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주 분야가 PA SR 홈오디오 PP 음악 전기 분야입니다
수학문제 물어보면 펜을 놓은지 오래라 사칙연산 정도는 알려드릴수 있습니다
스튜디오에서 앨범작업 하듯이 한다면 4시간 수도권 b급 스튜디오 기준 30만원선입니다 오퍼레이터 붙고 마스터링 들어가고 하면 50은 훌쩍 넘고요 기본적으로 음악하나 틀고 노래 녹음하고 싶다면 홈 레코딩 장비로도 충분합니다 좀 진지하게 접근하고 싶다면 스튜디오에서 진행하는걸 추천합니다
다이어트 중이시니 짧게나마 포만감 느끼시라고 보리비빔밥????
1.이펙터를 뭐를 쓰시냐에 따라 조금 틀립니다 POD계열을 쓰신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딸려있어서 추가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 안하셔도 되지만 아날로그 이펙터를 쓰신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셔야합니다(인터페이스마다 소리의 변화가 있어서 가볍게 하실거면 2Ch 30만원 미만인 제품을 쓰시는걸 추천합니다)
2.반주문제는 헤드폰으로만 듣겠다 하시면 모니터링 스피커는 필요없어지지만 스피커로도 듣고 싶다 하시는순간 레퍼런스 스피커를 구입하셔야는대 그게 지갑에 부담을 많이 가게 됩니다 YAMAHA HS시리즈 추천입니다
3.소프트웨어는 불법적인 경로로 큐베이스를 많이 다운 받아 쓰는대 그걸로 진행하셔도 되고 정품 라이센스를 가진 큐베이스,로직,누엔도,프로툴등으로 하셔도 일반인 기준으로 차이가 없습니다(사용하기 편하고 주변에 알려줄수있는 사람이 있을경우 그 제품을 추천합니다)
4.마스터링과 톤 밸런스등을 공부 하셔야 합니다 기타 앰프에서 출력되는 소스와 오디오인터페이스로 들어가는 소스는 많이 틀리니 기타 톤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하셔야 합니다
5.기타 앰프를 마이킹 하신다면 다이나믹계열의 마이크 SHURE가 레퍼런스 마이크니 그제품 계열로 구입하시고 다이렉트 소스로 보내신다면 DI또는 기타앰프에 있는 아웃풋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시면 되고 앰프를 안거치신다면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연결후 레코딩하시면 됩니다
----------------------질문이 여러 개라 설명해드릴게 많아 글이 길었네요 홈레코딩은 가볍게 진행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진지하게 가시면 돈 천은 순식간에 사라져요
현재 보유장비 및 소프트웨어 목록입니다.
- 기타: 깁슨 (CS-356)
- 오디오인터페이스: iRig HD 2
- 기타 앰프: 듣보잡 20년된 삼익 15W 똘똘이
- 이펙터: 없음. 컴퓨터와 아이폰으로 AmpliTube4 로 시뮬레이션
- 컴퓨터: 8년된 컴(i5 쿼드코어, 12기가 메모리) + 외장형 사운드카드 (Audinst HUD-mx2)
- 오디오: 20년된 쾨헬 인티앰프(줏어옴) + 모니터오디오 BX2 스피커 (컴->오딘스트->인티앰프로 연결됨)
- 녹음은 컴에서 AmpliTube4 사용 중.
현재 상태인데, 시퀀서라는 게 있어야 뭔가 할 수 있는 것 같은데... 이름만 들었지 뭐가 뭔지 전혀 모릅니다.
기타와 함께 반주 틀어놓고, 녹음하고 편집(? 복사, 반복?)도 하고 그러고 싶습니다. 여기서 뭘 더 준비하고 공부해야 할까요? 1
일단 앰플리튜브가 시퀀서 역활을 할수있긴 하지만 이펙터의 개념이 강한 제품이라 시퀀스만 구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큐베이스, 로직, 누엔도, 프로툴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시면 되고 아랫글에 있는 베가스라는 프로그램도 가능하지만 영상이 주가 되는 제품이라 무난하게 큐베이스~프로툴 써있는 제품을 쓰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펙터가 따로 없으시니 좀 번거롭더라도 앰플리튜브로 기타톤을 정하고 시쿼스 프로그램으로 다시 불러오는 과정에서 혈압이 많이 올를것 같습니다;;쉽게 가는방법은 기타-->이펙터-->(앰프)인터페이스-->컴퓨터순인대 이펙터 개념으로 앰플리튜브를 쓰시는중이라 앰플리튜브에서 음원을 불러다가 같이 연주하시고 후보정을 시퀀스에서 하시는방법이 정신건강에 좋을것 같습니다(대신 트랙별로 따로 음원을 저장하고 불러오셔야 후보정이 가능합니다)
컴퓨터와 모니터 스피커는 그정도면 충분히 좋은것 같습니다 제가 i5로 16기가 램으로 31트랙 멀티트랙 레코딩 했을때 처음 준비과정에서만 좀 버벅이고 레코딩 시작할때부턴 널널하게 진행했습니다
될놈될 안될안!!!!!집에서 보세요!!야구 잘몰라요ㅠ
소스를 트랙별로 주시고 마스터링에 대한 원하는 느낌을 말해주시면 그거에 최대한 맞춰 드려요ㅋㅋ그걸로 가수 앨범 발매해봤네요;;시퀀스는 저 같은경우에 로직이 주관적인 견해로 따뜻한 소리를 내주다보니 프로툴 접고 로직으로 변경했습니다
네 그정도면 충분해요...ㅋ가수 앨범 소스 받을때 그쪽에서 모르고 투트랙으로 줘서 그거 음 분리한다고 재털이를 산만큼 만들었네요 ㅋㅋㅋㅋㅋ
저는 왜 안생길까요???
아이돌 같은대 이쁘게 생겼네요
검검 검빨 빨파 빨빨 빨검 노노 등으로 깔마춤 하시면 하실수 있습니다 어부바지 안됨요
오랜만에 플루겔혼 연주 잘들었습니다
지적사항-마이크수음거리가 멀어요, 카메라로 원테이크 녹음은 비추입니다, 리버브의 디케이와 리버브타임 미스로 부자연스러움, 컴프의 부재 정도 바로 나오는것 같습니다
1.마이크 수음거리 실내 50센치 내외 야외 20센치 내외 정도로 줄여보세요 과도한 소스가 들어온다고 생각하지 말고 후보정으로 조절하시면 될것 같습니다(콘솔이 없을경우)-마이크가 가깝다울때 저음이 많다 소리가 과도하게 크다 소리가 뭉개진다 등이 있고 멀면 고음이 선명하다, 소리가 어느정도 평탄하다, 마음의 부담감이 적다 정도 되겠내요
원소스가 제대로 들어와야 마스터링에서 수정이 가능한대 원소스가 마이크가 너무 멀다보니 이큐로 조절할려고 해도 소스가 제대로 들어오지 않아 수정을 할때 고생하게 됩니다
야외에서 수음거리를 2~3미터 가량으로 떨어트려놓을경우 주변의 소리도 같이 들어와서 현장감이 생기지만 원하는 소리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들리게 됩니다-현장감을 원할경우 마이크 3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원소스용,엠비언스용,카메라마이크)
2.로우컷 된 소리가 난다는건 이미 마이크가 멀리 떨어져있어 저음이 수음이 되지 않아서 입니다 그럼 가벼운말로 소리에 힘이 없고 귀만 따갑다 라고 표현이 되는대 악기가 금관이다보니 더 심하게 됩니다
3.리버브 양은 적당해 보입니다만 디케이와 리버브타임이 맞지 않아 부자연스럽게 들립니다 과도한 리버브타임과 어색한 디케이값으로 샤프하게 스~하는 느낌대신 뭉뚱한 소리로 나오고 있습니다
4.금관악기는 음압이 세다보니 컴프가 없이 진행하게 되면 너무 소리가 크게 들려 마이크를 멀리 놓고 진행하시는것 같은 견해입니다 컴프로 어느정도 평탄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하시게 되면 세게불러도 컴프가 처리 해주니 부담없이 레코딩 하실수 있으실것 같습니다
-----------------------------------------------------여담으로 이큐를 안쓰면 원소스에 가깝게 들리기도 하지만 마이크 특성과 위치를 잘못 놓았을경우 원소스 소리가 아니라 전혀 다른 소스로 바뀌니 과감한 이큐로 버릴건 버리고 살릴건 더 살리는 방법으로도 해보셔도 될것 같습니다
전 주로 금관 악기에 마이킹할때 수석분들은 집게 마이크로 10센치 내외로 잡고 하게 됩니다,마이크가 가깝다고 부담스러워 하시면 마이크 수음방향을 조금 틀어서 부드러운 소리로 바꿔드리고 튜바나 트럼본계열은 20센치 내외로 해서 움직일때 악기와 부딪히지 않을정도의 거리까지 근접마이킹 하고 있습니다..
비유가 맞을지 안맞을지 모르겠지만 비유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모래알갱이)
리버브종류(모래알갱이의 입자 크기 및 모양 결정 뾰쪽뾰족과 둥글둥글 네모네모!!ㅋ)
리버브 타임 (모래 알갱이가 퍼지는속도-비유가 어렵네요-소리가 반사되서 돌아오는 값입니다)
디케이(모래알갱이를 바닥에 뿌렸을때 얼마나 넓게 뿌려지나)
룸사이즈(말그대로 공간의 크기입니다 화장실(같은 박수소리도 3평기준에서 나오는소리와 20평규모의 거실에서 나오는 소리가 전혀 틀리듯이)
리버브를 넣고 추가로 딜레이를 원소스 바로 뒤에 따라오게 바짝 붙여주면 조금더 풍성한 소리를 만들수 있습니다
전 일개 월급 도둑입니다!!전북에 살고 계시고 행사장 돌아다니셨다면 저 보셨을수도 있어욬ㅋㅋㅋ
전본업 월도니까요;; 궁금증이 생기시거나 막히는 부분 있으면 연락주세욬ㅋ전 과감한 이큐질을 좋아하는 편이라서 호불호가 있지만 원음에 가깝게 뽑아내고 있습니다!!
....절 노리시는분이 많은것 같습니다!!
키는..유전이 60%이상이라고 들었습니다...일단 10시 이전에 주무셔보세요
성장판이 안닫혔다면 호르몬분비가 많을 시간대인 10시 쯤부터 꿀잠을 자는게 좋다고 들었습니다..ㅠ화이팅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