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부탁이건데 최소 누구나 칼럼에 글하나 올리지 않는 사람이 누구나 칼럼에 올라온 글이 어쪄니 저쪄니 하는 악플은 달지 마라. 누구나 칼럼은 말그대로 누구나 칼럼이다. 축구 감독이 축구 잴 잘합니까? 그럼 히딩크를 국대로 뽑아 원톱 스트라이커 시키지. 몇몇분은 축구 선수가 축구 감독한테 '니가 그리 잘하면 니가 시범 보여봐' 하는 투로 리플 다는것 같더군요..

그리고 어떤 운동이든 고수라고 해서 모두가 이론적으로 자신이 하는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제가 묻고 싶습니다. 당신은 어떻게해서 자전거를 넘어지지 않고 잘 타는지..처음에도 그렇게 잘 탔나요. 자전거 타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다음 글은 필자의 라이딩 스타일과 주관에 의한 글임을 인식하시고 글 들어갑니다. 그리고 저의 라이딩 스타일에 조언 주실분은 마구마구 리플 달아 주세요. 그냥 편안히 이런 라이딩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구나 하고 알아 주세요.

글 그리 길게 쓸 여건이 안되는군요. 짧게 씁니다.

저의 라이딩 스타일은 팀엣지 스타일에 상체 로테이션과 다운 언웨이팅입니다.

모르시는 분을 위해서 팀엣지는 상체로테이션 없이 앵글레이션에 최대의 중점을 두는 스타일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무릎의 굽힘도 최대한 절제 하지요. 상급 슬롭에서는 한계가 있지만 그 턴의 정점에서 앵글레이션이 들어가고 다리가 펴져 있는(음...무릎을 굽히지 않는) 모습은 박진감과 힘을 느낄수 있어서 좋습니다.

김준범 사이트나 팀엣지 홈페이지 등에서 팀엣지 10 요넘 타는 모습 보면 죽인다 라는 말 밖에 안 나온다. 익스트림도 좋지만 남자의 힘과 스피드 감은 요넘이 최고이지 않나 싶다.

그래서 저는 앵글레이션에 중점을 두고 중상급에서의 라이딩의 안정성과 데크의 그립력등을 감안 해서 상체 로테이션과 다운 언웨이팅의 라이딩 스타일로 갈려고 합니다.

사실 상체 로테이션은 지금 시도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번 시즌 알파인 시작 했습니다. 작은 목표는 달성했다고 생각 합니다. 다만 요즘 힐에서 채터링(덜덜덜)발생 때문에 왜 그런가 싶었더니만 앵글레이션이 제대로 들어 가지 않는것 같습니다.

상체 로테이션 반대 방향으로 몸이 약간 돌아 가는 느낌이 와서 힐에서는 약간 상체를 로테이션 시킨다는 느낌으로(로테이션 하지 않아도) 앵글레이션을 줄려고 합니다.

토에서는 이야기가 달라 지지만 힐에서는 앵글레이션을 줄려고 할때 우리의 몸이 자연스럽게 꺽임을 줄일려고 하는것이 있어서 진행방향 반대로 몸이 돌아가고 허리가 굽혀질때가 있는것 같습니다. 이로 인해 그립력이 확연히 줄어 듭니다. 그리고 엣지에 무게 중심을 실어주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상급 슬롭을 정복하기 위기 위해서 크게 두가지 원칙이 있다고 생각 합니다. 하나는 데크의 그립력, 또하나는 정확히 엣지에 몸의 무게 중심을 실어 주어야 합니다. 그립력은 이해가 가실것 같고 두번째 경우는 쉽게 설명하면 당신이 턴의 정점의 자세에서 그 자세 그대로 평균대위에 엣지가 올라간 상황에서 중력이 당신을 누른다고 가정할경우 좌우 흔들림이 없이 올라가 자세인가 생각 해 볼 때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이상...시간이 없다..정말 없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8321
1692 장비 튜닝 저도 데크튜닝 해봤습니다. [19] 코비브라 2007-04-09 53 5889
1691 장비 관련 유명 스노우보드 내구성 문제 [22] WG로마 2007-04-09 40 6178
1690 일반 기후 변화와 스키장..~ [21] 달팽 2007-04-02 53 4894
1689 초보를 위한 강좌 초보에 의한 초보를 위한 강좌\ [17] 피자헛강남역점 2007-03-30 72 6195
1688 해외원정 3월말 일본 야마가타현 자오 온천 스키장 원... [36] ixia 2007-03-28 45 7002
1687 장비 관련 하이빽을 틀어주자!! [46] NiKimaru 2007-03-25 37 8189
1686 기술(테크닉) 그동안 느꼈던 점들... [52] 2007-03-22 55 8302
1685 외국어 이벵이나 인터넷쇼핑몰에서 유용한 영어문장... [38] 바램지기 2007-03-21 31 10899
1684 기타 사진첩에 다른분이 올려주신 내 사진을 퍼가... [28] BusTa!! 2007-03-19 59 5122
1683 장비 관련 세탁~ [24] 똥싸계 2007-03-18 28 6016
1682 장비 관련 바인딩 센터링시 무게중심에 관한 고찰 [24] 바램지기 2007-03-16 51 17350
1681 장비 관련 올바른 스노보드 세팅법에 대해서 [19] 정덕진 2007-03-15 29 12924
1680 장비 관련 데크랑 바인딩을 풀 때! [18] mrflow 2007-03-13 44 7645
1679 장비 관련 0506 커스텀 엑스 테일부분 회색 스크래치 ... [15] 영권 2007-03-13 44 5026
1678 해외원정 일본 야마가타 자오온천스키장 원정기 [10] 헤이헤이 2007-03-12 50 5698
1677 장비 관련 왁싱 - <양초 왁싱, 무엇이 옳고 무엇이 ... [6] Lunatrix 2007-03-12 78 10722
1676 장비 튜닝 집에서 에폭싱 직접하실 분 참고하세요... [9] 벨슈로트 2007-03-11 72 5699
1675 초보를 위한 강좌 시즌 종료 후 장비 보관하기! [14] 투명종이 2007-03-10 36 7344
» 기술(테크닉) 라이딩 스타일에 관한 이야기 [12] 눈꽃송이 2007-03-09 49 5211
1673 기타 다른 헝글님이 벌써 올리긴 했는데.....혹시... [5] 안섭 2007-03-09 117 2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