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라이딩을 위한 보더의 필수품 처럼 되어버린 카본하이백.....
불편한 진실을 말해봅시다.
카본하이백을 적용한 바인딩을 착용하고 타면 안되던 힐턴이 잘된다.
카본하이백을 적용한 바인딩은 경량화가 체감효과가 있을정도로 가볍다.
동의 하십니까?
개인적 느낌으로는....
경량화 된 바인딩이 조작성이 더 안좋고.....
힘전달이 더 안좋고 딱딱한 하이백은 너무 예민해서 안하니만 못하다라는....
비싸기만 할뿐.... 실용성은 떨어진다에 한표 던집니다.
물론 좀 긴시간의 자세고정하는 카빙롱턴에서는 좋겠지만.....
그거말고는? 뭐 있나요?
퀀텀과 칼리버의 지금 평가랄까요?
마치 알파인쪽의 금속바인딩과 플라스틱 바인딩의 논란거리 같은데요....
유격이 있고 없고에 따른 논란은 있어왔지만.....
유격이 없는 금속바인딩들 거의 다 사라졌습니다.
새로나온 알파인 금속바인딩들 또한 충격완화 고무소재를 다 넣었고...
그걸로 높이 조절을 해서 최소한의 유격을 갖게 만들더군요....
프리쪽에서도 마찬가지로...
통짜 카본하이백이 도입된 시기부터
묻고 답하기에 힐턴 망가졌다는 글이 참 많더군요...
그런데 대부분 몸뚱이를 원망하지 카본하이백의 성질에 대한 점을 분석하진 않구요...
과연 저주받은 몸뚱이가 망가진 걸까요 어떤 원인때문에 하지 못하는 걸까요?
오히려 스폰받아서 딱딱하고 최소한의 유격도 없이 움직이는 카본하이백 적용 바인딩을
신고 영상을 멋있게 찍는 분들이 대단해 보이더군요... 프로는 프로구나.... 그러나 과연 편하게 라이딩 하셨을까요?
그런데 대부분 카빙롱턴인 점은....ㄷㄷㄷ
과연 가벼운 바인딩 베이스 플레이트가 반응성이 즉각적일까요?
700g이다 800g이다 경량화에 브랜드의 모든 기술력이 결집되고 그로인해
가격이 올라가는게 정상일까요?
제 보기엔 마케팅 포인트일뿐 입니다.
논란이 있겠죠...
비싼게 좋은거다...
비싼만큼 값어치 한다...
뭐 어떤 라이딩 집단에서는 하이백을 자르기도 합니다.
그들의 논리가 틀리진 않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점점단단해 져가고 민감하여 자신의 라이딩에 의도치 않게 개입하는 카본하이백은 잘라야 할 대상
또는 있지 말아야 할 공간에 있는 이물질일테지요... 이해합니다.
더불어 바인딩의 본질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면서....
55만원에 산 바인딩을 중고거래로 날리면서.....
13만원에 산 떠나보내버린 이이월 바인딩을 그리워해 보는 어제가 참 기분이.....
뭣같더군요....
특정용도 특정한 시간에 발휘되는 성능은...
라이딩 99% 인 저한테도 참 안좋은 악영향으로 다가옵니다.
저는 시시각각 변하는 라이딩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바인딩이 더 정겹습니다
저는 제 몸뚱이를 탓하기전.....
제게 맞았던 바인딩과 같은 소재 같은 메카니즘으로 구성된 바인딩으로 바꾸거나
비슷한 성질의 바인딩을 알아봅니다.
ps/ 몸뚱이가 싸구련가봐요...ㅋㅋ 옛날거나 싼게 제 몸에 잘맞고 흡족하네요... ㅋㅋ
그냥 저는 그렇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