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저는 한국이 아니며 십자인대 손상증상이 생겼던 곳이 해외였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이곳에 신뢰하고 갈만한 병원도 없고 괜히 잘못갔다가 돈만 낭비하게 될까봐 못가고 있습니다.
또 이곳에 보드장비들을 들고 왔는데...이번 시즌 보드를 포기해야하는지 타야하는지 기로에 놓여있는 상황인지라 좀 더 현명한 대처방법이 없을까하여 정말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글을 적어봅니다.
저는 비슷한 경험해보신 분들께 이 아래의 질문들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1. 제가 어떠한 어느정도의 상태인지 궁금합니다.
2. 저와 비슷한 무릎상태의 정도일 때 어떤 재활을 하셨나요?
3. 한번 덜컹한 이후 언제부터 보드생활을 하셨는지요?
부상내용으로는
1. 첫부상 - 무릎에 물이 찼습니다.
2012년 12-2월경 무릎랜딩을 자주하였고 멍이 커지고 붓다가 다시 빠지는 걸 반복했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2월말 크게 무릎랜딩을 한 뒤 무릎이 퉁퉁부었고 그게 11-12시즌 마지막 보딩이 되었습니다.
이후 병원에 갔더니 무릎에 물이 찼는데 안에 피가 굳어서 주사바늘로는 뽑히지 않는다고 약간 째서 피를 긁어내는 시술을 했고 2주~4주후에 통증없이 정상적인 걷기가 되었습니다.
2. 축구하다가 주저앉은 후 십자인대손상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근 3개월 후인 2012년 6월월에 해외에서 축구를 했습니다.
그런데 축구를 하던 도중 마치 뇌가 몸을 보호해야한다는 듯 순간 무릎에 힘이 안들어가면서(무릎 뼈가 덜컹하는 느낌) 애들 주저앉듯 앉아버렸습니다. 이후 현지에서 보조기구를 구입과 약처방을 받았고 3-4주 후에 정상생활이 가능했습니다.
2개월 후, 8월에 잠시 한국에 들어갔고 간 김에 병원을 갔더니 '파손까진 아닌데 전방십자인대손상이다' 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정말 짧게 한국에 들어간거라 다른 일때문에 MRI나 여러가지 검사를 받기 힘들었고 그냥 약만처방받고 다시 출국했습니다.
3. 괜찮아졌다가 무리한 점프로 인해 다시 재발했습니다.
그런데 9월초, 길거리에서 펌핑 비슷한 점프를 한번했다가 착지하는 순간 다시 무릎이 덜컹거리면서 주저앉아버렸습니다. 3-4주 고생 좀 하고 2달 후인 현재 정상적인 걸음은 가능하나 무릎을 완전 쫙 펴거나 당겼을 때 약간 시리고 약간 아픕니다.
또 기마자세로 근력단련할때 무릎이 아프다기보단 약간 시리고 소리가 가끔씩 납니다.
도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