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햇수로 6년이 지난 제품
이건 어찌보면 악성재고에요
그 상품이 얼마나 가치가 있고
또 얼마나 멋진 명기이고
완벽한 제품이었다고 하더라도
햇수로 6년간 판매자는 현금화를 위해
그 제품을 팔기위해 무던히 노력했을 것이나
판매를 하지 못했던 제품이었지요
얼마 전 그 물건을 사신
'초보'이신 그 분을 만나기 전까지는
마케팅 4p중 그 어느 하나 만족시키지 못했던 제품입니다.
제품의 가치에 대해서는
판매자와 소비자가 다르게 판단할 수 있어요
그래서 그들이 최종 만족하는
합의된 지점이 바로 '가격'이 되는데요.
저걸 얼마에 팔았든
판매자가 자신의 이득을 위해
소비자에게 팔았고 소비자가 사서
만족하면 언제든 ok입니다
엠십장생이라는 사람이 말한 것처럼
엄청난 가치가 있고 명기이고 누구나 못써서 안달난
제품이라면 지금껏 남아있을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그래요 설사 진흙 속에 묻혀있던 것을
소비자가 직접 찾아가 그 물건을 수소문하여
콕 집어 '나 저거 살래요' 했다면 문제가 전혀 없어요
그런데 말이죠
저 사건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구매자가 '초보'라서 문제가 되는겁니다.
'초보'는 해당 제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판매자가 주는 정보에 의존하기가 쉽고
휩쓸리기 쉽기 때문이지요.
저렇게 파는게
상법상 문제가 되진 않지만
도의적인 문제가 걸리는거죠
따라서 아무리 저 제품이 진흙 속에 묻혀있던 진주라도
햇수로 6년이 된 제품을 수많은 대체제에도
그걸 콕 집어준 이유가 뭔지
또 굳이 추천해 준 이유가 뭔지
궁금해지는 건 당연지사지요.
소비자로서의 당연한 행동아닐까요?
앞서 말했지만 가격이란
소비자가 기꺼이 지불하려 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이구요
이에 대한 잡음이 생긴다면
기꺼이 지불하려는 정도를 넘어섰다고 볼 수도 있는 문제입니다.
가치 평가의 잣대는 언제나 소비자입니다.
엠십장생이 아무리 헛소리를 해대도
불변의 진리에요
내일 당장 GMP 컴퍼니가 시장에 매물로 나온다치면
기업 가치평가에서 6년이 지난 재고를
30만원이나 산정 해줄거라 생각하면 큰 오산이죠.
말하는 거 보면 엠심장생은 저 혼자
스노우보드 씬을 위해 엄청나게 고민한 사람처럼 하지만
오늘 얘기 나온거 보면 686 짝퉁 사건의 당사자이기도
한 것 같은데 참 대단하네요
지금 저들이 공급자들의 입장에서 말하는게
이해가 가나요?
소비자로서는 저기에 동조하면 안됩니다
초보자들을 악성재고 떨이의 경로로 만들어선 곤란하죠.
보드씬 발전에 무엇이 이득이 될지는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누구든 초보시절이 있는데
그들을 기망하면 안됩니다.
----------------------------------------------------------
수정: 이 글은 모샵을 지적하는게 아니라
모 마케팅 담당자의 황당한 주장을 반박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