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일단 1년차의 전형적인 입보더구요카빙이 겨우 시작 되는지점이에요
개인적으로 저는 뭐든 시작할때 이론부터 확실히 하고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놀이가 아닌 배운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데요
먼저 다운의 경우
업다운의 경우 여러가지 설명들을 많이 들어봤지만
아무리 들고 생각하보고
물리학적으로 또 생각해봐도 이해가 가지 않아요
가압과 감압이라는 측면
사람의 몸무게는 다운자세를 취한다고 해서 변하지 않습니다
다운을 한다고 가압이 된다고 생각하디 않습니다
다만 관성에 의해 순간적으로 수치는 미미하게 올라갈수있겠죠
감압역시 마찬가지
그래서 개인적인 생각을 해보자면
무게가 변하지 않으니 제생각에서는 포지션적인 관점으로 보는것 이 맞을것 같은데요
보드가 직활강을 하는자세는 커브를 하는 자세에 비해 많이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커브시 보드가 진행하는 방향쪽으로 흐르던 힘과, 데크의 엣지와 눈이 맞서면서 생기는 힘이
서로 부딪치면서 커브가 만드어 지게 되는데요
이때 굉장히 불안한 상태가 됩니다
서로의 힘이 부드럽게 작용햤을때 부드럽고 아름다운 라인의 커브가 만들어지게 되는데요
자세가 높은것 보다는 낮은것이 훨신 균형을 잡기 유리합니다
정사각형 나무를 세우는것이
세로로 긴 나무막대를 세우는것이 훨신 쉬운이유죠
낮은 무게 중심의 안정감이랄까??
이 이론을 증명하는것중에 하나가 바로 초보자의 업다운 타이밍과 고수의 업다운 타이밍의 차이인데요
너비스턴의 업다운 시기를 살펴보면 턴의 초입과 중반까지 적극적으로 턴을 만들어 가지 않습니다
한쪽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 폴라인까지 데크가 떨어지게 만든뒤
3시 혹은 9시 방향부터 힘과 힘이 부딪치는 턴을 만들기 시작하는데요
이때 다운을 하게 되는것이죠
고수의 경우 속도가 높으며 턴의 초입 횡력이 강합니다
그래서 시작부터 강하게 자신의 주도대로 턴을 만들어 나가기 때문에 힘과힘이 부딪침니다
그래서 시작부터 다운을 주는것입니다
이것을 종합해보면 힘과 힘이 부딪치는 턴의 경우 낮은 부게중심의 안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운을 한다라고 생각이됩니다
물론 범프나 이런저런 불확실요인들에 대한 안정성을 키우기 위해서이기도 하구요
업의 경우는 안정적인 시점까지 보드가 돌아나오면 무게중심을 이동해서 다시 턴을 만들어줘야 하는데
이때 힘과힘이 부딪치는 작용이 사라지니 편안한 자세가 편하니 업을 한다라고 생각이 됩니다
(리바운딩도 생각을 할수 있지요)
고수의 경우 다운상태에서도 크로스 언더나 스루를 이용해 무게중심을 옮길수 있겠지만요
스노우 보드의 경우 턴의 초중반을 나눌수가 있죠
왜냐하면 경사각 있고 초보일수록 이 에 의한 턴 초 중 후 반 모두 작용하는 힘이 크게 다르기 때문인데요
다른스포츠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오토바이의 경우 커브를 틀때 린인이라는 기술을 통하여 무게중심의 다운 그리고 필요한 인클을 확보합니다
스케이트의 경우 평지에서 가속하고 커브에서 다운하며 안정적임 무게중심을 가져가게 됩니다
스케이트 라이딩의 경우 역시 고속 코너에서 다운하고 손에 뭐지 그 쇠로된 미끄러지는 장갑을 착용한체 다운과 린인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들의 경우 모두 초중후반 같은 힘과 힘이 부딪치는 작용을 통하여 커브가 그려지기 때문에
불안정한 자세를 조금이라도 더 제어하기 위하여 다운이 필요하다 생각이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실제로 만약에 스노우 보드의 속도가 굉장해서 높은 무게 중심을 이겨낼정도의 속도를 마춘다면
다운을 하지 않고 꽃꽃이 선자세에서도 턴이 되지 않을가 생각하는데 눈이 버텨줄지 모르겠군요 ㅎㅎ
턴호는 굉장히 커지겠지만요
또한 일본식 라이딩이라고 많이 하죠 어깨와골반을 열면서 타는것
이 일본식 라이등의 경우 흔히 카시식이라고 말하는 덕스텐스의 기반을 둔 자세보다 훨신 중심을 많이 낮춰 줄수있습니다
때문에 카빙에 이점이 더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로테이션같이 힘의 이동이 많이 필요한 슬라이딩턴에서는 불리한것이구요
두번재 카빙시 로테이션의 필요성?
개인적으로 카빙시 로테이션의 의미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카빙시 중심이 안정되어 있다며
턴에 영향을 미치는것은 엣지의 기울기 속도 경사등일 생각합니다
나머지는 중심을 안정시키기 위한 움직임이죠
누구는 똑같은 덕스텐스로 어깨를 닫고 토턴을 하고
똑같은 덕스텐스로 누군가는 어깨를 완전히 열고 턴을 합니다
카빙에 로테이션이 크게 작용한다면 일본식이란건 말도 안되는거죠
쓰가다 생각한건데 그뭐라 하더라 양발의 무게 중심을 달리해서 데크를 비트는 기술...
아 뭐지 ... 하여튼 그것 역시 데크의 움직임기 때문에 턴에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때 자동으로 로테이션이 들어가게 되네요...
다만 카빙시에는 슬라이딘턴보다 저 기술의 영향이 적어 로테이션의 비중이 매우매우 작은것인거 같습니다
카빙시에도 데크를 많이 비트는 분일수록 로테이션의 비중이 커질것이구요
몰론 제생각일 뿐이고 다른의견 이나 가르쳐 주실점이 있다면 댓글로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좀 자세하게 부탁드릴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