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eeCarve (FC) :

스펙은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젤 작은거 젤 큰거 기준으로 적었다


세로길이 : 160 -190cm
엣지길이 : 140 - 170cm
노즈 : 23 - 27cm
중간 : 17 - 19cm
테일 : 23 - 27cm

모든 보드회사들이 앞다투어 신제품과 새로운 스펙으로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그중에서 하나의 자리 매김이된 FreeCarve(alpen free ride style) ....
한마디로 스피드에 재미를 더욱 부가시킨 보드라 할수있다

머 외국표현으로 굳이 쓰자면-_-; 매우 스무스 하구 퍼포맨스적이고 그리고 빠르고 자유로운 턴과 엑셀런트한 엣지 그립 , 빠른 반응과 다이나믹한 어쩌구 저쩌구--; 머 이런식이다

레이스 보드(gs , sl)를 설명할땐 말안해도 알겠지만.. 대회에서 상 탔다 아주 베리 패스트 하다는둥 이런식으로 광고...

외국에선 GS 타는사람들이 별로 없다-_-; 한국엔 이상하게 전부 GS 라 너무 놀라웠구 다들 프로선수들인줄 알았다-_- (장비만....) 실력은-_-; ㅋ~~~
다들 하드한 부츠에 하드한 바인딩(딱딱함이 느껴지고 잘 잡아 준다고해서 좋은게 절대 아닙니다..) -_-; 하드한 데크... 전혀 재미를 느끼기 힘든 조합뿐이었다..

알파인이라고 해서 트릭이 되지 않는다는 편견을 버려야한다..
백플립,540,몬토야등 전부 가능하다.. 다만 모든면에서 프리같은 알파인이 되야 한다는 점이다!


FreeCarve 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대략 160 -190 까지 다양
한국인의 체형엔 160 - 175 이 무난하다..
예전에 한국샵에 이 스펙의 모델을 구한다고 하니 -_- 헛소리를 하는걸 봤다-_-; 거의 몬지 모르더라 어떤 한국프로인 사람이 FreeCarve은 매우 좋지 않다고 -_-; 얄팍한 장사속에 어이가 없었다. 앞뒤가 둥글다고 이상한 소리까지?
전부 SL 이나 GL 뿐-_-; 장난 하는가 ..
보드덱에 대한 정확한 명칭과 스펙등을 알려달래도 아는 샾이 하나도 없다 -_-;

세계화의 흐름에 좀 맞춰보장.. 머 몇년후엔 많은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나마 DONEK FreeCarve 는 몇개 봤다-_-; 그나마 다행이닷

현재 알파인은 캐나다,일본 스타일(일본쪽은 무조건 첫째를 간지만을 중요시한다!!) 로 바뀌고 있다-.-;  보드 장비중에 F2 도 많은 변화를... 주고있다
요즘 전부 유명 보드업체는 전부 FreeCarve 모델을 신상품으로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BCstream, MOSS, OGASAKA , GRAY/SONIC , Scott strike , Chiemsee , Effector , DONEK , COILER , PRIOR , VOLKL , F2 , VIRUS 등등




머 결론을 말하자면 낡은 사고와 고정관념은 버리고-_-; (특히 프로들이 더 심하다) 알파인의 새로운 변화로 인해 많은 알파인이 생기고 있다는 점이다.. (거의 일본동영상이나 서양의 비디오를 시청후 프리한 알파인 스타일에 매료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장비부터 배우는거까지 잘못 배우기 때문에 아주 힘든것입니다.)
알파인 보드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all mountain, freecarve, race. 그중 제 경험으로도 입문용으로는 freecarve 가 적절 할 듯 싶습니다. 저두 첨엔 race 보드로 자유롭지 못 했는데  Freecarve 보드를 타보고 하늘을 얻은 듯한 망상에 빠졌답니다.
스피드만을 위한다면 자세가 중요할수도 있다..(프로입장에선)
하지만 재미와 취미생활인 사람에겐 그다지 맞지 않는 선택인듯 하다..

한국에서 알파인을 잘타는사람은 거의 프로밖에 없다 그래서 그사람의 자세를 배울려구 한다.. 절대 그러지 않길 빈다.. (양키나 니뽄인들은 보드를 개조도 하구 새로운 스펙을 사용해 타보기도 하구 테스트보드도 딥따 많다.. 자세도 전부 다르다-_-; 지맘대로임.. 누가 양키 아니랄까바--; 알파인을 프리스타일보드로 만들어 버릴려는건가 --; ㅋㅋ 하지만 개조하는걸 보면 전부 카빙을 위한 개조여서 그다지 걱정은 안된다 씨익 :>
)

암튼 결론으로 들어가보자.. 한마디로 스피드 자세에 전전긍긍 하지말고...
슈퍼카빙이나 때리면서 두손으로 바닥이나 쓸어 보자는거다-_-; 간혹 트릭도 써주면서 숏턴까지-_-;
재미를 위해 발악해 보자는거다 으흐흐 :D

말그대로 이건 FREECARVE 니깐!!!




ps . 재미가 없으면 눈밭위에 누워서 하늘을 바라보며 이거 왜타나 싶을때가 있을것이다..

간혹 이런 사람이 있다 난 프로선수가 될것이다!! 대회도 나갈것이다!!
그런분은 절대 손으로 바닥쓸거나 이상한 턴 하거나 그럼 안된다.. 그렇게 하면 스피드 느려진다.. 철저히 프로에게 고정된 자세를 배워나가야 할것이다 흐흐..
동계올림픽에선 무조건 빠르면 되었구 다 그렇게 타왔지만... 서양식이 접목 되면서 멋진 카빙과 턴을 위해 개량 되구 있다.
어떤 사이트( http://www.extremecarving.com/ )에선 스피드보단 슈퍼카빙을 위해 보드를 전면 개조해 타는 경우도 많다.

다시말해 알파인도 재미를 위해 변형되고 있다는거져머-_-;;

아참 그리고 보드를 소개할때 올림픽에서 금상 먹은거라는둥 대회에서 1등한 선수가 탄 보드라는둥 그런거 사도 물론 보드자체는 아주 훌륭하겠지만-_-; 스피드만 무작정 빠른경우가 많습니다. 왜냐면 대회자체가 스피드 쌈이니깐-_-; 얼마나 카빙이 멋지고 턴이 자유롭게 되구 트릭이 멋지고는 절대 보지 않습니다-_- 대회는 빠르면 장땡이죠 ㅋㅋ



그리고 장비를 살때 제발 모델이나 메이커 보고 사지 마라..(예를들어 "f2 가 조아여? hot이 조아여?" 참으로 난감한 질문이다 -_-;) 무엇보다 보드의 차이는 spec(nose 길이 edge길이 그런것들) 이 가장 중요하다.. 반드시 장비에 대한 프로필을 철저히 알고 사야한다.. 스펙에 따라서 보드의 차이점이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이다. 모델이 달라도 스펙만 비슷하다면 별차이 없기 때문이다..
메이커별로 따지긴 힘듭니다 메이커에서도 많은 모델로 분류 되고 있습니다..

외국에 가보면 알파인만 10년 넘게 타신분들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보드장의 상태와 자신의 테크닉에 따라 보드를 선태하곤 합니다.

제일 중요한건 보드의 프로필입니다.

모델명 : side cut ,(Nose/Waist/Tail) width , Length , Effective Edge
등의 길이와 스펙이 중요합니다.

다른 메이커라도 같은 스펙이라면 그다지 차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이홈페이지를 참고 하세요..
여러 모델별로의 차이점을 볼수있습니다.
도넥만 해도 많은 모델이 있으며 전부 다른 스펙을 가지고 있죠..

http://www.donek.com/specs.htm



아무튼 짧게 정리를 하자면-_-;

알파인을 타는 스타일은 아주 여러가지가 있다.
자신의 방법을 찾고
자신에게 제일 간지가 나는 포즈가 가장 좋다

물론 제일 안정적인 포즈야 올림픽에서 보여지던
이상야릇한 포즈가 좋겠지만.. 그럼 재미가 없잔아 -_-+ 멋두 없구 T_T (또한 프로선수 되고픈맘도 없고-_-;;)

난 개인적으로 일본에서 유행하는 포즈가 가장맘에 든다.
왜냐면 난 오직 폼생폼사(간지)이기 때문이다. -_-;

괜히 손으로 바닥 쓸고 싶구 몸을 바닥에 눕히고 싶다면 뽀대 알파인이 될 자격이 있다 -.-;

(램프가 있음 괜시리 점프도하구, 벽타기 산타기도 아주 재미있다 ^^)





요즘 이게 유행하죠-_- 비텔리턴을 개조한 배터리턴이라고 ㅋㅋㅋㅋ 일본에서 대유행 (한손에 브이짜가 키 포인트 -,.-;)
http://www3.ueda.ne.jp/~nakajima18/gallery_mpg.html <===보세요

아무튼 처음이 중요합니다...어떤식으로 어떤걸 추구하는지에.. 어떻게 배우느냐에 따라 자기몸에 따른 자세나 모든게 변화 되고 버릇이 되므로.. 물론 경력이 아주 많이 쌓이면 머든지 손쉽게 할수 있겠지만요.. 시간에 흐름에 따라 추구하는게 항상 변화되니깐요.. 너무 힘들게 배우는거보단 자신이 조아하는 스타일대로.......
사람에 따라 3-15일이면 익스트림카빙은 됩니다. 오히려 숏턴 롱턴보다 쉬워요.. 요샌 처음부터 재미위주로 익스트림 카빙부터 배우더군요..


수많은 종류의 카빙. 턴, 라이딩... 빙판슬롭에도 흔들림이 없는 라이딩...( 사각사각 소리 ㅠ.ㅠ 캬~ ) 따라올수 없는 스피드..
어떠한 모글 슬롭에도 떨림없는 안정적인 힘!  거기다 프리의 트릭까지..

알파인의 라이딩을 느낀후.. 프리로 라이딩은 할수 없었다.. (프리는 하프만^^)

프리와 다르게 변화되고 있는
알파인의 진화는 어디까지이고 어떻게 변화될것인가?  (하프가 가능한 알파인도 나오지 않을까?)

참고 동영상 1
참고 동영상 2
참고 동영상 3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12
692 헝그리 캠페인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자 [19] Zeppa 2003-12-26 5 2351
691 기술(테크닉) 정자세를 고집하는 보더들에게 딴지를 걸어... [94] 용안 2003-12-23 20 6116
» 일반 프리같은 알파인을 아시나요? <짧은 동영... [14] 우지 + 感じ 2003-12-22 7 4177
689 의학,부상,사고 "피스테의 룰" 국제스키연맹 1990년(슬로프... [21] 리얼보더 2003-12-18 9 3313
688 일반 잘못 알고 있는 보드상식들 1 [41] 최현우 2003-12-16 25 7509
687 기술(테크닉) 작업하기엔!! 알파인이 쵝오~~ ㅡ.,ㅡ [35] 우지 + 感じ 2003-12-16 15 5740
686 장비 관련 부츠가 발에서 논다...이것을 사용하십시요.. [8] 김진태 2003-12-16 18 4909
685 장비 튜닝 집에서 혼자 하는 왁싱~ [11] Major.Kim 2003-12-16 12 6224
684 장비 관련 장갑 건조 간단히..... [24] 보더BK 2003-12-15 9 5009
683 CASI CASI에서 규정하는 라이딩 단계별 목표 [16] 뽀복이 2003-12-13 54 6104
682 기타 데크 스티커 작업을 위한 그래픽 툴 입문 - 1 [7] Derek 2003-12-12 12 4869
681 기타 티셔츠로 닌자 두건 만들기~~~~~~~~~ [33] 와썹 2003-12-12 16 5996
680 헝그리 캠페인 리조트 안전수칙 총정리판! [26] Sunny 2003-12-12 35 2621
679 기타 코디]보드복을 평상복으로 입자 (헝글 공구 ... [24] 징징이 2003-12-11 13 5953
678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세컨드스토오리~ [23] 감동 ㅜ.ㅜ 2003-12-11 12 3461
677 기타 子劫(자겁) 남자를 위협한다? [27] 감동 ㅜ.ㅜ 2003-12-11 23 3971
676 절약법 휘닉스파크 아끼고 아껴서 가기(리프트,버스비) [10] 하늘바라기 2003-12-10 34 4653
675 장비 관련 * 스키, 보드 캐리어의 올바른 선택과 사용... [6] 뚱딴지 2003-12-10 12 3392
674 절약법 버즈런 버스운행 [8] 민동출 2003-12-10 3 2386
673 초보를 위한 강좌 생전 처음 보드타러 보드장 가기^^ [6] ★ㅕㄹ사탕 2003-12-09 4 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