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만 말씀 드리면 "특정 기술 구사 가능 수준까지 롱보드 실력을 키운다면 도움이 엄청 됩니다"




롱보드라는 운동은 분명히 스노우보드와 전혀 다른 운동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스노우보드 :  바닥(눈)과 접지면(베이스)의 마찰계수가 거의 0에 가까운 상태에서 시작

- 롱보드 : 바닥(아스팔트)와 접지면(휠)의 마찰계수가 거의 100에 가까운 상태에서 시작



마찰계수가 0과 100에서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마찰계수 0 .. 미끄러지는 무브먼트는 쉬움 , 미끄러지지 않는 무브먼트는 어려움

- 마찰계수 100 .. 미끄러지는 무브먼트는 어려움 , 미끄러지지 않는 무브먼트는 쉬움



여기까지 읽어주셨는데 .. 그래도 So What? 이라고 생각하셨다면 제대로 읽어주신 겁니다.



네 .. 롱보드는 카빙 계열의 라이딩은 너무나 쉽습니다.  하지만 한계 속도에 진입하면 카빙을 할 수 있는

횡이동보다 직진 이동의 힘이 더 커져서 아주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스노우보드는 한계 속도에 진입하더라도 마찰계수가 적으므로 사이드 슬립 동작으로 속도를 제어가 가능하지요



롱보드에서 어려운 슬라이드 기술 구사가 바로 스노보드에서는 어려운 최적의 프레스를 구사 할수 있는 것과 맞닿아 있는데요

롱보드에서도 손을 아스팔트에 대고 하는 핸드다운 계열과 손을 떼고 하는 스탠드업 계열 기준으로 롱보드 슬라이드가 , 스노우보드 카빙에 주는 도움 되는 점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 핸드다운 계열 : 데크 기준으로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고 , 아스팔트 기준으로 낮은 포지션을 유지하여 적은 무게로 데크를 슬라이드 시키는 방법인데요 . 스노보드 땅그지턴에 그대로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다른건 무게 중심축의 방향인데 .. 롱보드는 앞발 중심축으로 과도할 정도로 앞발에 무게를 싣고 다운 포지션을 유지하면 쉽게 슬라이딩이 됩니다. 반대로 스노우보드는 앞발 중심축의 무게를 양발에 골고루 나누어서 중립 된 위치에서 중심축을 가져 가면 슬라이드가 아니라 갈끔한 카빙이 가능하게 됩니다. 

주로 롱턴 위주의 카빙에 적합한 연습 방법으로 보시면 됩니다. ( 롱보드 핸드 다운 슬라이드 ▶ 스노우보드 롱턴 카빙 )


- 스탠드업 게열 : 핸드다운 계열과 같은 원리로 포지션을 유지하지만 2가지의 다른 점이 있습니다. 바로 앉았다가 일어서면서 최적의 데크 거리와 최적의 골반 포지션으로 두발로 선채로 슬라이드를 하는 부분인데요 . 스노우보드에서는 미들턴 사이즈 이하의 궤적에서 유용하게 데크에 지속적인 프레스의 감압과 가압을 활용 시킬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많이들 알고 계시는 다운 언 웨이티드와 업 언 웨이티드의 주법을 정확하게 숙지해야만 가능한 기술이므로 스노우보드에서도 정확한 다운, 그리고 업 언웨이티드의 분리 된 구사가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상급 라이딩 스킬 연마에 용이합니다.




사실 ... 롱보드에서는 상체가 기울어져서 등이 굽는 상태로는 그 어떠한 기술도 제대로 사용할 수 없고 부상의 위험에 노출 되어 있습니다. 또한 앞발과 뒷발의 고른 프레스 이용 주법이 없이는 올바른 고속 주행 역시도 안 되지요 . 마지막으로 데크위에서의 올바른 머리 위치와 골반 위치의 포지션 배분이 있어야만 위험하지 않는 운동이기도 합니다.



설명 드린 부분들이 스노우보드에 도움이 되는 부분인지는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서 더 잘 아시리라 생각하고 설명을 줄이구요 .

모든 무예가 끝으로 가면 결국 만난다는 말이 있듯이  보드류 역시 기술 연마를 통해 위로 올라가면 결국 같은 기술을 쓰고 있음을 알려드리고자 주저리주저리 하게 되었습니다.




설명은 하지 못하지만 제가 7년~8년 사이 롱보드를 타면서 스노우보드에서 받은 영감같은것들을 마지막으로 나열해 드리면

- 굳이 .. 하이백과 부츠텅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스노보드 위에서 밸런싱 잡는게 식은죽 먹기가 됨

- 전경, 중경, 후경이라는 다소 난해한 무게 중심 이동을 상황과 주법에 알맞게 컨트롤 하는 방법을 알게 됨

- 속도의 증가에 오는 두려움 , 그 두려움이 주는 몸 전체의 뒤로 빠짐 (보통 이걸 후경으로 아는 분들도 ... ) 현상이 사라짐

- 스노보드 시즌이 시작하더라도 별도의 적응 기간이 리프트 1회, 2회 정도에서 마무리 됨 ( 부상의 위험에서도 그만큼 빨리 벗어남 )

- 충돌과 추돌 그리고 미끄러짐에 대한 상황에서 리커버리 또는 대처가 유연해짐



맺음말 1. 크루징 , 댄싱, 프리스타일(본레스) 같은 종목은 설명 드린 부분과 관계가 없습니다.

맺음말 2. 제가 설명 드린 부분은 프리라이딩, 테크다운힐 종목에 연관이 깊은 부분입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3
» 초보를 위한 강좌 롱보드가 스노우보드에 도움이 되나요? [19] orthodox 2016-04-27 6 11401
2996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 [67] G×Union.최윤석 2016-04-26 22 11236
2995 장비 튜닝 [DIY]고글용 안경도수클립 튜닝 file [19] 맨탈리스트 2016-04-08 2 9150
2994 절약법 [DIY] 누구나 만드는 접이식 왁싱 다이 file [19] 맨탈리스트 2016-03-31 54 8478
2993 해외원정 15/16 알프스 원정 후기 (샤모니-몽블랑) 올... file [68] yjforsure 2016-03-20 72 11224
2992 절약법 간단히 만드는 스노우보드 데크 보관대 file [15] 맨탈리스트 2016-03-19 35 8573
2991 장비 튜닝 내 장비라면? (바인딩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file [10] 눈사이로막까 2016-03-17 2 6785
2990 해외원정 다시쓰는 일본원정(니세코) 원정 가이드 [8] 제푸 2016-03-14 19 8498
2989 일반 뻙큐멘터리 7 (15/16 시즌 마무리-알파인을 ... 작살러버 2016-03-13 8 2928
2988 장비 관련 인생 데크를 찾아서~ file [27] JimmyKOO 2016-03-05 21 9031
2987 장비 관련 Snowboard/Ski Deck Construction [5] 카릴 2016-03-03   3270
2986 초보를 위한 강좌 슬라이딩 턴에 대한 이해 [3] TrustMe 2016-03-03 4 7732
2985 기술(테크닉) 한줄 팁 - 프레스 타이밍 [3] 홍이00 2016-03-01 3 5486
2984 기술(테크닉) 데크 spec, 보더 weight, 그 이후엔 물리학/... [5] 카릴 2016-02-29 2 3626
2983 초보를 위한 강좌 * 삽질의 기억 * 누구나 칼럼 사용 설명서 [5] 심장이통통 2016-02-24 5 3913
2982 해외원정 스노보드 해외원정 개인사 - 유럽, 일본, 캐... [14] 레인보우시스타 2016-02-23 24 6025
2981 초보를 위한 강좌 * 삽질의 기억 * 부츠에, 힐컵에 기대듯이 ... [9] 심장이통통 2016-02-22 6 6517
2980 초보를 위한 강좌 * 삽질의 기억 * 너비스턴은 나를 어떻게 망... [6] 심장이통통 2016-02-21 12 5665
2979 초보를 위한 강좌 엣지를 새울려면... file [6] 라쿠세븐 2016-02-21 21 7441
2978 기타 꽃보더키우기 노하우(+근황) [11] 올랴 2016-02-18 4 5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