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종종 눈팅만하는 영혼입니다.
노즈 쓰리도 못돌리는 주제에 트릭 좋아한다고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는 편인데.
슬슬 나이를 먹어서 그런가 요즘은 라이딩에서 큰 재미를 느끼고 있습니다.
워낙 근본이 없어서 전혀 잘탄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어디서 배워본 적이 없어서;;)
이번에 라이딩을 하면서 느껴지는 것들이 있는데
제 생각이 맞는지 검증하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너무 가혹하게 질책하지는 말아주시고 부족한 부분은 채워주시기 바립니다.
참고로 인클리네이션과 앵귤레이션의 개념은 오늘 알았네요;;;
글 올려주신 분 정말 감사합니다.
아 참고로 블로그에 공부삼아 올린 글이어서 혀가 짧습니다.
이해해 주십시오.
============================================================================================
보통 카빙턴을 하게되면 강력한 프레스로 인한 카빙 느낌에 대해서만
중요시 하지 않은가 싶다...
그러다 보니 너무 오버프레스로 카빙을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우연히 본 일본 라이딩 동영상을 보면서
'카빙턴에 있어서 강력한 프레스만이 답인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당연히 카빙을 하려면 적당한 데크의 기울기와 프레스를 주는 것이 맞고
이것에 따라 여러 자세들이 나오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자세나 프레스의 감을 따라하려고 했었지
데크와 몸의 기울기의 느낌을 따라하려고 노력했던 적은 없었던거 같다.
(자세 즉 몸의 기울기로 인해서 데크의 기울기가 형성되기 때문에 데크의 기울기라 말하는 것이 맞지않은가 싶으다...)
왜 기울기를 정확하게 주는 것이 중요한가?
힘의 로스가 적어지면서 더욱 정확한 카빙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울기는 아주 아주 정확한 기울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럼 반대로
왜 필요 이상의 프레스로 턴을 하는 이유는 무었일까?
연습부족, 턴의 방법을 몰라서 또는 데크 적응 부족 등으로 인해 정확게 카빙턴을 할 수 없고,
이 결과 정확한 각도(데크의 각도)와 적정한 프레스로 턴을 진행할 수가 없기 때문에
턴의 안정감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더 강력한 프레스로 엣지를 슬룹에 박음으로 자신의 부족한 턴의 안정감을 높이기 위함이 아닐까?
한마디로 '카빙턴의 미흡함을 강력한 프레스로 채운다.'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당연히 고수가 재미로 강력한 프레스 턴을 하는 경우는 예외다.
'미흡하다...'라는 소리는 '불필요한 힘이 들어간다.' 라는 말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모든 스포츠가
'정확한 부위에 정확한 힘을 이용하고 나머지 부분의 힘은 자연스럽게 뺀다'를 강조하듯이
오버 프레스가 들어간 턴의 습관은 어쩌면
정작 필요한 시기에 적정 프레스와 기울기를 주지 못하게 됨으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실력에 비해서 라이딩이 좋게 나오지 않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필요 이상의 프레스로 턴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적정한 프레스와 이상적인 각도로 턴을 하는 것이
힘의 로스를 줄이고 정확하게 턴을 하는 방법이 아닌가 싶다.
그런다면 어떻게 연습을 해야될까?
아마 초, 중급 슬룹으로 돌아가서 업다운이 들어가지 않은 턴부터 기울기를 신경쓰며 다시 턴 연습을 하는 것이 맞지 않은가 싶다...
결국 흔히 초고수들이 말하는
'업다운 없이 엣지로만 가는 연습을 많이해라'라는 말은
진정한 카빙턴의 정수가 아니었나 생각이 든다...
평소 라이딩보다는 트릭에 관심이 많은데 어쩌다가 이런저런 생각이 들어 주절주절 긁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