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움직일 수 없는 부상자 발생시
응급 조치 |
|
안녕하세요. 스크래치, 이태경입니다.
(요약) |
|
강추위로 인에 눈이 딱딱하게 얼어있는 아이스 구간이 많은 1월과 모글이 많은 부분에서 역엣지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합니다. 또한 점차 보드나 스키 인구가 늘어나, 슬롭을 내려오는 사람들끼리 부딪혀 사고가 자주 발생기도 하지요.
우선 사고가 났을 경우에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부상자가 움직일 수 있을 경우와 움직일 수 없을 경우"
사고 후 여러 가지 처리는 여기서 다루지 않고 오늘 다룰 것은 움직일 수 없는 부상자가 발생할 경우 응급 조치에 대해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1. 가장 먼저 부상자가 발생하면 아래 그림처럼 4~5m 상단에 자신의 데크나 스키를 눈 속 깊이 꽂아 둡니다. (본인의 데크 1장을 우선 설치) 2. 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바인딩을 풀 수 있을 정도라면, 부상자의 바인딩을 풀어서 데크를 위 쪽에 가지고 가서 본인의 데크와 함께 "X" 표시가 되도록 깊이 박아 넣습니다. 3. 패트롤에게 연락하거나 각 리조트의 상황실에 연락을 합니다. (번호를 모른다면 내려가는 스키어나 보더에게 사고 발생 사실을 알려 달라고 부탁) 4. 다시 부상자 옆에 돌아와 혹시라도 모를 또 다른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패트롤이 올 때까지 대기. 5. 패트롤 도착 후 연락처를 주고 떠남. (부상자의 데크는 꼭 챙겨 주도록 함)
자신이나 가족, 친구가 부상을 당할 수도 있겠지요? 모르는 사람이라고 그냥 지나친다면 결국 그 무관심은 자기 자신에게 돌아올 수도 있답니다. 서로 존중하고 조심해서 즐기는 안전한 보드 문화를 만들어 갑시다.
이전 글 셔틀타러 가면서 아이폰 활용하기와 아이폰 동영상 편집 등..Boardslide on the BOX 킥커에서 백360을 할 때 9단계 무릎 슬개대퇴 증후군, 슬개골연화증과 보드의 상관 관계 내가 아는 카빙과 일반 보더들이 아는 카빙이 다른가? 울릉도에서의 스킹 - 왠지 exotic해 보이는.. 각국의 보드 강습 시스템 비교(하프 파이프 편) 봄철 스키장 사고를 줄이는 방법 CASI의 Responsibility Code 스노보드, 그 즐거움...잘 타기위해 노력하고 또 노력함. 겨울이면 자주 만나게 되는 김여사. 인터미디어, 어드밴스드, 다이나믹 턴의 핵심 기술 press control & Un-weighting 기법에 대해. 보드를 타고 난 후 근육통을 줄이려면.. 치아를 보호하는 장비: 마우스 가드 보딩 후 목 통증을 줄이는 방법. |
*컨텐츠 무단 사용을 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