453 장비 튜닝 보드복 바지 밑단찍찍이.... [21] 잠원동붕어빵 2006-11-17 38 6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