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경력도 얼마 되지 않았고, 용어나 이론쪽은 더더욱이 약합니다만,

제나름의 고민과 실험에 의한 결과를 공유하여 저와같은 초보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만약 제가 틀려서 다른분들께 악영향을 끼칠것 같으면 댓글로 질타 부탁드립니다.

그 첫번째 주제는 스텐스와 프레스의 관계 입니다.  100% 개인의 견해 및 실험 결과임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의문점.

-유명 라이더들의 스펙을 보면서 와이드 스텐스와 내로우 스텐스를 타는 이유를 알고 싶었다.(참고사항 본인 spec 175/68, deck 158)


2. 실험 진행.

 case1 : 스텐스를 좁게 가져갔을 경우(33/21 50cm)

 결과          1. 스텐스가 좁아짐에 따라 보다 열려있고, 높은 neutral position 이 형성된다.

                   -> 높은 position 에 의해  lean in-out 이 용이해진다.

                   2. 1에 의해 힐사이드와 토사이드의 밸런스가 좋아진다.(장점)

                   -> 앞 뒤 lean 이 아닌, 좌우 lean 으로 턴을 시작하는 느낌이 강해진다.

                        왼 어깨를 내리면 힐턴 오른어꺠를 내리면, 토턴이 시작된다.

                        레귤러기준 왼발을 힐 사이드, 오른발을 토사이드쪽으로 센터링 한다면 효과는 배가된다.

                   3. 힘의 작용점이 deck 의 중앙으로 몰리기에 nose 및 tail 에 직접 press 전가가 어렵다.(단점)

                       ->정교한 엣징과 프레싱이 필요하다. 안그러면 노즈 가 털리거나 테일이 돌기 쉽다.

                   4. 셋팅 특성상 강제로 열린 포지션이고 업다운의 폭이 크므로

                        멋부리기 좋아하는 분들은 큰 퍼포먼스를 표현할 수 있다.

                      -> 엣징 후 프레싱 시 설면이 내 왼손에 바로 닿아 있다.(레귤러 힐턴 기준)

case2: 스텐스를 넓게 가져갔을경우(33/12 56cm)

                    1. 스텐스가 넓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닫혀잇고 낮은 neutral position 이 형성된다.

                    2. 좁은 스텐스에 비해서는 힐과 토의 턴 밸런스가 좋지 않다.(단점)

                    -> 쉽게 표현하자면 좁은 스텐스는 거의 완전히 열린포지션으로 좌우가 매우 비슷,

                        넓은 스텐스는 대각선으로 열린 포지션으로 좌우 다소 차이가 남.

                     3.힘의 작용점이 deck 의 양끝에 있으므로 직접적인 press 전가가 가능함.

                     -> 다소 사기같은 느낌, 내로우 스텐스 일땐 조금만 틀려도 털렸는데

                         와이드 스텐스 일땐 대충 막 감아도 버텨주는 느낌이 강함.

                     4.다소 닫힌 position 에서 오는 힐턴의 한계가 느껴짐.

                        힐턴에서 프레싱 시 (상대적으로!!) deck 밖으로 중심이 나갈수밖에 없음.

                         -> 기타 테크닉으로 극복을 하시겠지만.


3.결론

   1)카빙턴에 있어서 넓은게 유리, 좁은게 유리 하다는건 없고 각자 특성이 있다.

  2)그날그날 설질의 컨디션에 따라 스텐스 셋팅을 다르게하면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끌어낼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느낀점 : 눈이 강할땐 와이드, 약할땐 내로우)

  3)nutral position 은 누군가의 지적을 최대한 배재하자.

      지극히 개인적인 포지션이고 여기서 중요한건 중립자세에서 데크에 로테이션이 들어가면 불리하다.

      누군가가 덜 열렸다 너무 열렸다고 지적한다 해서 고칠 필요가 없는것 같다.

      나의 기본자세는 나의 체형과 셋팅에 밀접하지 누군가가 조언해줄 사항은 아닌것 같다.

      ->저의 경우 직활강시 로테이션이나 토션이 최대한 들어가지 않고 편한 자세를 중립자세로 봅니다.


이상 첫번째 글 입니다.(칼럼이라고 하기엔 너무 취약하기에...)

제 의견이 틀렸다면 저와 다른 의견을 써주시면 제가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34560
2854 기술(테크닉) 뻙큐멘터리2 - 힐턴편(당신의 상체는 안녕하... file [13] 작살러버 2015-02-11 10 9651
2853 초보를 위한 강좌 쌩초보의 알파인보드 독학 입문기 file [3] Dyonisus 2015-02-11 7 14440
2852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1. 충돌하는 턴 file [71] Lunatrix 2015-02-10 96 25210
2851 장비 튜닝 못쓰는 바인딩을 이용한 부츠벨트 만들기 [11] 검은돼지 2015-02-08 2 7740
2850 기술(테크닉) 다운을 하는 이유는 기울기를 더 주기 위해... file [8] 백표범 2015-02-05 4 8576
2849 기술(테크닉) 독학이라고 쓰고 연구라고 읽는다.#2 DOWN U... [6] BORNCARVER 2015-01-29 6 4770
2848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이란" 쉽게 짧게 이것만 이해하면 99% ... [13] 심장이통통 2015-01-24 4 10293
» 기술(테크닉) 독학이라고 쓰고 연구라고 읽는다. #1 스탠... [11] CHANCHANE 2015-01-21 9 8631
2846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1108
2845 장비 튜닝 정통 열성형 이너 성형법 [7] guycool 2015-01-17 2 6921
2844 장비 관련 학동 투어중 라이딩용/프리스타일용 플렉스 ... secret [40] GATSBY 2015-01-14 19 5847
2843 장비 관련 토션, 토셔날 플렉스 Tosional Flex [3] Akapoet 2015-01-06 6 6013
2842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2. 토션의 발생 file [20] Lunatrix 2015-01-01 15 11128
2841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1. 토션의 사용 file [17] Lunatrix 2014-12-30 33 16946
2840 의학,부상,사고 보드(스키) 보험보다 우선해야 할 것. [12] 보린 2014-12-13 7 8812
2839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케이팅못할때 리프트타기 file [10] 허니듀 2014-12-11   10970
2838 장비 관련 바인딩 전용드라이버를 알아보자 file [12] 빨간단무지 2014-12-09 8 11990
2837 기타 태어날때 부터 갖고 있는 자신의 타입 알아보기 [16] Retro아톰 2014-12-08 9 13521
2836 장비 관련 데크 길이 선택 하기 secret [32] GATSBY 2014-12-07 31 8734
2835 장비 튜닝 열풍기 왁싱 데크 온도 측정 결과 file [4] 침묵~~ 2014-12-03 3 8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