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 테크니컬 라이딩이 대세인데요. 잘타는 라이더들의 상체가 오픈된 것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적어보려고 하는데요
턴을 만들때 프레스를 주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설명을 위해 2가지로 구분한다면
1. 데크면에 수직인 힘을 가해 데크를 휘어지게 하는 방법
2. 설면에 수직의 힘을 가해 데크를 휘어지게 하는 방법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이는 주관적 관점에서 적은 글이니 태클은 적극 환영합니다.)
여기서 첫번째 함정이 카빙을 하면 대부분(아닐수도 ^^)의 사람들은 2번의 방법으로 이미지를 생각한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카빙은 엣지라인만 생기고 슬립이 나면 안 되기 떄문에 엣지에 힘을 가해 턴을 한다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카빙을 하기 위해서는 1번의 방법으로 데크에 수직인 면으로 프레스를 줘야 합니다.
급사나 고속카빙을 하면 메끄러운 라인이 아닌 약간의 슬립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부분은 1번처럼 프레스를 주면서
미끌린 흔적입니다. 이것을 스키딩이라고 합니다.
슬라이딩과의 차이는 슬라이딩은 상체 혹은 하체를 이용해서 프레스와 동시에 스티어링(상 or 하체) 으로 데크를 돌리면서
괘적을 만들어내는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상체 오픈의 함정이라 하면 1번의 방법대로 프레스를 주는 것이 맞다고 했을 때
그냥 지면에 서서 자신의 스탠스와 각도대로 자세를 잡아본 후에 1번과 같이 지면에 프레스를 가해보십시오
이 때 상체는 돌리지 말고 힘을 줬을 때 내가 누를 수 있는 힘을 인지하시고,
상체를 오픈한 자세로 위와 같이 힘을 줘보시면 상체가 돌아감으로 인해 골반이 돌아가고 무릎이 돌아가서
상기와 같은 힘이 전달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잘 타는 라이더들은 바인딩 각도와 유연성 등 여러가지 요소가 반영되서 상체가 오픈된듯 보이지만
이 칼럼에서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기본적으로 프레스는 설면에 주는 것이 아니라 데크에 주는 것이며,
상체의 과도한 오픈은 프레스를 주는 데 방해가 된다라는 것입니다.
ps. 가장 처음 배우는 낙엽(사이드슬립)에서도 2번자세로 하면 넘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