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RE-TEX에 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아서 함 엮어봅니다. 편하게 말씀 낮추겠습니다.
GORE-TEX.
아 그 이름도 찬란하다. 보더라면 고어텍스 자켓, 바지에 대해 한번이라도
들어본 경험이 대부분일 것이다.
이 섬유는 방수, 발수, 투습 성능이 가히 세계 최고로 인정받는 원단이다.
이는 미국의 듀퐁사에 GORE라는 성씨를 가진 인물이 개발,
막대한 돈을 벌어들여
전 미국 부통령인 Al GORE의 2번에 걸친 선거자금을 뒷받침,
당선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하는 믿거나 말거나 하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그 원단의 제작원리는 직물에 멤브레인, 즉 얇은 막을 접합했다 하겠다.
자세히 부연 설명하자면 고어텍스 멤브레인은 불소계수지라고 불리우는
폴리테트라프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일명 테프론)을
잡아당겨서 만든 특허물질로 앞서 설명된 겉감에
라미네이트(특수접합)시키면 고어텍스원단이 탄생한다.
이 고어텍스 멤브레인이 원단의 어디에 들어갔느냐에 따라
원단의 종류가 달라지는것이다.
복사해서 붙여넣기 했으니 알아서들 이해하기 바란다.
그렇다면 고어텍스가 왜 그렇게 각광을 받는가.
그 뛰어난 성능으로 비롯되어 말미암아 명성을 여기저기 휘날린다 하겠다.
우선 보더들이 목숨거는 방수성능이다. 현존 최강의 방수성능은
내수압 1만이네 2만이네 의미없다. 그저 고어텍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우수한 발수성능을 들수 있겠다.
발수성이라 함은 원단에 닿은 물기를 얼마나 빨리 날려보내느냐
하는 것이다. 이 또한 우수하다. 실은 본인도 잘 모른다. 넘어가고.
그토록 고어텍스에 열광케 하는 궁극의 이유는 바로 투습성이라 하겠다.
얼레. 방수는 알겠는데 투습은 또 뭐냐.
바로 수분을 통과시키는 성능이다. 어. 이쯤되면 방수와 투습이 헷갈린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1평방 인치당 90억개 이상의 기공을 가지도록
극히 얇게 가공된 불소계 수지막으로
PTFE 기공의 크기는 눈이나 물의 분자에 비해
약 2만배가 작고 땀과 같은 수증기 분자보다는 약 700배 가량이 커서
결국 비나 눈은 차단시키면서 인체의 활동시 생기는 땀은 밖으로
방출시킨다는 원리를 지닌 것이다. 역시 복사해서 붙여넣기했다.
즉 물방울은 통과 안시켜도 몸에서 발생하는 수분은 밖으로 방출시켜
주는 것이다. 체로 걸르는 원리와 같은 것이다.
그리고 바람막이 기능도 뛰어나다. 대부분의 방수소재는 방풍성도
가지고 있다.
지나가는 말로 방수와 방풍으로 치자면 노란우비나 비닐하우스가 최고다.
물한방울, 바람한점 스며들지 않는다. 대신 땀으로 몸이 다 젖는다.
겨울에 얼어죽기 딱 좋은 것이다.
에 또 고어텍스라고 해서 한가지 종류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4종의 고어텍스가 있는데 2L, 3L(투엑스라쥐,쓰리엑스라쥐 아니다),
Classic, XCR 이렇게 구분된다.
틀려도 뭐라하지 말자.
이 구분은 제작방식의 차이인데,섬유층(layer)을 형성하는 차이라고 알아두자.
각각의 성능이 조금씩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XCR이 가장 상등급이나,
내구성은 떨어진다고 나와있다. 투엑스라쥐 정도면 충분하지 않겠는가?
알아본 바와 같이 이 눈물 겹게 황송한 성능이
고어텍스를 기적의 소재로까지 칭송하는 이유인 것이다.
단점도 물론 있다. 우선 가격이 웃기지도 않게 비싸다.
특허 내놓고 독점 생산 공급하니 부르는게 가격인 것이다.
미군용 고어텍스를 싸게 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자국 군공급가이고
우리는 울며겨자 먹기로 높은 가격을 치루고 구입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성능이 해가 뜨고 달이 지도록 언제까지나 유지되지는 않는다.
관리에도 소홀해서는 안된다.
이로 인해 고어텍스로 제작된 의류는 등산, 스노우스포츠 등에서
가히 최고의 선택이라 할수 있는 것이다.
그놈의 돈이 웬수일뿐.
출근하여 고어텍스에 대해 함 써보겠다고
여기저기 복사해서 붙여넣기 했더니 어느새 오전도 다 갔네요.
점심 먹으러 가야겠군요. 일이 많은데 왜 이러고 있는지 모르겠네.
그럼 이만 (__)
* 혹 오류나 추가사항 있으시면 언제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