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지산과 용평에서 조용히 라이딩만 할줄 아는 보더인 날아라가스~!! 라고 합니다요.


오늘은 수도없이 생각하고 고민해왔던 부분인 앵귤레이션과 프레싱의 구분에 대한 글을 써보고자 키보드를 두드려 봅니다.




먼저 용어의 기본적인 구분부터 해보자면..


1. 인클리네이션 -> 몸을 슬롭에 대비하여 기울여서 그 각으로 인하여 데크를 세워서 엣지를 세우는 방법~


2. 앵귤레이션 -> 인클리네이션이 몸의 외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기울이는것이니까요~~) 엣징을 이용하게 하는 방법

                        이라면, 앵귤레이션은 단순하게 몸을 구부려서 엣징을 이용하는 방법~


* 말이 어려울수 있지만, 간단하게 말해서 배를 내밀면~~뒷꿈치가 들리게 되는데 이게 토턴시에 사용되고~

                                  엉덩이를 뒤로 빼면~~ 발 앞꿈치가 들리는데 이걸로 힐턴시에 이용하면 된다는 방법~


3. 프레싱 -> 업,다운이라고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우리 보더가 데크에 압력을 행사하는 방법



이렇게 아주 쉽고 대충 구분이 됩니다요.


이외에도 로테이션이니~피벗팅이니~스티어링 등등 다양한 방법론이 있으나, 오늘의 주제는 단순한 앵귤레이션과 프레싱에만 


포커싱을 맞추어 키보드를 타봅니다요.



제가 라이딩을 하면서 가장 기본적이고 주의깊게 보는게 하나 있다면,


"과연 얼마나 기본적인면에 입각하여 라이딩을 하고 있느냐~~!!"


라는 점입니다.



우리가 맨 처음 보드를 배울때에는 분명히 시선이 먼저 돌아가고~몸의 중심이 그에 따라 이동하여 낙엽(펜쥴럼~)이 되기 시작


하고 그 후에 시선을 돌리고 상체를 돌려서 데크를 회전시키게 되어 베이직턴이 시작되며, 그 후에는 엣지를 쓰게 되어 베이직카빙


이 시작됩니다.


이 후에 나오게 되는게 턴을 좀 더 빠르고 강하게 하기 위한 앵귤레이션이니~프레스니~~가 나오게 되는건데...



제가 보드를 타면서 수많은 보더를 보고 있지만, 저를 포함하여 얼마나 많은 보더가 저 모든 사항을 완벽하게 지키면서 라이딩을


하느냐~가 제 주된 시점입니다.




어느정도 라이딩구력이 쌓이고 본인이 제법 라이딩이라던가 보드를 좀 탄다고 하는 사람들이 오늘의 주제인 앵귤레이션과 프레스


의 구분을 정확히 못하는 대상입니다.



먼저 이런 현상이 나오게 되는 이유부터 제 관점에서 살펴보자면.....


어느 정도의 라이딩이 완성된 후에는 흔히들 숏턴계열을 원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하면 숏턴을 할것이냐~라는건데, 여기서 가장 간단한 방법이 엣징을 요리~조리~쓰는것이죠. 


그러다보면 우선적으로 시선은 고정되고 로테이션등이 생략된 방법을 쓰게 되기 시작하죠. 왜냐? 턴을 짧게 하기 위해서는 


바쁘게 이리저리 왔다갔다 해야 하는데 그게 잘 안되니까죠.



그러다보면 쉽게 되는게 앵귤레이션을 이용하게 되는거죠~흔히들 본인은 하체로만 턴을 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시점부터 


이렇게 되는데, 즉 자신이 언젠가부터는 몸의 앵귤레이션을 이용하여 나온 각으로 주행을 하게 되는것을 자신은 스티어링을 쓴다~


혹은 강한 프레싱을 준다~라고 착각을 하게 되는거죠.



앵귤레이션은 기본적으로 몸의 관절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세 자체도 상당히 낮아지게 되고, 엣징을 꽤 쓸수 있기 때문에 라인도 


제법 돌릴수 있게 됩니다. 그 와중에 낮은 자세로 인해 프레스도 잘~하고 있구나~~하고 생각을 하게 되는거죠.



이 단계까지 오게 되면 거의 주행자체를 앵귤레이션위주로만 하게 됩니다. 시선~로테이션~프레스~등등이 본인은 무척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실제로는 거의 앵귤레이션만 주고~그 후에 쭉~활강을 하는 라이딩일 뿐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사실상 앵귤레이션은 엣지를 설면에 박을때도 쓰이지만, 그 용도보다는 인클리네이션등으로 주던가~아니면 아예 처음부터 앵귤레이션으로 준 엣지각을 더 극대화 시키는 방법일 뿐입니다.


인클리네이션으로만 주행을 하여도 엣지각엔 한계가 생기고, 앵귤레이션만으로도 엣지각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물론 알파인등의 익스카빙은 예외입죠~)


그 한계각도를 극복하고 또 그에 따르는 중심의 배분문제를 명확히 해결하여야 좋은 라이딩이 된다~하는게 제 관점입니다.




그렇다면 뭔 구분을 어떻게 하란거냐~라는 질문이 당연히 나올텐데..


저는 강사가 아니기에 100% 주관적인 느낌만을 말씀드릴수밖에 없는게 함정이긴하나...;;;


간단하게 원리원칙에 따라 주행을 하면 되더라...;; 가 제 현재까지의 결론입니다.



즉, 인클을 써서 정확히 엣지를 설면에 박히게 만들고 그 후 앵귤레이션을 활용하여 그 엣지각을 더 세우고~그 후에 주행이 시작되면 그때가서 정확하게 프레스를 넣는것이 가장 정확한 라이딩 주법이다~라고 생각합니다.



말은 아주 쉽고, 모두들 "ㅋㅋㅋ 당연한 소리하넼ㅋㅋㅋㅋㅋ" 이런 반응을 보이시리라는게 제 생각인데 생각보다 이 모든 과정을 


짧고 빠르게 한다는건 그렇게까지 쉽진 않은듯 합니다. 각 리조트의 최상급 코스에서 말입죠.





원래는 머릿속에 이거저거 생각나는게 엄청나게 많았는데, 키보드를 타다보니 까먹게 되네요...;;


원체 글을 두서없이 쓰는 타입인지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35079
2654 기술(테크닉) 카빙턴에서의 힐턴 [6] 165LX 2013-01-10 1 5077
2653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보강재 file [32] leeho730 2013-01-10 26 15353
2652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과 앵귤 [17] 나경아빠 2013-01-09 6 4134
2651 초보를 위한 강좌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에 대해... [7] 바람켄타 2013-01-06 6 6852
2650 기술(테크닉) 카빙턴 프레스와 기울기에 대한 생각을 올려... [5] 성게군~ 2013-01-04 2 3501
264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자 그라운드트릭 입문 가이드 file [48] 이맥주 2013-01-04 25 7860
2648 기술(테크닉) 턴은 어떻게 생기나 [1] 나경아빠 2013-01-02 5 1700
2647 초보를 위한 강좌 영상기타에 영상 올리는법좀 알려주세요 ㅠㅠ [3] 리브라 2012-12-28   1336
» 기술(테크닉) 프레싱과 앵귤레이션의 구분~!! [22] 날아라가스~!! 2012-12-27 12 3028
2645 기술(테크닉) 카빙 힐턴시 어려움이 있는 분들께.. file [12] 오뚜기칼에 2012-12-17 7 7906
2644 장비 관련 입문자의 중고장비 구매요령 ( 0809때 글인... [6] 셜록홈준 2012-12-17 2 2159
2643 절약법 휴대폰으로 고프로 따라잡기....갤럭시s3영... file [56] 짱쿠마 2012-12-14 3 3103
2642 초보를 위한 강좌 레귤러인지 구피인지 판단하는 방법 file [38] Gatsby 2012-12-07 4 8453
2641 장비 관련 고프로3 vs 고프로1 영상 비교. [9] 스크래치 2012-12-06   3218
2640 장비 관련 에폭시 도전기. file [9] Snowdorp81 2012-12-05   3581
2639 초보를 위한 강좌 기술은 어느날 갑자기 오더이다. [18] 문박사 2012-12-04 5 20418
2638 장비 관련 자작 리쉬코드 겸 와이어락 file [2] 신쥬 2012-12-03 1 3726
2637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642
2636 절약법 나만의 반다나를 만들어 보자~~~!!! file [5] 야매다옹 2012-11-29 2 3074
2635 기타 고프로3 블랙에디션 부품 설명 [2] 스크래치 2012-11-29 1 4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