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닉네임 변경이 있었습니다. 다소 거창한 닉네임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ㅜㅜ
그간 두번째 주제에 대해 고민하다가 연이은 실험으로 어느정도 신뢰도가 생겨
이렇게 두번째 글을 적습니다.
두번째 주제는 롱 혹은 미들 카빙턴에서의 UP 동작 생략에 대한 내용입니다.
(숏 카빙 턴에서는 워낙 턴체인지가 빠르다보니 제능력으로는 접근이 힘들었습니다.)
역시나 입문자가 쓰는 글이니 만큼 감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의문점.
-유명 라이더들의 롱 혹은 미들 카빙턴을 관찰하던중 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이 분명한 라이더들과(업 언웨이티드)
 UP 과정을 생략하는(다운 언웨이티드) 라이더들을 보며 각각 어떤 효과 및 작용이 있는지 알고 싶었다.

2. 실험진행.
 case1: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을 분명히 가져갔을 경우.
 결과    1.UP UN WEIGHTED-> EDGE CHANGING ->  EDGING -> DOWN WEIGHTED ->UP UN WEIGHTED 의 다소 전형적인 순서를 갖는다.
         2.PRESS 의 가압과 해방 과정이 천천히 이루어지므로 리바운딩 억제가 용이하다.(발생이 힘들다)
         3.(2) 에 의해 부드러운 턴 연결이 용이하다.
         4.EDGE CHANGE 직후 가압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엣지그립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case2:턴과 턴 사이에 UP 동작을 생략했을 경우.
 결과    1.[UP WEIGHTED -> DOWN UN WEIGHTED -> EDGE CHANGING 이 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EDGING->
           DOWN WEIGHTED -> [UP WEIGHTED -> DOWN UN WEIGHTED -> EDGE CHANGING 이 한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의 다소 생소한 순서를 갖는다.(내 기준에서 생소)
         2.PRESS 의 가압과 해방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리바운딩 발생이 용이하다.(억제가 힘들다)
         3.(2)에 의하 다이나믹한 턴 체인지가 가능하다.
         4.ED CHANGE 직후 가압이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큰 엣지그립력을 요구한다.

3. 결론.
 1)CASE1, CASE2 의 카빙턴 둘다 특성과 장단점이 있으며 무엇이 기술적 우위에 있다고 확언하기 힘들다.
 2)CASE1 의 경우 우아한, CASE2 의 경우 역동적인 스타일을 창출한다.
 3)CASE1 의 경우 CASE1-4 에 의해 보다 좁은, 보다 열린(전향) 바인딩 셋팅을 가능케 한다.
   [기울기를 잘 활용하는 라이더들이 내로우 스텐스를 선호하는 이유의 일부분일거라 추측한다]
    좁은 스텐스는 좌우 린을 용이케 하기 때문이다
 4)CASE2 의 경우 CASE2-4 에 의해 보다 넓은, 보다 닫힌 바인딩 셋팅이 유리하다.
   [관성을 강하게 내보내는 컨트롤을 하는 라이더들이 와이드 스텐스를 선호하는 이유의 일부분일거라 추측한다]

 

이상으로 첫번째에 이은 두번째 영양가없는 글 이었습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 및 문제 지적 환영합니다.

다시한번 라이딩 입문자의 시각에서 쓴 글이라는걸 감안하시어 너그럽게 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33314
2854 기술(테크닉) 뻙큐멘터리2 - 힐턴편(당신의 상체는 안녕하... file [13] 작살러버 2015-02-11 10 9644
2853 초보를 위한 강좌 쌩초보의 알파인보드 독학 입문기 file [3] Dyonisus 2015-02-11 7 14434
2852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1. 충돌하는 턴 file [71] Lunatrix 2015-02-10 96 25195
2851 장비 튜닝 못쓰는 바인딩을 이용한 부츠벨트 만들기 [11] 검은돼지 2015-02-08 2 7730
2850 기술(테크닉) 다운을 하는 이유는 기울기를 더 주기 위해... file [8] 백표범 2015-02-05 4 8570
» 기술(테크닉) 독학이라고 쓰고 연구라고 읽는다.#2 DOWN U... [6] BORNCARVER 2015-01-29 6 4761
2848 초보를 위한 강좌 "다운이란" 쉽게 짧게 이것만 이해하면 99% ... [13] 심장이통통 2015-01-24 4 10290
2847 기술(테크닉) 독학이라고 쓰고 연구라고 읽는다. #1 스탠... [11] CHANCHANE 2015-01-21 9 8627
2846 장비 관련 사이드 컷을 활용하자. (카빙 쉽게 하기) [4] Akapoet 2015-01-20 6 11101
2845 장비 튜닝 정통 열성형 이너 성형법 [7] guycool 2015-01-17 2 6916
2844 장비 관련 학동 투어중 라이딩용/프리스타일용 플렉스 ... secret [40] GATSBY 2015-01-14 19 5847
2843 장비 관련 토션, 토셔날 플렉스 Tosional Flex [3] Akapoet 2015-01-06 6 5998
2842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2. 토션의 발생 file [20] Lunatrix 2015-01-01 15 11122
2841 기술(테크닉) 토션에 대한 이해 - 1. 토션의 사용 file [17] Lunatrix 2014-12-30 33 16941
2840 의학,부상,사고 보드(스키) 보험보다 우선해야 할 것. [12] 보린 2014-12-13 7 8810
2839 초보를 위한 강좌 스케이팅못할때 리프트타기 file [10] 허니듀 2014-12-11   10966
2838 장비 관련 바인딩 전용드라이버를 알아보자 file [12] 빨간단무지 2014-12-09 8 11986
2837 기타 태어날때 부터 갖고 있는 자신의 타입 알아보기 [16] Retro아톰 2014-12-08 9 13518
2836 장비 관련 데크 길이 선택 하기 secret [32] GATSBY 2014-12-07 31 8734
2835 장비 튜닝 열풍기 왁싱 데크 온도 측정 결과 file [4] 침묵~~ 2014-12-03 3 8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