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경력도 얼마 되지 않았고, 용어나 이론쪽은 더더욱이 약합니다만,
제나름의 고민과 실험에 의한 결과를 공유하여 저와같은 초보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만약 제가 틀려서 다른분들께 악영향을 끼칠것 같으면 댓글로 질타 부탁드립니다.
그 첫번째 주제는 스텐스와 프레스의 관계 입니다. 100% 개인의 견해 및 실험 결과임을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의문점.
-유명 라이더들의 스펙을 보면서 와이드 스텐스와 내로우 스텐스를 타는 이유를 알고 싶었다.(참고사항 본인 spec 175/68, deck 158)
2. 실험 진행.
case1 : 스텐스를 좁게 가져갔을 경우(33/21 50cm)
결과 1. 스텐스가 좁아짐에 따라 보다 열려있고, 높은 neutral position 이 형성된다.
-> 높은 position 에 의해 lean in-out 이 용이해진다.
2. 1에 의해 힐사이드와 토사이드의 밸런스가 좋아진다.(장점)
-> 앞 뒤 lean 이 아닌, 좌우 lean 으로 턴을 시작하는 느낌이 강해진다.
왼 어깨를 내리면 힐턴 오른어꺠를 내리면, 토턴이 시작된다.
레귤러기준 왼발을 힐 사이드, 오른발을 토사이드쪽으로 센터링 한다면 효과는 배가된다.
3. 힘의 작용점이 deck 의 중앙으로 몰리기에 nose 및 tail 에 직접 press 전가가 어렵다.(단점)
->정교한 엣징과 프레싱이 필요하다. 안그러면 노즈 가 털리거나 테일이 돌기 쉽다.
4. 셋팅 특성상 강제로 열린 포지션이고 업다운의 폭이 크므로
멋부리기 좋아하는 분들은 큰 퍼포먼스를 표현할 수 있다.
-> 엣징 후 프레싱 시 설면이 내 왼손에 바로 닿아 있다.(레귤러 힐턴 기준)
case2: 스텐스를 넓게 가져갔을경우(33/12 56cm)
1. 스텐스가 넓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닫혀잇고 낮은 neutral position 이 형성된다.
2. 좁은 스텐스에 비해서는 힐과 토의 턴 밸런스가 좋지 않다.(단점)
-> 쉽게 표현하자면 좁은 스텐스는 거의 완전히 열린포지션으로 좌우가 매우 비슷,
넓은 스텐스는 대각선으로 열린 포지션으로 좌우 다소 차이가 남.
3.힘의 작용점이 deck 의 양끝에 있으므로 직접적인 press 전가가 가능함.
-> 다소 사기같은 느낌, 내로우 스텐스 일땐 조금만 틀려도 털렸는데
와이드 스텐스 일땐 대충 막 감아도 버텨주는 느낌이 강함.
4.다소 닫힌 position 에서 오는 힐턴의 한계가 느껴짐.
힐턴에서 프레싱 시 (상대적으로!!) deck 밖으로 중심이 나갈수밖에 없음.
-> 기타 테크닉으로 극복을 하시겠지만.
3.결론
1)카빙턴에 있어서 넓은게 유리, 좁은게 유리 하다는건 없고 각자 특성이 있다.
2)그날그날 설질의 컨디션에 따라 스텐스 셋팅을 다르게하면 최대한의 퍼포먼스를 끌어낼 수 있다.
(필자의 경우 느낀점 : 눈이 강할땐 와이드, 약할땐 내로우)
3)nutral position 은 누군가의 지적을 최대한 배재하자.
지극히 개인적인 포지션이고 여기서 중요한건 중립자세에서 데크에 로테이션이 들어가면 불리하다.
누군가가 덜 열렸다 너무 열렸다고 지적한다 해서 고칠 필요가 없는것 같다.
나의 기본자세는 나의 체형과 셋팅에 밀접하지 누군가가 조언해줄 사항은 아닌것 같다.
->저의 경우 직활강시 로테이션이나 토션이 최대한 들어가지 않고 편한 자세를 중립자세로 봅니다.
이상 첫번째 글 입니다.(칼럼이라고 하기엔 너무 취약하기에...)
제 의견이 틀렸다면 저와 다른 의견을 써주시면 제가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