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드튜닝교육(히마존) 공유 2탄 [에지튜닝]
안녕하세요, 보드튜닝교육 공유 2탄입니다. ^__^;;
베이스의 구조나 왁싱의 종류 등은 아무래도 지루할 것 같아 어떤부분을 다루어야 할지 고민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1)튜닝상식(활주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과 2)에징의 순서편입니다.
1) 튜닝상식(활주력에 영향을 주는요소)
1. 장비선택 - 50%
⇒ 나에게 맞는 장비선택
2. 베이스소재 - 7%
⇒ 신터드베이스, 익스트루드베이스, 레이싱베이스등
3. 스키경직도 - 7%
⇒ 하드한 데크, 소프트한 데크
4. 베이스평탄도 - 6%
⇒ 에지정비가 잘 되어 있어도 베이스평탄도가 떨어지면 효과가 없음.
5. 에지정비 - 15%이상
⇒ 버가 없는 매끈하고 날카로운 에지
6. 베이스 스트럭쳐 - 10%이상
⇒ 설질에 맞는 스트럭쳐, 스트럭쳐의 유무
7. 왁스 - 5%
왁스를 잘해도 장비자체의 선택이 잘못되면 안됨.
활주력의 영향을 주는 각 요소의 비중은 측정이 어려우나, 상기 자료는 대한바이애슬론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외국인코치의 교육자료를 인용한 것이라고 합니다. 막연한 것 보다는 경험과 중요도를 숫자로 표기를 한 것이라 참고용으로 좋을 것 같아 올렸습니다
2) 에지튜닝 순서도
1. 녹, 버(burr)제거
⇒ 베이스에지와 사이드엣지의 교차부위에 버도 제거한다.
(이부위 때문에 자켓, 장갑이 찢어지고 손이 베이는 것이며, 버의 유무는 휴지 몇장을 겹쳐 해당부위를 문질렀을때 일부 찢어지는 경우, 제거해야 할 버가 있는것이므로 즉시 제거해야 함. - 에지가 잘 정비되어서 손이베거나 옷이 찢어지는게 절대 아님!! 잘 정비된 에지는 버가 없어 휴지를 문질러도 구멍이 나지 않아야함.) - 파일작업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만들어지는 버는 에지폴리싱단계에서 버를 제거한다
보드를 타면서 돌에 부딪히거나 충격을 주어 에지가 경화된 부분도 함께 제거한다.(파일소리가 틀림)
2. 베이스각 정비
⇒ 권장베이스에지 각도
-Wintersteiger사 기준 : 습설/신설/초급자 1~1.5도, 아이스/정설/상급 0.5~1도
-일본Campiglio사 기준 : 경기용 0.5도, 데몬, 인스트럭터용 1도, 일반용 1.5도
-Toko사 기준 : 남자선수 0.5도, 여자선수,쥬니어선수 0.5도, 레저 1~0도
(모글용은 생략)
베이스에지정비는 이번 교육에서 처음 들은 내용이었는데요, 보통 사람들이 에지를 자가 정비하는 경우 사이드에지만 정비하는 경우가 많은데, 베이스에지를 함께 정비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베이스에지정비를 하는 경우에 날이 잘 서있는 느낌이 훨씬 더 든다고 합니다.
하지만 베이스에지의 각도를 많이 주는 경우 아이스상태의 라이딩에서 불리함.
3. 사이드각 정비
⇒ 권장사이드에지 각도
-Wintersteiger사 기준 : 습설/신설/초급자 89도, 아이스/정설/상급 88도이하
-일본Campiglio사 기준 : 경기용 88도, 데몬, 인스트럭터용 88도, 일반용 88도
-Toko사 기준 : 남자선수 87도, 여자선수,쥬니어선수 88도, 숙련/레저 88~90도
(모글용은 생략)
4. 에지폴리싱
⇒ 다이아몬드 스톤사용, 앞서 언급한 에지의 테일에 있는 버를 꼭 제거한다.
5. 에지디튜닝
⇒ 접설면안쪽의 에지면을 무디게 하여 임의로 회전반경을 짧게 만드는 방법이며, 요령은 그라디언트 방법으로 하고 고속라이딩에는 불리함.
이상으로 간략하게 에지튜닝순서이구요, 사용공구와 세부사항은 생략하고 상식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편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조만간 다시 에지정비를 하러 교육장에 방문할 예정인데요, 이건 머 파일을 쥐는방법에 따라서도 에지정비의 품질의 차이가 난다고 하는데 하루 시간내어 잠깐 교육 받는다고 익힐수 있는 것이 아니더군요. ㅠ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