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annypark.tistory.com/42http://dannypark.tistory.com/오늘은 보드 이론과는 좀 동떨어진 얘기를 할까 합니다.
헝글에 오시는 분들 중 얼마나 많은 분들이 해외 원정을 갖다 오시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단 한 분이 가시더라도 꼭 알고 있어야 할 내용이라 생각하여 함 써 봤습니다.

제 블로그에 있는 글을 그대로 옮겨 온 것이므로 편의상 낮춤말로 되어 있음에 여러분들의 양해를 구합니다.
또한 블랙 바탕화면을 배경으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보시는 데 불편할 수도 있음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원문을 보시려면 링크의 제 블로그를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뜬금없이 눈사태(avalanche)에 대해 얘기를 해 볼까 한다.

우리나라 스키장 역사상 눈사태로 인해 털끝만큼이라도 다친 사람이 있다는 얘기는 들어 본 적이 없다. 그야말로 정말 남의 남의 남얘기가 될 법한데....


문제는 이렇게 눈사태나 기타 위험요소들에 대해 아무런 경각심이 없는 상태에서 온실속의 화초처럼 자라난 우리의 스노우보더, 스키어들이 야생 상태의 해외 원정을 나간다면 이미 눈사태나 기타 위험성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그에 대한 준비도 철저한 로컬들에 비해 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이 더 크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눈에 대해 생각하는 이미지는 참으로 관대하다. 하얗고 예쁘고 폭신한 솜사탕과 같은 자연의 선물. 맞는 말이다.


하지만 동시에 또 틀린 말이기도 하다. 눈이 언제나 그렇게 하얗고 예쁘고 폭신하기만 하지는 않다. 그리고 폭신한 눈이라 할지라도 일단 모이면 그때부턴 사람 목숨 하나쯤은 우습게 여기는 악마같은 존재가 된다.


우리 나라에서도 흙더미가 내려오는 산사태에 대한 위험성은 익히 알고 있다. 하지만 눈에 대해서는 여전히 하트눈으로만 바라보고 있는데, 산사태든 눈사태든 그 결과엔 사실 크게 차이가 없다. 나무가 쓸려 내려가고 밑에 있는 집이 무너지고, 사람이 안에 갖히면 목숨을 잃게 되는 것이고.....


산사태는 그냥 보기에도 위험하고 때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눈사태는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물론 스키장이나 산악지형이 있는 곳에서는 매일매일 눈사태의 위험도를 측정하여 공지하고 있다.) 어쩌면 산사태보다 더 큰 해를 입힐 수도 있다.


세상 제일 가벼운 파우더 눈도 일단 산사태가 나서 밑으로 쓸려 내려오게 되면 엄청난 무게와 압력으로 압축되기 때문에 돌처럼 단단해진다. 실제로 산사태가 일어나서 사람을 구할 때 1미터 정도의 눈을 파내려 가기도 상당히 힘들다고 한다.


장황하게 글을 쓰는 것보다 몇몇 통계와 그래프를 통해 조금이나마 눈사태에 대한 경각심을 불어 넣을까 한다.


1970년부터 1996년까지 220

1984년부터 1996년까지 114

8.5/연


이 숫자들은 캐나다에서 눈사태로 목숨을 잃은 사람들의 숫자이다.

결코 적지 않은 숫자이다. 연간 사망자 수는 늘었지만 인구대비 사망자 수는 감소했다고 한다. TV 나 여러 매체를 통해 폭넓게 눈사태의 위험성에 대한 계몽활동을 한 꾸준히 펼친 결과라고 한다.


다음 동영상은 트래비스 라이스가(Travice Rice) 의 인터뷰로 하마터면 산사태로 인해 목숨을 잃을 뻔한 순간을 설명하고 있는 내용이다.












출처 :http://kr.youtube.com/watch?v=WK87I7JRRhE



[통계 1] 연도별 사망자 수


스키어가 아무래도 겨울레포츠 중에는 가장 많은 사람들이 즐기는 스포츠이므로, 스키어 사망자 주가 가장 많다.



[통계 2] 월별, 슬로프 경사도별 사고 비율


국내 라이더들이 가장 캐나다 원정을 많이 가는 시기인 3월에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다. 기온이 많이 올라가기 때문에 그 동안 쌓였던 눈층들이 불안해 지는 시기이므로 때문에 작은 충격으로도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경사는 30~35도 정도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며 블랙 혹은 더블 블랙 난이도의 슬로프라고 할 수 있다.



[통계 3] 시간별, 눈 깊이별 생존 가능비율


흔히 눈사태가 일어나 눈속에 갇혔을 경우 12분 정도까지 버틸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통계에서 알 수 있듯이, 15분이 넘아가게 되면 생존가능성이 40% 이하로 급격히 떨어진다. 10분내에 발견을 한다고 해도 15% 이상은 목숨을 잃는 다는 통계를 보면 산사태가 얼마나 무서운지 알 수 있다.


오늘쪽 그래프의 매장 깊이별 생존률을 보면, 눈의 깊이가 1m 가 넘어가면 역시나 생존 가능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눈의 깊이가 낮아도 단단하게 압축된 눈의 무게와 압력 때문에 쉽게 빠져나올 수도 없고 조난자를 쉽게 구출하기도 힘들다. 그리고 눈사태의 경우 일어난 범위가 워낙 넓기 때문에 눈에 묻힌 사람을 찾는 것부터가 이미 쉬운 일이 아니다. Avalanche Control 코스를 듣는 동안 생존 장비를 이용해 연습을 해 보았지만 넓지 않은 지역에서도 찾는데 꽤나 오랜 시간이 걸렸다.



[통계 4] 산사태 발생 요인(trigger)별 비율


트리거(trigger) 란 산사태를 일으키는 도화선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키어가 아무래도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적은 힘으로도 어마어마한 산사태를 일으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 비디오는 한 생존자의 의해 찍힌 눈사태 장면과 인터뷰 내용이다. 이 사람은 운이 좋게 목숨을 건졌지만 얼마나 공포스러운 경험인지 생생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http://kr.youtube.com/watch?v=ziBYa5qYZcM&feature=related


모든 것을 다 알고 콘트롤 할 수는 없지만 최소한 해외 원정을 생각하고 있고, 백컨트리 라이딩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생각해 보고 공부해야 할 내용일 것이다.


자료의 출처는 아래 사이트로 보다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도록!


https://www.avalanche.ca/


http://avalancheinfo.net/Newsletters%20and%20Articles/Articles/AvalancheAccidentsV4.pdf


 


 


백컨트리 장비


http://www.mec.ca/Products/product_listing.jsp?FOLDER%3C%3Efolder_id=2534374302725839&bmUID=1229047596757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35532
2094 기타 0809 파란만장한 전설의 데크 시승기 secret [74] JohnBird 2008-12-30 83 6933
2093 절약법 생활의 지혜~~~스텀패드~~~~^^ [13] 노블 2008-12-29 59 6609
2092 장비 튜닝 남들 다하는 스티커 제작... [9] 쥬시보더 2008-12-27 59 7208
2091 장비 튜닝 데님하의 제작 +_+ (+ 발수테스트) [15] 에시드 2008-12-27 66 7397
2090 장비 튜닝 옵션 데크 set 헬멧 - (칼럼느낌나게끔.. 다... [9] 효쨩 2008-12-25 54 4485
2089 기타 차키를 잃어 버렸을 때? (대처법) [29] King™ 2008-12-24 78 19821
2088 기술(테크닉) 좋은 자세가 필요한 이유 [27] grindays 2008-12-24 64 9274
2087 장비 관련 Reverse Camber(리버스 캠버, 역캠버) [13] 이오 2008-12-23 54 8527
2086 일반 첫 한국 보드장(성우) 시승 후 느낌 [40] OhSean 2008-12-22 53 8385
2085 기술(테크닉) 제대로 카빙을 할수 있는 방법 [42] NEVERSUMMER 2008-12-22 52 15091
2084 장비 튜닝 데님 팬츠 제작기~ 덤으로 반다나 제작기도... file [12] 세인 2008-12-21 59 6474
2083 기타 나홀로 보딩 즐기는법 [63] 나홀로보딩... 2008-12-21 108 10178
2082 해외원정 Avalanche Control Level 1 Course [8] grindays 2008-12-18 65 4365
2081 해외-장비구입 해외오더시 주의점 [14] 별책부록 2008-12-18 67 4830
2080 일반 보드복 세탁(퍼옴 [18] 30번보더^^ 2008-12-18 75 9411
» 해외원정 눈사태! 우습게 볼 일이 아니다.(원정가시는... [14] grindays 2008-12-17 77 6613
2078 의학,부상,사고 헬멧 안쓰시는 분들 꼭 헬멧착용하시기 바랍... [45] 삽질중 2008-12-17 62 11814
2077 기술(테크닉) 스위치 라이딩을 위한 덕스탠드의 개인적인 ... [22] 난다김 2008-12-16 61 13046
2076 기술(테크닉) 고글 코팅에 관해서... [15] 늦둥이보더 2008-12-16 41 8029
2075 의학,부상,사고 부상방지 쪼그만한 팁!! [9] Fiesta 2008-12-15 57 5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