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초 레벨3 시험을 치러 캐나다에 한 달간 다녀왔지만, 많이 바뀐 것이 상급으로 갈 때 5가지 요소를 어떻게 활용 또는 응용하는 것에 대한 것을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는 가에 대한 티칭 시험, 그리고 레벨1 인스트럭터 시험에 참여하는 보더를 대상으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 가에 대한 교육학, 레벨3에 맞는 라이딩 스킬 이렇게 3가지에 대해 시험을 쳤습니다.
제가 레벨1을 처음 땄을 때가 2001년인지 2002년인지도 잘 기억이 나질 않지만 카시가 한국에 알려지던 초창기에 땄는데, 제 시험을 감독하는 레벨4 감독관들이 레벨1을 저보다 늦게 딴 사람들이 대부분이더군요. 한국에서 캐나다에 가서 시험을 계속 봤었다면 좀더 일찍 레벨업을 할 수 있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많이 들었습니다.
카시에서 이야기하는 여러 요소 중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1. 밸런스
2. 타이밍
3. 여러 요소들의 조합
입니다.
설질에 따른 타이밍과 여러 요소들의 조합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많은 논란이 있는 것 같지만, 결국 전체적으로 요약하자면 저 세 가지의 조합이 상급으로 가는 정도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보드를 글로 타는 것이 힘든 것은 여러 요소들의 조합을 어떤 타이밍에 맞춰 하는 가를 직접 설명을 듣고, 자기 단계에 맞게 교정을 받으며 타야 하는 것이지만 많은 동물적 감각의 보더들은 그냥(?) 타다보면 타게 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물론 이론을 많이 공부를 해야 하겠지만 말이죠.)
하지만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천부적인 운동신경을 가진 사람 외에 다른 일반인을 가르쳐야 하기에 교육법이 더욱 발달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그리고 위에 언급한 내용보다 더 중요한 것은 "기초 체력"입니다.
상급자가 되기 위한 거대한 중력에 저항하기 위한 보드만을 위한 근육이 키워져야 하는데, 그건 "마일리지"라는 것을 통해 키워질 수 있습니다.
제가 헬스클럽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를 하는데 이 부분은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좀더 적어보기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