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통 일반적인 조직에서는 말단직원에서 점차 승진해 관리자가 되기 때문에
종이복사, 물통갈기 같은 사소한 일부터 시작해
점차 문서작성, 출장동행, 회의참석, 의견제시를 거쳐
결국 의사결정권자까지 오르게 되는데요
그러한 실무경험 없이 바로 의사결정권자가 되어 조직을 운영하는 것, 즉
나쁘게 말하면 낙하산, 좋게 말하면 내부발탁/외부영입으로
그 조직의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무경험이 없기 때문에 대체로 안 좋은 결과가 예상되는 것일까요...?
어떤 분은 종이복사나 물통갈기 등 하급직원일 때 해본 사소한 일에도 다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그런 경험부터 쌓아 올라간 사람이야말로 조직을 운영하는 능력이 있게 된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분은 자기 손으로 칼 한 번 잡아본 적 없을 제갈량이나 손자처럼 오직 책과 이론만 공부한 사람도 뛰어난 전술전략가로 명성을 떨치듯 실무경험과 조직운영은 전혀 무관한 것이라고도 해서요...
심지어 어떤 분은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법이라면서 그 조직의 실무경험 같은 것 전혀 없어도 얼마든지 유능한 대표이사가 될 수 있다고도 하고
어떤 분은 히딩크도 비록 선수시절에는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감독으로서 두각을 나타낸 것도 사실 본인이 직접 선수로 뛰어봤던 경험에 의지하는 것이 크다면서 유능했건 무능했건 실무경험은 반드시 필요하다고도 하는데
과연 관리자에게 실무경험은 필요한 것일까요...?
재벌가에서 회장 아들이 바로 대리로 입사해서 2-3년 정도 있다가 부장, 이사 이렇게 쉽게 승진하는 것을 보면 경험은 그냥 겉치레 정도로 여기는 것 같은데
확실히 실무경험은 별로 안 중요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