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국 라파엘님의 2년전 토론글 입니다.

 

올해 다시 KASBI 활동이 두드러지고 있기에 다시 한번 문제제기 해봅니다.

 

-------------------------------------------------------------------

KASBI, 보드와 래프팅, 바람의 전설 (현재는 바람이야기)... 라이딩을 보시고 그냥 피식 웃고 끝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조금만 그 속을 보면 웃고 끝내야 하는 문제인가? 싶습니다.

지금 KASBI(바람의 전설이 주축이 된 '한국 스노우보드 강사협회'라는 단체-사단법인)의 문제는 초보에게 보드 기초 가르치는 것의 문제뿐만 아닙니다.

바람의 전설 혼자서 초보를 가르친다고 생각해보세요. 그 수는 얼마 안됩니다.
동호회에서 초보를 가르친다고 생각해보세요. 올시즌에도 버스 2대가  매주 동원된 것으로 압니다.
그러나 더 큰 것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자격증 발급으로 인한 강사의 배출입니다.
올해 KASBI에서 발급한 보드 강사 자격증이 얼마나 되시는지 아십니까?
www.kasbi.kr에 의하면 1,2,3차 보드 강사 자격 시험이 '매진'되었다고 합니다.
스키타신다고 수수 방관모드로 하시겠다고요?
08/09 시즌에는 스키 강사 자격증도 발급 했습니다. 올해 무사히(?) 지나갔으니 내년에 다시 부활할 수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이 그 자격을 받으러 비싼 시험료 내어가면서 갔을까요?
바로 각 대학의 '레저' 관련, '생활체육' 관련 학과 사람들이 단체로 자격증 시험을 보러 갔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자격증 취득이 쉽다는 것이지요.
우리나라 '레저', '생활체육'학과에 스키/스노우보드 관련 교수가 몇명정도입니까? 아주 극소수 입니다.
어짜피 자기 전공도 아니라서 내용을 잘 모르고, 사단법인에서 내는 '공인'자격증이기 때문에 이력서에도 적기 편합니다.
그래서 학생들이 따러 간다고 할때 말릴 교수가 몇명이나 있겠습니까?

자격증은 자격증이라고 하고 이력서에 한줄 더 넣었다고 봅시다.
그 학생이 유아/어린이 생활 체육 종합 교육 기관에 취업했다고 가정하고, 봄/여름/가을 동안 다른 스포츠 가르치다가
겨울에 보드 가르치라고 하면?  KASBI의 컬리큘럼이 정답이고, 그대로 가르치게 됩니다.
그 강사에게 배운 우리 아이들이나 우리 이웃 사람들은? 당연히 KASBI의 컬리큘럼이 정답이 되게 되는 것이지요.

물론 KASBI나 바람의 전설님이 너무 시대를 앞서가서(?) 박해(?)와 모함(?)을 받는다고 생각 할수도 있을 겁니다. (그쪽 side의 분들의 주장입니다.)
지금까지, 박해와 모함을 받았던 시대를 앞서간 사람들은 '실력'과 '증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KASBI나 바람의 전설, 보드와 래프팅쪽에서 보여준 '실력'과 '증거'들은 수준 이하였고,
음란, 퇴폐성 옐로우 페이퍼의 수준도 보여주었습니다.

그쪽 주장대로 최고의 라이딩 실력을 자랑한다면, 백컨트리나 보더크로스 대회, GS, SL 등 최고의 라이딩 실력을 자랑할 만한 대회는 많습니다.
그것도 아니라면 예전 모 회사의 '라이딩 프로'처럼 일반 슬로프에서 멋지게 타는 모습이라도 보여준다면, 인정하겠습니다만,
지금 보드와 래프팅이나 카스비쪽에서 나온 동영상들 보면 수준이하이고.. (팔 동작의 제어가 전혀 안되고,  xx턴 시범들에는 일관성이 없지요.)
무슨 무림 비기인지, 할수 없어서 공개 안하는 것인지 몰라도 이상한 이름의 턴들은 슬로프에서만 공개한다고 하고 있고..
턴들의 정의를 내렸는데 저 것이 턴의 정의인지 참 오묘합니다. (제가 이해력이 모자라서 그런지...T_T)

바람의 전설님 컬럼같이 좀 길어서 죄송합니다만... 잘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과연 이 문제가 그냥 블랙 코미디로 끝낼 것인가?

그럼 이만.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4533
1095 슬로프 음주단속 [50] 장어구이 2014-12-20 3 7529
1094 아는만큼보인다와 실력의 상관관계 [36] 냥냥2 2014-12-18   7079
1093 군필후,사회생활때 압존법은? [13] 고니농 2014-12-17   4054
1092 싼장비로 트릭구사 카빙구사 얼마나 걸릴까요? [47] 오래된보더 2014-12-16   7813
1091 리프트탈때 옆사람한테 말걸기... [44] 표짱님 2014-12-13   10373
1090 시즌버스 좌석에 장비를 왜 싣죠? [20] 뽈리vvv 2014-12-13   7744
1089 프로의 칭호, 프로의 조건, 프로의 덕목 [25] GATSBY 2014-12-11 8 6254
1088 안전장비 및 스키장 규제 [36] 국맨 2014-12-07 5 4996
1087 해머헤드 데크는 언제부터 사용이 가능한가?! [67] X-ray 2014-12-07 9 19993
1086 여친에게의 강습... 직접? 아니면 강사? [101] X-ray 2014-12-04   10260
1085 테크니컬 라이딩의 정의에 대해 [24] 카빙낙엽 2014-12-02 5 9817
1084 안전장비 착용 의무화 [73] 알나슬 2014-11-28 11 6689
1083 카풀 블랙리스트 에 대하여 [33] 살얼음_870204 2014-11-26 10 9797
1082 슬로프 중앙에 서있다가 사고 과실은?? [45] 치킨라이딩 2014-11-25   6185
1081 스키장에서의 개인소지 스피커 음량 크기에 대하여... [43] 우리별이름... 2014-11-19   7092
1080 1415 휘팍 잠실역 출발 버스 없어지는 것 확정건에 대해서 [13] 이건뭐임 2014-11-18   4410
1079 강사로 잘먹고 잘 살 수 있을까요? [27] 빵쿠 2014-11-16   8441
» KASBI 문제가 그냥 웃고 끝낼 문제인가? [37] 테리에파우더 2014-11-11 12 9427
1077 스키장 고르실때 슬로프 길이 vs 설질 [77] 헐허러헐헐 2014-10-31   9727
1076 데크 바인딩 부츠 센터링 어떻게 생각들하시나요? [65] BUGATTI 2014-10-29 4 8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