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뭐 직장생활이 만10년이 안되지만
겨우 이 곳이 두번째 회사이지만
처음회사에서도
두번째회사에서도
공통적으로 느끼는 '직분(직무상의 본분, 마땅히 하여야할 본분)에 관한 이야기
내가 겪은 경리분은
왜 사장이나 임원에게 티서비스하는 것을 못마땅해하는걸까
큰 회사라면 비서를 두고, 운전기사를 두고 하겠지만
그런 전담직원이 없다면 경리분이 하는 업무가 맞는것같은데..
왜 업무라고는 생각해보지 않는걸까
일을 떠나 모시는 상사에게 차한잔 서비스할 수 있는것 아닌가..
어느날 경리분이 나를 붙들고 묻더라
'너도 경리가 우습니?' 라고
우스운 사람이 티서비스하는게 아니라 직분 아닌가?
(오해할 여지가 있으므로 경리회계부서를 제외한 모든부서는
사업부서이며 외근/출장이 대부분)
회사가 이사를 하면서
어느 빌딩의 몇층을 임대해 쓰기 시작했는데
그 빌딩 관리사무소에 근무하시던 분에게
회사에서 뭔가 요청을 한 모양,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건물차원에서 해결해줘야할 문제였던듯
그런데 한다는 말이
'난 그런거 하는 사람이 아니다, 난 이 빌딩의 몇몇호의 주인이다.' 했단다.
관리사무소에 근무자는 달랑 세명,
두명은 교대로 주차관리하는 주차관리요원이고
상주자는 그 한분..
빌딩의 소유자이고 세입자이고를 떠나서
관리사무소에서 월급받으며 일하면
마땅히 해야할 일이 아닌가..?
그냥 떠들어봤습니다.
답답~ 해서....
'상식'이 너무 다르고 다양하네요
아님 내가 상식적이지 않은건가...
===============================================================
한 예를 든것에 너무 초점이 맞춰졌네요
뭐라해야하나,
회장, 사장, 임원 모두 비슷한 상식으로
본인의 커피는 본인이 내려마시고,
본인이 마신 컵은 본인이 설거지하고, 뭐 이렇다면 가장 이상적이겠으나
그런 분위기에서 근무하시는 분들, 부럽네요.
암튼간
그런 최상의 경우가 아닌 경우
운전을 전담하는 운전기사가 없는데 출퇴근시 운전을 요구할 경우나
비서가 없음에도 매일 새로 내린 커피를 마셔야겠단 임원이 있을경우
이럴경우 누가 해야하냐.. 란 얘기가 하고 싶었는데
경리회계총무인사부서를 제외한
나머지 부서는 사업부서로
외근과 출장이 잦다는 회사의 특성이 생략되다보니
오해가 있었나봅니다.
이런 부연설명이 붙는다면
좀 이해해주시려나..
그리고 직분이란 말은 제가 잘못선택한것같습니다.
차라리 예로 든게 티서비스다보니
예의나 예절?이 어울렸겠단 생각이 드네요.
반대의 의견 좋습니다.
많은, 다양한 의견 듣고
상식적인 사람으로 늙고싶은게 바램 중 하나거든요..
/뭐 상식적인 사람으로 살기위해서는
내가 상식적이 될게 아니라/너무나 다양하기에
내 상식과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려야겠단 잠정적 결론을 내리긴했지만...
아, 그리고
헝글 자게를 보면서
반대의 의견 달고 싶은 글이 있어도
모두 동조하는 댓글이라 선뜻 달지못한경우가 많은데..
저의 끄적임에는 반대의 글이 많다는게...
뭐 작문력이 부족한것도 있겠으나
내가 상식밖의 사람이었던건가....싶어 무서워지네요..
/주위에 또라이가 없다면 그 또라이가 너다, 이런것 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