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결론,
자신의 근력을 통한 스티어링을 통한 데크 휨의 정도를 넘어선 하드한 데크로는 숏? 카빙이 불가능하다.
쪼금만 프레스가 가해 져도 휘어져버리는 데크는 카빙시 프레스에 의한 휨과 에지, 그리고 그것을 따르는 탄성과 리바운딩?을 가져오기 힘들 것이겠지만,
너무 하드한 데크는 턴시 스티어링과 업 웨이팅으로 눈속으로 엣지를 박아 골반과 무릅으로 눈을 파듯이 돌리는 카빙 턴을 만들기에 쫌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위 숏 카빙은 다운 언 웨이팅과 스티어링 사용을 전제한, 특히 중상급에서소 속도 control과 관련되어 말하는 것입니다.>
<특히 데크의 엣지그립력과 몸무게 및 웨이팅 기술에 의한 데크 눈 속으로 파묻기와, 강한 무릅 골반 스티어링을 통한 데크 휘어 턴 하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
프레스는 결국 속도에 따라 턴시 원심력에 의해 결정 될 것입니다.
빨리 가다가 과격하게 턴의 반경을 줄 일 수록 프레스(원심력)는 엄청 날 것입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숏 카빙을 하기 위해선, 엣지 체인징과 인클레이션? 엥귤레이션, 무릅(전신) 스티어링과 업 웨이팅을 해서 데크를 눈속에 박으며 휘어놓아야 합니다. 특히 무릅 상체운동 스트어링으로 세로방향 뿐만 아닌 가로방향으로까지 휘어 데크를 턴의 중심쪽으로 밀어붙여? 야 할 겁니다.
근데, 하드할 수록 좋다는 것이, 엣지 그립력과 흔들림이 덜하는 속성(더 있겠지만 일단 무시)을 빼곤, 숏턴시 일정이상 프레스로 데크를 세로방향으로 휘고, 스티어링으로 데크를 비틀듯이 가로방향으로 까지 휘어야 할텐데,,,
그렇다면, 속도를 주다가 턴으로 데크를 휜다고 한들, 그것은 프레스에 의해 데크가 만드는 턴 반경을 따라가는 셈이고, 그것만으로 자신이 느끼기에 충분한 숏 컷이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그 이상을 휘기 위해서 자신의 몸의 힘?(주로 스티어링과 순간 업웨이팅이 될 것 같은데,) 혹은 움직임? 으로 휘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 데크에 원하는 숏 컷을 만들기 위한 추가 휨을 주기에 자신의 힘이 이 미치지 않는다면, 결국 그 데크는 나한테 너무 하드하다고 할만하다고 할 수 있는 것 아닐까요?
속도에 따른 프레스로 인한 휨 만으로는 극히 하드한 데크로 상급 코스에서 충분한 턴을 만들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추가 휨성을 자신의 힘?으로 만드는 것인지, 특정 몸의 움직임과 몸의 중심의 급격한 쏠림에 의한 프레스 중심의 위치 변화로 만드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너무 하드한 데크는(많이들 카빙 머쉰, 속도를 내다 카빙 턴을 주면 리바운딩이 엄청나 무름 스티어링 조차 얼떨결에 되는) 숏 카빙을 하기에는 특히 상급 슬로프에서는 무리가 아닌 것인지 생각됩니다.
결국 자신의 몸무게와, 스티어링으로 추가로 보드를 휠 수 있는 근력을 벗어난 너무 하드한 데크로는 숏 카빙은 불가능하거나 너무 힘들다. 그러니 너무 하드한 데크는 오히려 이런 CONTROL 부분에선 안 좋으니, 데크를 바꿔야 한다. 는 결론이 나옵니다.
물론 삶아서 푹푹 죽은 콩나물 마냥 너무 쉽게 휘는 소프트 데크는 아니어야 겠지만요.
위에서 말한 추가휨(맥락상 어떤 움직이나 데크의 활동을 말씀하시는지 아시리가 생각하고)이 몸무게 혹은 근력과 관계가 없는 것이라면, 몸의 중심점의 율동만으로 가능하다는 말이 나오는데, 그것은 힘들 것 같습니다.
제가 틀릴 수도 있으니, 이 칼럼에대한 고수님의 평도 듣고 싶네요.
특히 하드한 데크로 몸무게도 별고 안나가는데 맘껏 다운 언 웨이팅과 파워풀한 무릅? 스티어링을 통해 숏 카빙을 구사하면서, 턴의 초반부터 눈속으로 데크를 파묻어(이게 맞는 것인지 알 수 없지만) 결국엔 턴 후반부엔 눈을 파버리는 듯한 공격적인 턴을 구사하는 고수님께. (중)상급슬로프 역시 가능해야함.
P.S 끝에 고수의 의견을 부탁했지만, 거 빼면 그냥 칼럼이라고 얘기할 수 있으니, 이곳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진짜 무지막지한 하드한 데크를 뜻하는 것이 아닌, 라이딩용이으로 무척 하드한데, 그러나 그걸로는
미들턴 카빙은 가능할 지언정 위에서 말하는 숏 카빙이 힘들지 않냐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