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헝그리보더닷컴 이용안내] |
한국의 유기농 우유는
독일의 알프스 유기농 우유나
미국의 유기농 우유와 다릅니다.
한국의 유기농 우유는 드넓은 대지에서의 유기농 사육환경이 아니라 유기농 목축에 대한 서류심사 입니다.
그래서 농피아 라는 말을 듣는 분들이 껴듭니다.
목축 혹은 농법에 대한 서류들을 대신 만들어주고 인증 받을수 있게 과거 몸 담았던 후배 공무원들과 함께
오붓한 분위기(?)에서 인증심사를 하나봅니다. 컨설팅 이라는 게 그런 역할을 합니다.
저는 컨설팅 폐지론자이고 자기가 공부 안하고 컨설팅이 알아서 다 해주는걸 바라는 업자들은 모두 없어지길 바라는
사람이죠. 위생은 공부 안하면 절대 확보 안됩니다. 좋은 시설과 서류가 아니라 결국은 사람이 하는일 이거든요.
작년 살충제 계란 파동의 업자도 친환경 인증 업자 였습니다.
자신이 직접 서류와 산란닭을 어찌 기르고 관리할지 공부해서 썼다면
그렇게 주어들은 이야기로 살충제를 사용하는 무뇌아 같은 행동은 안했겠죠.
우리나라 유기농 우유는 제 생각에 유기농 우유가 아니라 그저 단일목장 우유 수준 입니다.
유기농 이라는 비싼걸 먹는다면 그저 단일목장 우유가 갖고 있는 우유향(냄새) 을 즐기는걸로 만족하면 됩니다.
저는 한국의 탈지분유가 마음에 안들어서 미국의 유기농 탈지분유를 개인구매로 사용할 생각이입니다만
한국의 유기농 우유는 사용할 생각이 없습니다. 단일목장 우유에 불과하거든요.
변질을 일으키는 미생물이나 벌레들이 침투할 가능성이 극히 적은 ESL 시스템으로 처음부터 끝인 포장출고까지
완성시키는 비싼 시스템에 투자한 회사 제품이 차라리 나을수도 있지요.