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소개를 먼저 하자면 용평을 근거지로 두고있고 2000년부터 라이딩만 팠습니다.
뭐 그렇다고 라이딩의 괴수는 아니고 나름 안정적으로 라이딩을 하는 중수정도 됩니다.
그린에서는 나름 카빙으로 날 박고 타는데, 골드만 넘어가면 엣지가 터져서 정신없습니다.
스스로 분석한 원인은 겁이 너무 많다는것!! ^^;;;;;;
뭐 실력도 별루면서 뭔 칼럼?? 이란 분이 많을텐데
실력이 별로라 더 많은 고민을 했고 그래서 초보자들에게는 꽤 효율적인 강습을 해 줬습니다.
이런 고민과 경험을 함께 나누고자 글을 쓰는것이니 너그러운 시선으로 봐 주시길...
본론으로 들어가서...
초보자 강습에서 가장 어려운게 무엇일까요???
전 보드위에서 넘어지는데 대한 두려움이라 봅니다.
그 두려움 때문에 보드를 신는순간 머리가 텅 비어버리며 아무것도 들리지 않게 됩니다.
거기에 몇번 역엣지 걸려 넘어지고 보면 맨붕이 오는건 당연하지요.
그러니 아주 쉬운 동작조차 못하고 배우는게 한없이 늘어지는겁니다.
결국, 그 두려움을 극복해야 하는데 보드위에서는 그게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일단 보드를 신지않고 부츠만 신고 넘어지는 연습을 합니다.
넘어지는 연습에서 중요한건 손을 짚지않는겁니다.
손이 뒤로가면 팔목에도 무리가 오고 충분히 주저앉지 못해서 엉덩이에 통증도 크게 느낄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므로 손을 짚지않고 넘어져도 아프지 않다는걸 확실히 인식시키도록 연습을 시킵니다.
뒤로 넘어지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1) 손을 정면으로 뻗고 제자리에 앉습니다. 이때 종아리와 허벅지가 완전히 밀착되어야 합니다.
2) 체중을 뒤로 빼면서 엉덩이 > 허리 > 등 의 순서로 몸을 굴려줍니다.
3) 위의 구분동작을 연결해서 연습하며 손이 뒤로 가지않고 통증이 없을때까지 연습합니다.
앞으로 넘어지기는 좀 더 어려운데
1) 손을 뻗고 제자리에 앉습니다. 뒤로 넘어지기와 같죠..
2) 체중을 앞으로 빼며 무릎 > 팔꿈치 > 주먹의 순으로 부드럽게 넘어집니다.
3) 위의 과정을 부드럽게 연결해서 넘어집니다.
이 넘어지기를 경사가 좀 있는곳에서 연습합니다.
경사가 없으면 넘어지는 각도가 커서 통증이 많이 옵니다. 그러므로 경사가 있으면 좋습니다.
또한, 뒤로 넘어지기를 먼저 연습해서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앞으로 넘어지기는 쉽지 않으므로 꼭 뒤부터 연습시키세요.
글로쓰니 좀 어려운데 다들 잘 아시리라 믿고 넘어갑니다.
이렇게 보드를 신지않고 넘어지는 연습을 어느정도 하냐면 3~40번 정도만 하면 어느정도 익숙해 집니다.
넘어지기를 너무 많이 연습하면 수강생이 지루해 하므로 좀 부족하더라도 한번에 너무 많이 시키진 말고
다음 슬로프 정상에 올라오면 그때 다시 시키세요. 그래야 수강생이 잘 따라옵니다.
이렇게 넘어지기 연습이 어느정도 되면 보드를 신고 일어나기를 시킵니다.
이때 넘어지기 연습을 안시켜도 중심을 못잡고 넘어지게 되는데 그때 보드없이 연습했던 자세가 나오도록
반복연습을 시켜주세요.
보드없이 연습이 잘 되엇다면 보드위에서 넘어지기도 잘 할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간단합니다.
초보자에게 우선 보드없이 넘어지는 방법을 충실히 가르치세요.
그 다음 보드를 신고 연습하면 아주 쉽게 보드위에 일어설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잘 수행할수록 넘어지는데 대한 두려움이 줄어들고 이는 향후 강습의 속도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다음편은 업다운과 종아리/무릎을 이용한 사이드 슬리핑!!
그 다음은 상체 로테이션을 이용한 1/4 턴 과 1/2 턴
마지막으로 연속턴과 프레스 연습 순으로 글을 쓰겠습니다.
오늘은 약속이 있어 이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