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닉네임 변경이 있었습니다. 다소 거창한 닉네임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ㅜㅜ
그간 두번째 주제에 대해 고민하다가 연이은 실험으로 어느정도 신뢰도가 생겨
이렇게 두번째 글을 적습니다.
두번째 주제는 롱 혹은 미들 카빙턴에서의 UP 동작 생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숏 카빙 턴에서는 워낙 턴체인지가 빠르다보니 제능력으로는 접근이 힘들었습니다.)
역시나 입문자가 쓰는 글이니 만큼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의문점.
-유명 라이더들의 롱 혹은 미들 카빙턴을 관찰하던중 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이 분명한 라이더들과(업 언웨이티드)
UP 과정을 생략하는(다운 언웨이티드) 라이더들을 보며 각각 어떤 효과 및 작용이 있는지 알고 싶었다.
2. 실험진행.
case1: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을 분명히 가져갔을 경우.
결과 1.UP UN WEIGHTED-> EDGE CHANGING -> EDGING -> DOWN WEIGHTED ->UP UN WEIGHTED 의 다소 전형적인 순서를 갖는다.
2.PRESS 의 가압과 해방 과정이 천천히 이루어지므로 리바운딩 억제가 용이하다.(발생이 힘들다)
3.(2) 에 의해 부드러운 턴 연결이 용이하다.
4.EDGE CHANGE 직후 가압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엣지그립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case2: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을 생략했을 경우.
결과 1.[UP WEIGHTED -> DOWN UN WEIGHTED -> EDGE CHANGING 이 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EDGING->
DOWN WEIGHTED -> [UP WEIGHTED -> DOWN UN WEIGHTED -> EDGE CHANGING 이 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의 다소 생소한 순서를 갖는다.(내 기준에서 생소)
2.PRESS 의 가압과 해방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리바운딩 발생이 용이하다.(억제가 힘들다)
3.(2)에 의하 다이나믹한 턴 체인지가 가능하다.
4.ED CHANGE 직후 가압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큰 엣지그립력을 요구한다.
3. 결론.
1)CASE1, CASE2 의 카빙턴 둘다 특성과 장단점이 있으며 무엇이 기술적 우위에 있다고 확언하기 힘들다.
2)CASE1 의 경우 우아한, CASE2 의 경우 역동적인 스타일을 창출한다.
3)CASE1 의 경우 CASE1-4 에 의해 보다 좁은, 보다 열린(전향) 바인딩 셋팅을 가능케 한다.
[기울기를 잘 활용하는 라이더들이 내로우 스텐스를 선호하는 이유의 일부분일거라 추측한다]
좁은 스텐스는 좌우 린을 용이케 하기 때문이다
4)CASE2 의 경우 CASE2-4 에 의해 보다 넓은, 보다 닫힌 바인딩 셋팅이 유리하다.
[관성을 강하게 내보내는 컨트롤을 하는 라이더들이 와이드 스텐스를 선호하는 이유의 일부분일거라 추측한다]
이상으로 첫번째에 이은 두번째 영양가없는 글 이었습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 및 문제 지적 환영합니다.
다시한번 라이딩 입문자의 시각에서 쓴 글이라는걸 감안하시어 너그럽게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