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시즌 마감한 줄 알았는데, 2주만에 스키장와서 직전에 새로 시도한 턴 중 업웨이트 섞기 이리저리 테스트했습니다. 단순 기울기(엣지세워서)만 줘서 크로스 언더쓰며 엣지각 턴 따라 내려오기는 슬 재미없어서.. 좀 더 멋진? 것을 해볼까했거든요. 물론 업웨이트 힌트는 다른 사람 타는거 보다가 입니다.


토턴은 업웨이트가 어깨닫은 상태에서 기가막히게 먹는데, 힐턴도 제대로 덕스텐스 폼나게 어깨닫은 상태에서 해내고 싶어 별여별 짓을 다 해봤지만.. 엣지각 확보가 안되니 그 상태에선 업웨이트가 힘을 못 발휘하네요.
즉, 어깨 닫은 상태에서는 신체구조상 외경/기울기가 안나옵니다. 보통 덕스텐스 힐턴자세/엣지각 그 테두리 정도를 못 벗어나네요. 의자 앉은 자세틱. 아무리 뒤로 누운다쳐도요.
토턴 수준으로 (뒤로) 누워보려고/동시에 외경기울기 어떻게든 만들어서 엣지박아 넣어보려고 별짓을 다해봤지만.. 외경기울기가 자체가 부족하고 안나옵니다. 그 정도 어설프게 누운?상태에서 업웨이트 어찌저찌해도 어차피 제대로 안 누워진 상태에서는 엣지각이 확보가 안되어 업웨이트하면 설면만 터져가날뿐. 심지어 엣지각도 좀 죽어버리는 듯한.

그래서 접었습니다. 제 능력으로는 묘안이 없더군요.


결국 다시 어깨 열고 힐턴 과거로 겨우 돌아갔..다기 보다 어쩌다보니 더 갔습니다.
힐턴 진입때 토션 더 이빠이 주고 외경/기울기 더 줘버리고 시선 더 빨리 돌려버렸더니.. 드디어 힐컵이 눈에 닿는다는 게 뭔지 알 정도로 다리 주욱피고 땅에 닿을 듯한 힐턴..ㅡㅡ. 더욱 전향틱하게 되버렸습니다. 외관상. 이걸 바란건 아닌데..머 어쩔수 없죠. 더 턴이 강력하기만 하다면. ㅜㅜ. 외관은 안.. 중요합니다.

암튼, 힐턴 폼 망가진거 다시 찾아오느라 좀 힘들었는데 그게 외려 전화위복이 된 거 같기도 합니다.
*
페인팅이 더 나아가려면 일부러 막 그리고 그림을 망가뜨리게 그려야 한다는 모 배우화가의 말도 마침 들은 판이었는데요.


즉,
-토턴은 턴 중에 업웨이트 써주고(어깨닫힘)
-힐턴은 턴 중에 업웨이트 못쓰니 대신 엣지각 이빠이 확보로 그 효과를 대신함(어깨열림)

한마디로 짝짝이 턴.
아수라백작 덕크테크.

그치만 당연한건지도 모릅니다. 신체구조가 다르잖아요. 앞뒤가. 토턴과 힐턴이.
그나마 전향은 골반까지도 거의 앞을 보는 만큼 좌우로 기울인다는 측면에서 약간 유사한 외관?을 가져가지만, 저 같은 완전 쩍벌 덕스텐스가 전향수준의 엣지각을 확보하고 턴을 강력하게 하려면.. 뭐 짝짝이가 당연하다는 생각입니다.
대신 이전보다 전반적으로 모든 턴이 훨씬 땅에 닿을듯한 기울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아수라..덕.

33/-15 입니다.
기본적으로 (카시) 덕스텐스 자세로 손은 옆구리쯤에 팔을 굽혀서 놓기 때문에 설명에 손은 안 닿습니다. 토턴 어깨 닫는거와 함께 제 덕!부심이죠.


*
혹시, 어깨닫고 힐턴 외경/기울기 이빠이 줘서 엣지박아넣고 엣지각 나오는 방법이나 자세 있으시면 말씀 좀 부탁합니다. 혹은 영상이나.
저는 아무리 해봐도 결국에 기존 의자틱자세인데 이 자세구조론 아무리 앉아도 덕스텐스 타시는 분들 알겁니다. 엣지각 확보에 한계가 있어요. 거기다 외경/기울기를 턴시 신체 토크에 연결도 못시키고. 조금 과장해서 그냥 의자 앉은자세로 그 엣지각 그대로 내려오는거죠... 절대 159 헤머덱 하드한거 카빙턴 못 나오죠.

엮인글 :

수용성

2025.02.11 02:25:28
*.14.85.157

Ryan Knapton 형님이 그렇게 타지 않나요?
그리고 요새는 CASI도 어깨 열고 탑니다. 그게 더 효율적이어서 커리큘럼을 바꾼거겠죠.

어깨가 중요한게 아니라 테일을 눌러주는 골반의 포지션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이때 언웨이트도 수월해 지고요. 어깨가 닫히면 골반도 닫히고 턴의 진행방향으로 골반의 움직임을 선행해주는데 어려움이 생기면서 상대적으로 전경으로 쏠리게 됩니다. 골반을 닫은 상태에서 중경을 맞추려면 회전하는 보드에 비해 골반의 가동성이 떨어져 동조가 힘들어지고 더 이상 엣지를 주기 쉽지 않죠. 그나저나 양발 각도가 45도가 넘어가는 슈퍼덕이시네요 ㄷㄷ

混默혼묵

2025.02.11 03:04:36
*.152.160.170

음..
라이언 냅튠 형님과는 반정도 다르긴 합니다. 힐턴은 어쩌면 거의 컨셉이 같을 테고 토턴은 좀 많이 다르고요.

라이언 냅튠에서 좀 더 많이 기울기 줘서 타시는 분이 한분 계시죠. 엣지각도 더 주고요. '인디류'라는 분이신데.
저는 그분한테 레일 투 레일 컨셉을 많이 배웠습니다. 또 그분 덕에 전향접고 덕으로 회귀한 후 단초도 꽤 얻었습니다. 이분도 라이언이나 전향처럼 토턴도 어깨를 열고 가져갑니다. 덕은 꽤 오래전부터 토턴도 어깨 여시는 분 많긴했습니다. 카시도 이제 힐턴도 어깨연다고 하셨으니.. 전향(의 기법) 파워를 무시못하는 건 맞나봅니다.
암튼 인디류 이분 카빙라이딩 바로 눈 앞에서 보면 매우 전투적이죠. :) 왠만한 전향 저리가라정도.


음..
저는 개인적으로 골반으로 테일을 누른다거나 하는 컨셉으로 다가가지 않습니다.
대신, 노즈가 박힐때 노즈로부터 턴중심을(만드는 외경/기울기를) 멀리 보내버린다는 생각으로 접근합니다. 그러다보면 그 순간에 결과적으로 엣지각이 세워지고 다운이 들어갈때 아무래도 비교적 앞발이 퍼지고 뒷발이 접힌 상태로 '진입'하게되는데 그러면 겉보기에는 아무래도 테일쪽으로 앉은 자세가 취해집니다. 그러나 앉았다가 보다 전 멀리 보낸 거라서..;;

근데 라이언 냅튠의 힐턴을 보시면 딱 그렇습니다. 앞발 내밀고 뒷발이 접혀있죠. (그래서 그렇게 전향에서 앞발 앞으로 쭈욱뻣고 골반을 틀어서 뒷발에 앉으라는 말이 많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건,
닭이 먼저야 달걀이 먼저냐의 차이긴 합니다.

단지 저는 멀리던진 후 다운줘서, 그 후엔 상하체의 토크값을 턴을 당겨오는데에 쓴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 전향분들도 그냥 다소곳이 좌우로 기울기만 주시는(보통 여자분) 분들 외엔 다 그것을 많이들 쓰십니다. 많이 쓰시는 분이 있고 적게 쓰시는 분이 있고 거의 없는 분이 있고.
덕스텐스인데 외경/기울기를 가미하는 분들도 아무리 기울기 많이 줘도 이게 없으면 좀 밋밋하죠. 네임드 턱스텐스분들이 많이 그렇게 탑니다. 마치 테일에 앉은자세에서 가만히 좌우로만 기울기줘서 타시는 전향분들처럼요.


아무래도 저는 쩍벌 덕이라.. 골반까지 거의 전향으로해서 무엇을 누른다거나 하는 개념은 없습니다.
실제로 타는 모습은 어떤지..모르겠지만요.ㅜㅜ. 물론 어깨 열리는거에 따라서 골반도 오픈되어 있긴합니다. 또한 어느정도 열려야 외경기울기가 나오는만큼..사실 인디류 분도 골반을 특히 강조하시긴 하던데..;;
한번쯤 저도 고민 좀 해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진 골반에 굳이 신경을쓰거나 별도로 골반의 자세를 취하려고하거나 힘을 줘보려고 한적이 없습니다.(왠지 위에서 제가 언급한 상하체토크값 활용이 말씀하신 '골반의 움직임을 선행해주고 회전하는 보드에 골반의 기동성이 동조한다'는 말씀과 동일 내용 같기도 합니다.)

수용성

2025.02.11 03:34:14
*.14.85.157

넵, 저는 앉는다는 표현이 아닌 골반의 포지션이라고 적었습니다ㅎㅎ 멀리보낸 것과도 상통합니다. 말씀하신 자세 그대로 입니다. 앉지 않아도 누를 수 있습니다. 전향 덕 굳이 나눌 필요 없이 원리가 같으니까요. 원리가 들어간다면 나머진 스타일 차이라고 봅니다.

덕스탠스 기반(?)의 협회(CASI,KSIA)에서 강조하는 것 중에 피봇팅과 전중후 프레셔 컨트롤 이 있는데, 턴 중간에 골반의 회전이 같이 들어가지 않으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상체(어깨)를 움직이는 것도 결국 골반을 통해 보드에 회전력(토크)를 전달하려는 것이거든요. 아마도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잘 타고 계시겠지만 세팅의 다름과 표현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混默혼묵

2025.02.11 03:55:32
*.152.160.170

그래도 골반이라는 이슈에 대해 한번쯤 고민보려고 합니다.
전 신체 전체적인 움직임과 효과에 집중하는 편이긴한데, 많이들 '골반'을 강조하는 것을 보면 그래도 제가 놓치는 게 있는 거 같습니다.

좋은 단초 감사합니다.^^

나야나냅둬

2025.02.11 12:51:41
*.145.132.34

인디류분 유명해요 같은덕라이더로써 따라하고싶은

混默혼묵

2025.02.11 13:27:30
*.152.160.170

저도 많이 배웠습니다.

무엇보다 자기만의 스타일 홀로 묵묵히 개척나갔다는 점에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라이언냅튠을 참고했다고 하지만요.

챠챠

2025.02.11 21:26:31
*.169.149.160

제 의견을 한마디 덧 붙이자면

힐턴 들어갈 때 종아리와 힐컵에 유격이 심하거나 공간이 남는지요?

만약 그렇다면 그것을 힐컵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우리는 토턴을 할 때 부츠 앞에 정강이를 기대며어 부츠 앞의 딱딱한 부분을 이용합니다. 이때 부츠 앞과 정강이 간에 이격이 있거나 빠르게 정강이를 밀착시키지 않으면 깔끔한 토턴은 어렵습니다.

그래도 부츠를 꽉 매면 이건 어느정도 해결되죠.

그런데 힐컵은 거의 종아리와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서 조금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힐 턴 시 힐컵에 종아리를 최대한 빠르게 밀착해서 기대야 합니다. 이때 상체가 뒤로 젖혀지면 엣지는 터집니다.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몸은 앞으로 접어야 합니다. 머리만 떨구면 안됩니다. 엉덩이는 스쿼트 하는 느낌으로 살짝 바깥으로 빼는 동시에 허리를 ㄱ자로 접는 느낌입니다. 머리가 바인딩 바로 위에 있을 정도 까지요. 그래야 터지지 않고 힐컵을 완전히 이용합니다. 이것이 완벽하게 들어간다면 어깨는 그냥 돕는다는 느낌으로 살짝만 밖으로 움직입니다. 어깨 움직임에 너무 촛점을 두지 마십시오. 좀 심하게 말하면  잘 될 땐 눈만 돌려도 알아서 돌아갑니다. 

힐 컵에 종아리 밀착 >> 엉덩이를 살짝 빼면서 상체를 ㄱ 자로 하면서 머리는 보드 위로 >> 그 다음 가는 방향으로 시선.
이것이 거의 동시에 되도록 감을 잡은 후 앞 다리의 무릅을 살짝? 어깨 살짝? 골반? 을 가미해야 하면서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프리스타일이나 알파인이나 원리는 같습니다. 저는 당시 프리스타일이었지만 위 방식은 알파인 선배에게 배웠고요.

그분이 저에게 말하길 백사이드 턴 (힐 턴)시 힐 컵을 이용하지 못하면 각도도 엣지고 다 소용 없다.

벌써 10년 전일지만 지나가다 생각나서 끄적여 봤습니다.

混默혼묵

2025.02.12 10:24:26
*.152.160.170

자세한 조언 감사합니다.

검토해서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
말씀하신바를 제가 정확히 이해했다면,
알파인은 이미 어깨/골반이 열린상태라 그 열린 상태 그대로 상체를 굽혀 ㄱ자로 바인딩 위까지 머리가 올라간다고 해도 엉덩이가 데크 밖으로 많이 빠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약 '어깨닫은' 덕스타일 힐턴에서 그렇게 다리쭈욱펴서 종아리 힐컵이 밀작시킨상태로 허리굽히면 엉덩이가 데크밖으로 과도하게 빠지게 되어 리커버리 동작이 커져서 불안정해지고 모양새도 안좋지 않을까합니다. 물론 엣지각 확보는 분명히 됩니다.
아마 현재도 어깨 열린 상태에서의 힐턴에서 힐컵이 밀착은 되어있긴 할겁니다. 기울기 주면서부터 기댄 상태에서 누르거든요. 그래도 집중해서 신경쓰는 것과는 다르니 참고하겠습니다.

오른쪽턴

2025.02.12 17:30:33
*.111.25.182

그렇게 심한 덕스탠스에서 전향각 수준의 카빙이 가능한 겁니까? 

물론 뒷무릎을 희생하면 비슷하게 자세는 나오겠지만... 

 

상체를 여는 게 아니라, 상체를 닫고 대신 앞발 각도로 어깨를 기울여보세요. 

混默혼묵

2025.02.12 19:49:05
*.152.160.170

저도 여전히 고전덕부심이나 겉모양새탓에 어깨를 닫고 싶은 고정관념?이 있긴한데, 실리를 위해 포기했습니다.
멋진건 어깨 닫는거죠..하지만 힐턴은 결국 파워풀해지지 않게됩니다. 힐턴을 장악하기엔 무리가 따르더군요.

힐턴진입시 제가 정확히 어느정도로 어깨를 여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순간만큼은 앞발각도보다 여는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기울기/외경확보하는 선에서 무리가지 않는 수준으로 줍니다. (단 이전 다른 첫테스트 하드한데크에서는 더 줘야 퍼포먼스가 만족스럽게 나오던데 새로 얻은 기법을 테스트는 하지 못했습니다.)

아울러 어깨여는건 힐턴초기/진입에 집중됩니다. 일단 노즈 엣지 박아넣고 엣지각 확보후에는 더 이상 그럴 필요가 없거든요.
결국 턴중반 및 후반으로 갈수록 토크?를 풀고 힐을 당겨주면서 어깨는 앞발 각도의 뉴트럴로 돌아옵니다. 엣지체인지에 들어가야하기도 하구요. 만약 어깨를 연상태로 들어간다면 일종의 카운터 로테이션틱이 되겠지만 전 카운터로테이션도 어깨열어 기울기주는 토턴도 선호하지 않거든요. 뭣보다 토턴은 그렇게 하지않아도 신체구조상 엣지각확보가 되고 어깨닫힌 뉴트럴상태에여야 강하게 업웨이트도 할 수 있기도 합니다.

위에서 제가 힐을 당겨온다고 했는데 전향은 비교적 골반에 이어 옆구리를 쓴다면 전 뱃심으로 달려오는 셈일겁니다.

전향의 (신체-물리적)기법을 쓰긴 했지만 전향 자세나 포지션 그 자체와는 좀 달라서 그런지 뒷무릎에는 큰 지장은 없습니다. 제가 사실 그리 유연한 편도 안되거든요.
무엇보다 저는 어거지로 자세를 취하는 건 지양합니다.

오른쪽턴

2025.02.13 09:07:56
*.111.25.182

글만 봐도 내공이 느껴지네요. 언제 한 번 라이딩 하는 모습은 견식하고 싶습니다. 

混默혼묵

2025.02.13 12:56:32
*.152.160.170

글은 글일뿐..; 일부러 견식할 정도는 안될겁니다.;;

아직 연습단계기도 하고..워낙 야간/새벽 혼보더라.
저도 제가 타는 걸 못봤거든요.ㅜ

混默혼묵

2025.02.13 13:06:55
*.152.160.170

저도 한번쯤은 영상으로 어떻게타나 보려고 합니다. 아마..다음시즌이나 다다음시즌쯤에요. 객관적으로 한번 살피기위해서.
(보이는것에 집착하면 외려 방해된다는 주의여서요. 아무래도 본인 타는건 폼이나 이쁜거 생각하게될테니까요. 물론 남 타는 신체동작이나 전체율동은 무척 구석구석 보는편입니다.)

그때보고 머 이정도면 남 눈 더럽히지 않다 할정도면 헝글동영상에라도 한번 올려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주로 비발디파크에서 탑니다.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

2025.02.17 18:44:29
*.7.24.155

저도 힐턴시,.. 어깨를 열어야하는데
안열려서 죽겠습니다 ㅠㅠ

混默혼묵

2025.02.17 19:20:37
*.152.160.170

어깨를 연다기보다, 시선/상체에 외경/기울기를 준다고 하는 편이 더 좋습니다. 그러면 그 결과로 어깨가 열리죠.
(무턱대고 연다고 그 상태로 뭐가 나오는 건 아니거든요.
위에 수용성님이 말씀한바와같이 골반과도 연결된 전체 움직임입니다.)

먼저 외경/기울기를 충분히 준 상태에서, 힐턴들어가시면 어렵지 않을겁니다.
전향에서 흔히들 시선을 펜스로 가져가라고 하는데 그것이 그것입니다. 상체도 약간은 펜스로 가져가버리고..
던져야합니다.

*
이 턴진입/턴초반에 외경/기울기를 주고 던진다는 느낌과 그 결과가 뭔지 아는데 전향시도만큼 좋은 건 없죠. 덕으로 타던 느낌으로는 감 잡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근데 사실 제가 그렇게 학습했습니다. ㅡㅡ.
일반적으로 미세하게 살피면 덕은 다운이 먼저들어가고 외경/기울기는 줘도 보조나 추가로 들어갑니다. 전향기법?은 다릅니다. 외경/기울기가 먼저 들어가고 다운으로 강화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베이직턱을 전향이 중요시하는거고요)
이 순서 차이가 극명한 퍼포먼스의 차이를 부릅니다.
근데 이 모든 설명은 제가 타오고 훈련한 방식탓일 수도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바랍니다. (그래도.. 덕타던 오랜습관에서 갑자기 전향기법을 그대로 넣는다는 건 쉽지 않을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61] Rider 2017-03-14 43 219051
223010 결코 누구도 사고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습니다. file [4] 5월날씨 2025-02-11 3 5219
223009 계속 안타까운 사고가 [34] David 2025-02-11 4 5985
223008 낼. 기상 예보. 비와 눈 ~~ [2] 충근 2025-02-11   824
223007 휘닉스파크 에어팟 주우신분.. JRound 2025-02-11   500
223006 이거 보니까, 전향은 스키에서 많이 차용해왔나봅니다. file [17] 混默혼묵 2025-02-11 4 3462
» 힐턴의 엣지각확보는 어깨여는 거 밖에 없나봅니다. [15] 混默혼묵 2025-02-11 1 2003
223004 25.02.11 화요일 출석부 [45] 태조 2025-02-11 4 235
223003 렌탈 스키어들이 정말 문제네요... [13] 카빙하는척... 2025-02-10 2 4767
223002 지산)이번 시즌 실패.. 다음시즌 다시.... file [2] 퀵고스트(실... 2025-02-10 2 1213
223001 비발디파크 금일 야간 무슨 사고 있었나봅니다. [8] 混默혼묵 2025-02-10 2 8782
223000 하이원, 고한읍에 뽕스도 문 닫았네요 ㅠ [3] 폭풍세수 2025-02-10   1972
222999 와. 이런 회전 어케 가능하죠. [9] 混默혼묵 2025-02-10 1 2392
222998 보드타기좋은날! file [2] 푸리0 2025-02-10 3 1154
222997 루스츠 5시간권 나눔합니다. (직거래 청주,지산 그외 우편1만원발생) [5] 구영이 2025-02-10 5 1060
222996 데크 같은 장비들 직구가 더 싸면 직구로 구매해야겠네요. [17] 짬밥찌끄래기 2025-02-10 1 1736
222995 2025 하얼빈 AG 빅에어 경기 보는 중인데, 쑤이밍 선수 없네요 [2] 굿스노우보더 2025-02-10 1 741
222994 루스츠 한국인 사망사고 [15] *욱이*~~v* 2025-02-10 3 5045
222993 앞으로 보더들은 뒤를 돌아보고 탑시다 [10] 천빵 2025-02-10 1 3725
222992 휘팍 근처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9] 김엄마 2025-02-10   813
222991 용평 뱅크런 준비중??? file [9] 바쉐크 2025-02-10 3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