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이용하다 보면
연령 성별 지역에 상관없이 참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각각의 사람들이 글을 쓰는 스타일이 다를 수는 있겠지만,
한글을 바로 쓰려는 노력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맞춤법이 틀리고 글자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
한글이 쉬우면서도 정말 어려운 언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모국어로 사용하면서도 알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는 것이죠.
그래서 틀리는 것을 가지고 누구를 탓하거나 나무라자는 것이 아닙니다.
저도 역시 잘 모르는 한글이 있을 수 있고, 틀릴 수도 있을테니까요.
게시판, 특히 자유게시판에 올라온 글들을 읽다보면
한참을 보다가도 모르겠어서
소리내서 읽으면 그제서야 이해가 되는 글들이 몇몇 있습니다.
발음나는대로, 자기 혼자 편한대로 쓰자면
사회 구성원이 함께 약속하고 공유하는 "언어"의 특성은 필요없게 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최소한의 틀은 잡아주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제가 2000년도에
인터넷 사용의 확산과 언어파괴에 대한 주제로 대입 논술시험을 치른 적이 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10대들의 장난기어린 채팅용어 정도였던 것들이
이제는 한참을 들여다봐도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로 변해버렸습니다.
이미 알고 있던 기본적인 맞춤법마저 외면한다면
우리 한글이 너무 불쌍해지지 않겠습니까...
초등학교 시절 받아쓰기를 하면서 또박또박 써내려가던 그 추억을 떠올리면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규칙(여기서는 문법이나 맞춤법이라고 해도 무방하겠습니다)을
지키면 좋겠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보태기.
제가 아는 어떤 분께서는
입사 면접을 보실 때
영어의 알파벳 수를 물으신답니다.
그러면 대부분의 면접자들은 "26자"라고 정확히 답변을 한답니다.
그리고나서 한글 자음과 모음의 갯수가 몇 개인지 또 질문을 하시면
대부분의 면접자들은 정확하게 대답을 하지 못한다고 하더군요.
영어는 문법이든, 독해든, 회화든 그렇게들 열심히 공부하시면서
한글은 왜 그렇게들 외면하시는지...
영어의 1/3만큼이라도 바로 알고 바로 쓰려는 노력을 하면 좋겠습니다.
주절주절 두서 없는 글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