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_snow_good_730.jpg


 

이전에는 퓨쳐 스노보드의 스펙 리뷰에 대해서 적었고 이번에는 그 스펙을 기본으로 하는 트윈팁 데크 셋팅 리뷰입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새 데크인 퓨쳐 데크를 가지고 개인에 맞는 적절한 셋팅을 하는 방법을 적어봅니다.


데크는 퓨쳐 트윈팁이지만기본을 이해하시면 다른 데크에도 쉽게 적용 가능하시리라 믿습니다.


또 대상은 라이딩 또는 파이프 셋팅이지만다른 종목에도 적용 가능하실 겁니다.

 



 

목차


0.    고려해야 할 퓨쳐 데크 스펙


1.    센터 포지션


2.    바인딩 각도에 따른 셋백


3.    디튠


4.    왁싱


5.    56cm 셋팅과 58cm 셋팅의 장단점

 







 

0.   고려해야 할 퓨쳐 데크 스펙

 


+ 트윈팁:


DSCF8812.jpg

노즈 테일 길이가 똑같기 때문에


스탠스 앵글이 앞, 뒤가 다른 셋팅은 노즈 테일의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트윈팁에서는 약간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 넓은 스탠스 넓이:


DSCF8816.jpg

54~66cm입니다. 상당히 넓은 편이죠.

 







 

+ 단단한 노즈 테일:


파크나 파이프에서는 장점으로 큰 스케일을 내기 좋습니다.


셋팅으로 어느 정도 플렉스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풀랩 에지:


DSCF8825.jpg

디튠 할 곳이 많죠. 전 베이스 부분도 조금 디튠하곤 합니다. (base bevel)

 

 







+ 신터드 7500 베이스:


DSCF8838.jpg

빠른 속도에 비해 관리의 필요성이 있습니다.


퓨쳐 데크는 베이스 색이 검정이어서 왁스가 마모된 것을 바로 알 수 있어서 좋습니다.

 

 

 








 

1.   데크 바인딩 센터 포지션

 

이 부분은 데크 만의 셋팅이 아닌 바인딩, 부츠, 그리고 데크의 조화를 맞추어 주는 셋팅입니다.


제일 중요한 셋팅이라고 생각해서 데크 리뷰는 아니지만 넣었습니다.

 

힐 쪽이 많이 나와 있으면, 힐 턴 프레스를 주었을 때 힘이 데크가 아닌 에지 밖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데크가 카빙 시 휘지 않게 되므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토 에지 턴에는 힘 전달이 너무 강하게 들어가 턴 후 회복이 느려져 의도하지 않게 감기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토 부분이 나와 있는 경우는 위와 반대입니다.




 

DSCF8843.jpg

바인딩을 디스크 위에서 2번째에 셋팅했더니 힐이 나와 있는 상태입니다. 한 칸을 올립니다.

 










DSCF8840.jpg

디스크 한칸 당 약 10mm정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바인딩은 약 250~290mm 에 맟추어 나왔겠네요





 





DSCF8853.jpg

260짜리 부츠인데, 이 것은 한칸을 위로 올리니 딱 맞습니다


바인딩이 라지라면 보통 265~275cm정도가 센터에 맞습니다.









 


DSCF8849.jpg

아래서 양손으로 만져 보는 것이 가장 확실 합니다.

 









 

DSCF8879.jpg

앞 부분은 토 스트랩을 푸시고 하시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합니다.

 









hp-crash.jpg

이런 자세로 슬로프에서 친구분들께 봐달라고 하는 것도 좋습니다. ^^


 

 

시즌 전에 꼭 맞추시고, 스키장에서도 친구분께 다리를 들어 균형을 맞추어 보세요. 


맞추기 전과 완전히 다른 안정감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잘 안 맞게 타셨던 분들은, 센터 포지션만 맞추셔도 실력이 확 올라간 느낌이 오실 겁니다.



 


스노보드 셋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니 바인딩, 부츠를 바꾸셨을 때 꼭 하셔야 합니다.

 

 









 

2.   셋백 조정(바인딩 각도와 데크 쉐입 그리고 홀 위치)

 

데크 쉐입에는 이전에 설명한 것 처럼 트윈과 디렉셔널 2가지 방식이 있는데, 퓨처는 트윈 데크입니다.


트윈 데크는 스케이트 보드 같이 양면이 같습니다.


이 쉐입은 앞,뒤가 똑 같은 덕 스탠스에는 최적화 되어 있지만,


바인딩 각도가 다를 시 앞과 뒤의 힘의 분배가 조금 다르게 되므로 조절합니다.








 

hole58cm.jpg

위 사진은 퓨쳐의 58cm의 기본 셋팅입니다.











 

디폴트 스탠스: 0 / 0  또는  양발이 같은 덕 스탠스(12 / -12) 일 때

DSCF8867.jpg

0 0도에서는 앞 뒤가 약 39.5cm로 똑 같은 길이를 가지게 됩니다.









 


DSCF8869.jpg

6도에서는 약 38.9cm 입니다.










 


DSCF8872.jpg

18도에서는 약 37.7cm


즉 바인딩의 각도 1도를 줄 때 1mm씩 노즈가 짧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바인딩 각도가 12 / -12같이 정확하게 같은 덕 스탠스는 상관이 없지만


서로 다른 바인딩 각도에서는 노즈 테일 길이가 다르게 됩니다.






 

 




제 스탠스가 18 / -3이니 15도 차이고 1.5cm 노즈가 짧겠네요.


이를 위해서 양발 모두 셋백을 줍니다. 녹색 위치에서 파란색같이 옮겨 봅니다.


 

hole58cmsetback4cm.jpg

58cm를 맞추기 위해서 노즈 테일을 모두 옮기니


2cm(노즈) + 2cm(테일) = 4cm을 뒤로 밀게 되었습니다.

 














bindinghole3.jpg

최종적으로는 이렇게 세미디렉셔널 같이 셋팅이 되네요.


라이딩에 최적은 데크 사이드컷의 센터에 놓는 것이므로 노즈만 2cm 셋백(56cm)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조정해주시면, 카빙 시 무게중심이 센터로 이동되어 데크가 밀리는 감을 조금이나마 줄이실 수 있으십니다.











 


아래 사진은 58cm 셋팅으로 맞춘 후 측정을 한 결과 입니다.DSCF8886.jpg

테일 부분 37.2 cm

 















DSCF8887.jpg

노즈 부분 약 39.7cm

 


 

2.5cm 차이로 센터 중심 1.25cm 셋백이 됩니다.

 

 












 

3.   풀랩에지 디튠


디튠이 되어 있지 않으면, 에지 체인지시 역에지의 두려움이 생겨서 과감성이 떨어지고


턴의 예민함을 가져와서 디튠을 꼭 하는 편입니다


디튠을 하게 되면, 라이딩에서 조금 밀리는 감이나 눕는 카빙은 할 수 없지만


파크나 파이프에서는 베이스 쓰기 좋아서 디튠한 셋팅을 더 좋아합니다.

 



detune.jpg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테이프로 감고, 줄로 그 위를 모두 둥그렇게 갈아 버립니다.

 






주의 하실 것은 갈리는 곳이 contact 부분(베이스 시작 부분)을 넘어가면,


에지 사용에 큰 영향이 있으니 적게는 유효에지까지 많게는 설면 접촉 부분까지 하시면 됩니다.








필요에 의하여 베이스 부분 에지도 좀 다듬어 줍니다.


Base bevel이라고 하는데, 베이스가 갈리는 것에 맞추는 것도 있습니다.

 


새 데크를 타게 되면 꼭 하곤 합니다.

 

 










4.   왁싱


퓨쳐 데크 베이스는는 신터드 7500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습설이나 슬러쉬에서 빠른 베이스지만, 빠른 만큼 마찰에는 약하므로 매일 왁싱을 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저는 핫 왁싱 후 스크래핑을 하여 벗겨내지 않는데


3~5번을 위한 빠른 라이딩 보다는 하루를 탈 수 있는 오랜 기간의 베이스보호와 활주 시간을 더 중요시 합니다.

 

DSCF8890.jpg

위 사진과 같이 스트럭쳐가 보일 정도로 얇게 쓱쓱 바른 후, 스크래핑 없이 타곤 합니다.


스크래핑, 솔질 한 것보다 속력은 덜 나지만, 베이스 보호에 중점을 두고 타곤 합니다.


왁스 온도도 잘 맞는 것이나 -10 ~ +5 도에서 유니버셜 왁스를 사용하시면, 벗기지 않아도 속력은 잘 납니다.

 



대신 매일하고 나가시는 것이 베이스 보호에는 중요합니다. 매일 매일 해주세요.

 

 













 

5.    56cm 셋팅과 58cm 셋팅의 장단점



제 스탠스 앵글인 18 / -3에서의 넓이 비교 입니다.

 






54cm 셋팅


hole58cm.jpg

라이딩의 비중을 줄인 키커를 위한 셋팅입니다.


전 이 셋팅을 많이 타보지 않아서 장단점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키커에서 스핀 시 말리지 않아서 좋습니다.

 

 















56cm 셋팅


bindinghole56cm.jpg

+ 장점: 라이딩에 최적화 / 견고한 에지 그립력, / 노즈 테일의 긴 길이를 이용한 높은 팝


- 단점: 에지 그립력이 너무 강해서 키커나 파이프 트랜지션에서 말리는 경우가 생긴다.


* 총평: 이 셋팅으로 라이딩 해보시면 라이딩 정말 잘 됩니다


퓨쳐 데크가 단단하며 사이드컷도 크고 유효에지가 약간 긴 편이어서 라이딩에서 강합니다


특히 아이스에서 견고한 카빙이 됩니다.

 
















58cm 셋팅


bindinghole58cm.jpg

+ 장점: 올라운드 / 좋은 데크 컨트롤


- 단점: 카빙 시 약간 밀릴 수 있다.


* 총평: 저는 박스, 키커, 파이프, 라이딩을 모두 즐기기 때문에 에지가 강한 것 보다는 이 셋팅이 좋습니다


약간 슬립이 생기니 데크 컨트롤이 훨 좋아요.

 

 










 



 

현재까지 라이딩하면서 퓨쳐 데크에 맞는 셋팅 값을 찾은 것을 적었습니다



이것들은 해외 파크 파이프라이더들을 유심히 관찰하거나 해외 영상에서 나온 것들에서 아이디어를 가져 온 것도 있어요


예를 들어 숀화이트는 디렉셔널을 타는데


파이프에서는 디렉셔널 셋팅을 하고 슬로프스타일에서는 트윈팁처럼 앞 바인딩을 앞으로 밉니다


고쿠보 역시 그렇구요.

 



위의 정보는 퓨쳐를 5일 타면서 설정한 개인 셋팅이니 응용하셔서 다른 데크에도 적용 가능 하실 거에요.

 







결론은, 개인적으로는 각 회사마다 데크 특성이 있지만, 셋팅으로 모두 조정하니 조금씩 적용하시면서 타보세요


자신의 셋팅을 찾게 되실 때, 실력이 한 층 업그레이드 된다고 믿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fix_fix_PC310035.JPG


댓글 '15'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장비전반 [장비사용기 이용안내] Rider 2018-01-11 9 28218
4522 데크 14-15 Zooyork Snow The Fader LS 156 사용기 file [1] 디렉JK 2015-01-14 2 4814
4521 부츠 1415 32 울트라라이트2 ~ 부제: 가장 가벼운... file [9] X-ray 2015-01-13 10 8374
4520 데크 14/15 스키티즈 인플릭트 싱글캠버 154 (가... file [8] 몬두 2015-01-11 3 8756
4519 데크 1415 MONUMENT 777 151 사용기 file [3] JayD 2015-01-11 1 5552
4518 데크 14/15 NEVERSUMMER RIPSAW 데크 사용기 file [15] 파워샷맨 2015-01-10 4 8007
4517 데크 [프리뷰]15/16 Alloy B-Bomb(비범) 156 샘플 file [9] GATSBY 2015-01-09 5 5897
4516 부츠 14/15 32 팀투 265 vs 14/15 나이트로 팀 tl... file [7] 백자 2015-01-08 1 12096
4515 데크 15/16 Alloy Sniper 161 (샘플 개봉기) file [74] GATSBY 2015-01-08 10 8512
4514 데크 1415 NEVERSUMMER CHAIRMAN 160 사용기 file [10] Zeppelin84 2015-01-07 1 7242
4513 데크 1415 ROME ANTHEM 159 시승기 [31] 시영군 2015-01-06 3 13620
4512 데크 1415 ROME BUTTERKNIFE TEST [2] JUNGINHA 2015-01-06 2 4648
» 데크 퓨쳐 스노보드리뷰(2of7): 트윈팁 셋팅 방법 file [15] Jacx 2015-01-05 4 6719
4510 데크 2번째 시승기 2탄 1415 [SKURUS/스크러스]데... file [7] 2015-01-05 9 6162
4509 바인딩 [리뷰+사용기]14/15 Union Ultra F/C 바인딩 file [20] GATSBY 2015-01-05 5 8030
4508 데크 1415 Yonex cannonball 160 1달 사용기... file [31] 데크야보드타자 2015-01-03 7 8134
4507 고글 1415 poc cornea goggle 개봉 및 착용기 피... file [5] hungryguy 2015-01-03   5999
4506 데크 1415 volkl squad prime 개봉기 및 설명 뵐... file [10] hungryguy 2015-01-03   9542
4505 개봉기 롬 에이전트 락커155 & 롬 타가 바인딩sm file 중고나라 2015-01-02   9351
4504 데크 1415 [TORQREX/토크렉스] UNICORN GLASS POP... file [1] 언드그라운더 2015-01-02 1 6311
4503 장비전반 양식 불일치시 잠금처리!!!! [5] 헝그리사진첩 2015-01-01 1 26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