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써보는 칼럼이네요.
우선 제가 쓴 글이 정답이 아님을 미리 말씀 드리며,
여러번 주위에서 들어보셨을 말들이라 알고 계신분들이 대다수 일 껍니다.
그냥 이렇게 타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받아 들여주시기 바랍니다.
라이딩...
정답은 없습니다.
보드는 프리스타일 입니다.
사람들 각각의 자세가 그들만의 스타일이고 그들만의 라이딩 방법 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의견을 꺼내기가 더욱 더 조심스러워 집니다.
저만의 라이딩 노하우랍시고 말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래도 간단하게 한말씀 드려볼까 합니다.
라이딩에 있어서 저는 4가지를 가장 중요시 생각합니다.
첫째. BBP 와 엣지컨트롤.
둘째. 시선처리.
셋째. 슬로프에 대한 두려움 극복(견딜수 있는 스피드의 한계)
넷째. 이미지트레이닝
BBP 와 엣지컨트롤.
이 건 누구나 보드를 처음 배울 때 배우는 항목 입니다.
하지만 이 부분을 얼마나 잘 배웠냐에 따라 업다운이 시작되는 너비스턴.
그리고 카빙등. 라이딩시 자세가 달라집니다.
소위 기마자세라고 불려지는 BBP 자세는 FS 나 BS 자세 연습에 따라
힐턴이나 토턴에서 그 모습이 확연하게 드러납니다.
그리고 그 상황상황에 맞게 다운을 줄 수 있는 연습을 병행하게 되므로
엣지컨트롤 능력도 많지는 않아도 같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거죠.
시선처리.
아마 보드를 정식으로 배운 사람들은 처음 턴을 배울 때 이런 말을 많이 들었을 겁니다.
데크의 진행방향은 시선 어깨 다리 순으로 돌아간다고. 맞습니다.
시선이 돌아가면 자연스레 어깨는 따라오게 되며,
어깨가 돌아가게 되면 다리도 자연스레 따라옵니다.
데크를 묶고 평평한 곳에 양팔을 벌리고 서 보십시오.
그리고 다른 이에게 내 팔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돌려달라고 부탁하십시오.
그러면 자연스럽게 데크가 따라 돌아오는 걸 느낄 수 있을겁니다.
시선이 돌고, 어깨가 돌고, 데크가 돌게 됩니다.
그렇다면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부분이 시선 입니다.
시선처리 방법중 제가 가르치는 사람들에게 흔히 말하는 건.
내가 가야 할 곳의 시야를 미리 확보하고 그곳만 바라보라고 합니다.
내 데크가 가야 할 부분을 미리 바라보라는 거죠.
토턴에선 조금 쉽습니다. 힐턴은 등을 지고 있기 때문에 목도 아프고 많이 어렵죠.
하지만 힐턴에서 만큼 더더욱 시선처리를 잘 해주셔야
데크의 엣지가 터지지 않고 원활한 라이딩이 됩니다.
슬로프에 대한 두려움 극복(견딜수 있는 스피드의 한계)
이 부분은 다른 거 다 필요없습니다.
많이 타보고 많이 구르셔야 합니다.
속도에서, 경사에서 일단 겁을 먹고 시작한다면 자연스러운 라이딩이 나오질 못 합니다.
상체는 뒤로 빠지게 되며, 데크는 이미 후경이 먹기 시작하는거죠.
해드리고 싶은 말씀은 과도하게 진행방향으로 상체나 골반을 들이대십시오.
무섭습니까? 그래도 어쩔수 없습니다. 계속 들이대십시오.
연습하기 좋은 슬로프로는 펭귄을 추천 합니다.
참고로 저의 경우 펭귄을 무척 좋아합니다.
약간은 부족한 듯 한 경사와 넓은 폭의 슬로프...
그래서 저 스스로 자세 연습 및 교정하기에 딱 좋아서죠.
하지만 사람들은 펭귄이 사람이 많다는 이유와 초보자라는 이유로 등한시 합니다.
그리곤 자의던 타의던 챔피언이나 기타 상급 슬로프로 올라가게 됩니다.
초보자들도 마찬가지로요.
초보분들은 턴이 될 상황이 절대 아니기에 낙엽이던 구르던 내려오기에 바쁘시죠.
그럴 때 BBP 자세를 죽어라 연습하며 일단 각 경사에 맞는 적정프레스를 몸에 익히십시오.
물론 타인의 라이딩에 방해가 안되는 슬로프 가장자리에서...
그러면서 큰 맘 먹고 한번씩 턴을 돌려 보세요.
프론트로 내려오거나 백으로 내려오거나 한가지로 내려오면 다리에 통증이 올테니...
억지로 턴을 해서라도 바꿔가며 내려와보세요.
그렇게 타다보면 어느새 펭귄은 라이딩을 100% 즐기며 자세를 교정하는 공간이 되어 버릴겁니다.
이미지트레이닝
아마 위에서 열거 한 것들 중 가장 중요한 내용이 아닐까 합니다.
다른 이들의(잘타는 분들의) 동영상이나 사진 속 라이딩 자세를 머리속에 익히십시오.
그리고 그 분의 모습을 따라하려고 노력하십시오.
가끔씩 친분이 있는 분들에게 핸드폰이던 뭐던 자신의 영상을 찍어 달라고 하십시오.
그리고 이미지트레이닝을 하는 분의 모습과 비교해가며 하나씩 자세를 교정하십시오.
만약에 동영상을 찍기 힘들다면 2시 30분 ~ 4시 사이에 펭귄에서 연습해 보십시오.
그 시간 펭귄은 진행방향 뒤에서 해가 비춥니다.
자신의 라이딩 하는 모습이 그림자로 보일 겁니다.
그렇게 하나하나 연구하며 연습 하십시오.
자신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고치려고 하는 노력이 있을 때...
그 때 비로소 라이딩은 완성 됩니다.
라이딩은 보드의 기본입니다.
등한시 하지 마시고 꾸준히 연습에 연습을 하시기 바랍니다.
누군가가 떠먹여 주는 밥은 먹고싶은 만큼 먹지 못합니다.
자기가 먹고싶은 만큼 먹는 밥을 드시기 바랍니다.
아. 너무 길게 써버려서 가독성이 조금은 떨어져 버렸는데...
할 말은 무쟈게 많습니다.
하지만 글로 쓰자니 ㄱ ㅐ빡세네요.
그럼...
아 손꾸락 아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