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안녕하세요.
어제 도넥 사망 관련 글을 올렸던 엘리시안 강촌 보더입니다.
어제 올린 글은 퇴근시간에 급히 올린 거라 내용이 부족해서 다시 정리해서 올립니다.
장문의 글이 될 거 같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일단 도넥 예판을 해서 대략 11월 말에서 12월 초에 받은 걸로 기억합니다.
163만원에 베이스와 엣지가 정비가 안돼 나온다고 해서 3만원인지 5만원지 주고 89/0.5로 세팅하고 엣지백까지 하면 대략 173~175 정도 주고 구입을 했네요.
이번 시즌 날씨가 덥고 설상가상으로 비가 오는 바람에 시즌 초 슬로프 상태가 정말 거지 같았던 거 다들 아시죠?
사실 설질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도넥에 혹시나 무리가 가지 않을까 뒤치기 당해 데크 탑시트에 상처가 나지 않을까 정말 아끼고 아끼고 아껴서 탔습니다. 일부러 설질 안 좋을 때에는 예전 타던 데크만 탔었죠~!!
도넥을 개시하고 3일째 되던 날이었습니다.
그날은 설질도 나름 좋은 날이어서 올 시즌 최고로 보딩이 잘 되던 날이었습니다.
- 휴대폰 기록을 보니 업체(엑스XX스노우)에 연락한 날은 30일이 아니라 12월 29일이더군요. (사고 발생 후 당일 연락 함.)
29일 퇴근 후 7시 30분 좀 넘어서 보딩을 시작했고 디어, 페가 두 슬로프만 여러 번 탔던 것 같네요. 강촌은 아시다시피 래퍼드를
제외하고는 급사라고 할 만한 슬로프가 없습니다.
제 데크가 부러진 곳이 디어 슬로프인데 강촌 보더들은 아시겠지만 상단 부 초입 구간은 경사가 그리 세지 않습니다.
당시 슬로프 상태는 고굴이 없었고요. 카빙 하기에도 적합한 설질있었습니다.
디어, 페가 번갈아 타던 중 9시 경 디어 슬로프 초입 부분에서 사람들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서 주위를 살피고 사람이 없는
타이밍에 내려가려고 토사이드 턴을 진행했습니다.
근데 이게 웬일입니까? 엣지를 박았는데 턴이 진행이 돼야 할 데크가 턴을 하지 않고 우드득 소리와 함께 부러지면서 넘어졌습니다. 슬로프를 손으로 짚는 바람에 손목이랑 어깨가 좀 아팠지만 속도가 얼마 나지 않았고 완사였기 때문에 괜찮았습니다.
당시 상황 이해를 돕기 위해서 슬로프 사진 2장과 데크 부러진 상세 사진 추가로 첨부했습니다.
빨갛게 동그라미 한 부분이 대략 제가 넘어진 곳입니다.
이곳은 엘리시안 강촌의 중급 슬로프인 디어입니다. 보시다시피 급사로 떨어지는 구간이 있지만 초입은 완만한 경사입니다.
대략 1시간 좀 넘게 라이딩을 하고 정상에서 바인딩을 체결하고 출발했고 약 5미터(빨간 동그라미 부분)정도에서 데크가 부러졌습니다. 과연 그 그간에서 속도가 붙어봐야 얼마나 붙었을까요?
업체 판매원가 첫 번째 통화 내용에 따르면 “체중이 노즈에 실리면서 부러진 거 같다. 이런 경우가 희귀한 케이스는 아니세요.”라고 말 하더군요. 근데 당연한 거 아닌가요? 턴을 시작할 때 전경 먼저 들어가지 어떤 보더가 후경먼저 박고 들어가나요?
도넥 세이버 메탈은 후경으로만 타야하나요? 또한 엣지박고 전경주고 턴을 하는데 데크가 부러지는게 희귀한 게 아니면 도대체 뭡니까?
그리고 또 이런 말을 하더군요. “나무 같은 경우는 눈에 보이지 않는 누적 데미지들이 워낙 많아요,”
저 딱 도넥 3일 탔습니다. 그것도 직장인이라 일마치고 보딩 해봐야 3시간 정도 데크 이용시간 총 해봐야 12시간도 안될텐데....
제가 산 모델은 도넥 세이버 메탈. 도넥 제품 중에 최상위 모델입니다. 근데 이건 톱밥으로 데크를 만든건가요?
아니면 제가 그동안 사용했던 데크들이 정말 더 좋은 다이아몬드같은 재질로 만들어 진걸까요?
제 데크 상태를 보시다시피 첫날 베이스 살짝 긁힌 거 말고는 거의 깨끗합니다.
어디 처박지도 않았고 심하게 구른 적도 없습니다.
이런 사실을 보고도 왜 자꾸 바인딩 자국을 따라 가로로 쪼개졌고 (사실 세로 방향으로 쪼개 지다가 대각선으로 타고 간 거라고 생각합니다.) 부러질 정도의 임팩트를 줬다고만 자꾸 이야기 하는지 답답합니다. 그런 충격의 흔적이 어디 있습니까?
만약 데크가 부러지지 않았다면 다리가 부러졌을 거라는 이야기도 하더군요.
제가 탔던 곳은 초입부에 완사였는데 말이죠~!!
제가 타는 걸 보지 못했기 때문에 완사를 탔는지 급사를 탔는지 믿기 어렵다는 겁니다.
모든 걸 전부 소비자의 과실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목격자를 찾습니다.
혹시 리프트나 정상에서 데크 부러지면서 제가 넘어지는 거 보신 분들 계시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현재 데크가 아작나고 2주가량 지났습니다.
본사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없더라도 기다려주시면 사장님이 최소한 고객에게 피해가 가지 않게 해 주실 거라는
애매한 말만하고 믿고 기다려 달라고 하더니 도넥을 재구입하면 50% 할 일을 해 준다네요.
시 구매하라고요? 80만원을 더 내고 사라고요? 데크 뽑기를 잘 못해서 부려졌는데 제 탓이라고요?
서울에 방문하면 데크 상태를 보고 뭔가 대처를 해 줄 것처럼 하더니 사장님은 휘팍 행사에 가서
부재 중이니 본사에 연락을 하고 사장님과 의논을 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럼 왜 방문을 하라고 했나요? 연차 수당도 날리고 기름 값 톨게이트 비 시간낭비는요?
그리고 빌려 준 데크 SKITZ 이거 너무 한 거 아닙니까?
2주가 넘는 기간 동안 ‘다른 데크를 먼저 구매해서 딸까?‘ 엄청 고민 많이 했습니다.
그래도 저는 엑스XX스노우에서 “믿고 기다리면 최소한 고객에 피해가 가지 않게 해주겠다.”라는 말만 믿고 기다렸습니다.
그러더니 재 구매 시 50% 할인이 나름 배려라네요.
피해가 가지 않게 해 주신다더니 80만원은 피해가 아닌가요?
물론 엑스XX스노우가 보드를 제작하는 업체가 아니라 도넥 본사에서 불량을 보내서 입장이 애매한 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렇다고 뽑기를 잘 못한 제가 다 뒤집어 쎠야 하나요? 엑스XX스노우 도넥 코리아(도넥 총판) 아닌가요?
그러면 이런 부분도 배려를 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데크 한 장 팔아서 얼마나 남겨 먹는지는 모르겠지만 이건 그냥 자기들은 손해를 보지 않겠다는 것과 뭐가 다르나요?
50% 할인 해주면 마진은 못 챙기겠지만 업체는 피해를 입지 않겠지요~!!
증명을 못 한다고 해서 소비자가 전부 뒤집어 써야하는 건 좀 심한 거 아닌가요?
데크가 불량일 가능성은 어떻게 할건가요?
피해가 없도록 하신다고 했는데 제가 피해를 입지 않았나요?
저도 이건 분명히 불량이라고 생각합니다. 0.1톤? 말도 안됩니다. 키커나 파이프에서의 에어가 아니고 일반 라이딩에서 보더 중량때문에 데크가 부러지다니요? 듣도 보도 못했습니다.
온힘을 다해 부러뜨리려고 눌러도 안부러지는 물건입니다. 말도 안되는 얘기입니다. 보나마나 커스텀한 부위에 불량이 난 거겠죠. 170만원짜리 데크를 3일타고 데미지가 누적되서 부러진다? 사장님도 이게 말이 안된다는 걸 모르진 않을 겁니다.
그냥 손해 안보기 위해서 쉬쉬하고 넘어가고 싶은거죠. 본사에서는 원래 환불처리 잘 안해주려고 하거든요.
리셀러들이 그냥 이런식으로 대처하면 솔직히 한국시장 점점 좁아질겁니다. 영어 몇마디 할줄알고 크롬으로 변역기 쓰면 그냥 직구하고말지 뭐하러 국내매장에서 물건 구입하겠습니까?
우선 CONRAD님은 강촌에서 같이 타는 아는 동생입니다.
데크 샀다고 기뻐한 모습을 본지 며칠만에 데크가 아주 예쁘게 부러져서 엄청 실망을 했지요.
제가 타는 14년 된 데크도 아직 멀쩡하고, 작년에 디어 하단 기둥에 쳐박았던 케블라 데크도 저렇게 부러지지는 않았습니다.
3일 라이딩에 데크가 저 지경이 되어 버리면, 소비자들은 과연 무엇을 믿고 물건을 구매할 수 있을런지.
급발진과 마찬가지로 불량을 소비자가 증명해야 하는 엿같은 현실입니다. 미국과 같은 레몬법 등 강력한 법규가 있어야
하는데, 한국에서는 소비자를 물로 보니 이렇게 되는 것 같네요.
내가 봐선 부러질 슬롭도 아니고, 부러질 상황도 아니고, 오로지 카빙만을 하는데, 이렇게 되었다는 것은 분명히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보여지네요.
우선 소비자보호원에 넣어!. 어디 흠집하나 충격받은 흔적 하나 있는지?
카빙하다가 부러진다면 누가 카빙을 연습하고, 카빙턴을 하겠냐?
강력하게 나가라.!!
0.1톤을 위한 보드라고 내구성 위주의 평가만 보다 이제껏 헝글에서 본 파손 사례중 가장 크게 부서진 것 같습니다. 저는 몸무게 0.1톤에 이전에 쓰던 중저가형 데크들 노즈 박혀 몇번 날아가도 이제껏 부러진 적은 없었는데요. 이것은 확실한 결함이라 볼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